검색결과
  • 한평생 우리말 지킨 마지막 선비|일석 이희승 박사 일대기

    우리말을 갈고 닦는데 평생을 몸바쳐온 일석 이희승 선생은 국어학의 태두이자 우리 시대 마지막 선비였다. 1896년 경기도 개풍에서 선비의 아들로 태어난 일석은 한성 외국어학교·양정

    중앙일보

    1989.11.28 00:00

  • "남북한 공동 우리말사전 만들자"-서울대 고영근 교수『주시경 학보』논문서 주장

    『「들 모임」가서「첫 물남새」로 만든「찔게」로「곽밥」을 먹고「얼음 보숭이」를 사먹었다.』 금세 이해가 안 되는 이 말은『「소풍」가서「싱싱한 채소」로 만든「반찬」으로「도시락」을 먹고

    중앙일보

    1989.09.21 00:00

  • 세종대왕 큰 뜻 기린다

    9일 5백 42돌 한글날을 맞아 기념식과 학술강연회 등 각종 행사가 이날부터 10월말까지 다채롭게 열린다. 한글이라는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글자를 지닌 문화민족으로서의 긍지와 세종대

    중앙일보

    1988.10.08 00:00

  • 4·19직후 혼란 수습 ...헌정사의 산증인|타계한 전 과도정부 수반 우양 허정씨의 생애

    18일 별세한 허정 전과정수반은 1919년 3·1독립운동에 참여한 후 중국과 미국에서 이승만박사와 더불어 항일독립운동을 했고 건국초기에는 제헌의원 (부산초량)·서울시장·교통사회부장

    중앙일보

    1988.09.19 00:00

  • 어문정책의 새 기원

    문교부가 14일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규정 개정안」 을 최종 확정, 공표했다. 정부가 시대에 따라 변하는 우리말과 글의 현실을 인정하고 이를 대폭 수용해서 반세기만에 국어의 통일된

    중앙일보

    1988.01.15 00:00

  • 실제발음 우선한 부분보완|한글 맞춤법·표준어 개정시안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은 한조항만 변화가 와도 그 파장이 크고 깊다. 24일 국어연구소 (소장 김형규) 가 발표한 한글맞춤법및 표준어규정 개정시안도 이런 이유에서 지대한 관심을 불

    중앙일보

    1987.04.25 00:00

  • 한글 어법대신 「발음」대로 표기

    국어연구소(소장 김형규)는 24일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가칭)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 개정안은 4∼5월에 열릴 검토위원회(소공청회)를 거쳐 8월에 문교부에 제출, 최총 확정된

    중앙일보

    1987.04.24 00:00

  • 우리 국어연구사에 큰 족적|7일 타계한 국어학자 정인승박사

    지난 7일 90세로 타계한 정인승박사는 우리나라 국어연구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1897년 전북 장수출생인 정박사는 일찌기 한글 연구를 결심, 일제하에서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활동

    중앙일보

    1986.07.09 00:00

  • (4315) 제82화 출판의 길 40년(68)

    일제의 강점에서 풀려났음에도 국어사전 한 권 제대로 된 것이 없는 민족문화의 공백기가 해방후 수년간 계속된다. 1947년 을유문화사에서는 조선말 『큰사전』 출판에 착수하여 10년이

    중앙일보

    1985.07.17 00:00

  • (4313) 제82화 출판의 길40년(66)

    해방직후부터 1976년에 검인정교과서 파동이 태풍처럼 드세게 휘몰아 칠때까지 우리나라 출판계의 총아는 교과서 출판이었다 할 것이다. 50년대 이전에도 학교내 도서인 교재출판에 손을

    중앙일보

    1985.07.15 00:00

  • 제82화 출판의 길40년(9) 「정음사」

    해방이라는 전환기의 격동속에서 저마다 민족문화 재건이라는 기치를 높이 쳐들고 의욕에 찬 신생출판사가 우후죽순처렴 나왔다는 이야기는 앞서 한바 있다. 이 시점에서 나는 일제암흑기로부

    중앙일보

    1985.03.26 00:00

  • (4231)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64)

    앞 회에서 경찰당국이 1937년 6월 수양동지회사건을 꾸며 도산 안창활이하 1백50명을 검거하였다는 이야기를 하였는데, 그때 검거되었던 도산은 병보석으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중앙일보

    1985.02.15 00:00

  • "한글퍼스컴마저 일본에 뒤질수 있나"|한국시장 노린 일제 곧 상륙

    일본굴지의 컴퓨터회사 셋이 한국서 퍼스컴시장을 노리고 빠르면 올 겨울부터 불꽃튀는 싸움을 벌일 것이라고 한다. 이 개인용 컴퓨터들의 하나같은 장점은 한글처리능력까지 갖추고 있을뿐더

    중앙일보

    1984.10.05 00:00

  • (4118)-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51)/조용만|보전인계

    보전의 재단 이사회에서는 재단과 학교를 무조건으로 인촌에게 넘기면서 다만 다음 세가지를 「희망사항」으로 전달하였다. 일, 현재의 학교 직원의 지위를 보장해줄것. 이, 학교의 명칭을

    중앙일보

    1984.09.15 00:00

  • 불쾌할 정도로 행동이나 말이 흉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가「흉업다」니「숭업다」아닌「흉헙다」면 또 얼마나 당황할까? 표준어란 공통어이며, 이것은 이상적이고, 규범적인 언어를 이른

    중앙일보

    1984.01.16 00:00

  • 「우리말」을 가꾸자

    5백36돌 한글날을 맞는다. 이날을 맞으면서 우리는 매년「나라 말씀」을 우리의 글자로 적기 위해 한글을 창제한 세종 임금과 그때의 국어학자들의 노고를 생각하며, 아울러 일제의 국어

    중앙일보

    1982.10.09 00:00

  • 국사

    단편적인 지식보다 힁적인 역사사실을 종적으로 연결, 전체적인 흐름과 역사의식을 갖추도록한다. 따라서 교과서를 완전허 이해하고 기존 출제문제를 풀어 문제유형을 파악하고 철저히 소화해

    중앙일보

    1982.09.28 00:00

  • 경주최씨

    고운 최치원. 나라의 스승으로 추앙되어 문묘 (文廟=공자를 모신 사당)에 배향된 최초의 인물. 경주최씨의 시조인 그는 신나가 낳은 최고의 지성이었다. 열두살의 어린나이로 당나라에

    중앙일보

    1982.09.18 00:00

  • "일 군국주의 망령"경계 게을리 말자"

    한글학회는 14일 일본의 교과서 왜곡에 대해 이는 일본이 50년 전 군국주의의 망령을 되살리려는 것이며 우리는 이에 대한 경개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의「일본역사교육 거짓

    중앙일보

    1982.08.14 00:00

  • 국사편찬위가 분석한 일교과서 왜곡내용

    ◇한일세정서 ▲1904(명치37)년 2월 일한의정서를 체결하고 한국의 안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 그것을 위하여 군략상 필요한 토지를 수용하는 것 등의 권한을 한국으로 하여금

    중앙일보

    1982.08.06 00:00

  • 조선어학회사건」 발단된 「여학생 일기장」의 주인공 박영희 여사

    「어쩌면 그렇게 뻔뻔스러울수가…. 여기 이렇게 증인이있는데….』 「조선어학회사건」의 발단이 됐던 「여학생 일기장」의 주인공 박영희여사(58·서울연희동436의9). 그녀는 일본교과서

    중앙일보

    1982.08.02 00:00

  • (1)|안방서도 일어만 쓰게 하고 공용이라니…|우리말 말살 정책|이희승 박사

    일본의 의도적인 역사 왜곡이 당사국은 물론 세계 여론의 빗발치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를 계기로 일본인들의 사실 기록이 얼마나 거짓된 날조인가를 입증하는 생생한 증언들을 일제 당시

    중앙일보

    1982.07.30 00:00

  • 한글학회 올해 창립60주년 맞아 세계 언어학자대회 열어

    올해로 창립60주년을 맞는 한글학회(이사장 허웅)는 오는 12월 세계적 언어학자를 국내에 초청, 국제규모의 언어학자대회를 갖는다. 오는 12월3일부터 4일까지 서울에서 열릴 이국제

    중앙일보

    1981.04.11 00:00

  • "한번 손댄 시간은 멈추지 말아야"|85세로 학계일선 떠나는 일석 이희승박사

    『사회 일선에서 물러선다고 생각하니 섭섭한 마음도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사리로 보아서도 신진대사가 있어야 발전이 있는 것이지요』 일석 이희승박사가 마지막공직인 단국대부절

    중앙일보

    1981.02.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