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퇴계와 겨룬 대학자, 그를 키운 ‘아버지의 모성’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퇴계와 겨룬 대학자, 그를 키운 ‘아버지의 모성’

     ━  호남 유학의 큰 기둥, 기대승 집안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534년 전라도 광주에 사는 한 남자가 백일 아기를 안고 황망해 한다. 아내가 아기를

    중앙일보

    2023.02.03 00:46

  • 17세기 조선은 왜 일본과 달리 성리학 '탈레반'의 나라가 됐나

    17세기 조선은 왜 일본과 달리 성리학 '탈레반'의 나라가 됐나

    17세기 일본의 성리학자 야마자키 안사이는 어느날 제자들에게 "만약 중국이 공자를 대장으로, 맹자를 부장으로 삼아 일본을 공격한다면 공맹(孔孟)의 도를 배운 이들은 어떻게 해야겠

    중앙일보

    2021.04.25 15:48

  • 수양철학의 대가, 참된 사람되라 일깨우는듯

    수양철학의 대가, 참된 사람되라 일깨우는듯

    옥산서원 2층 다락 건물인 무변루에서 본 학습 강당 구인당 건물. 왼쪽은 암수재, 오른쪽은 민구재다. 두 건물은 유생들의 기숙사다. 구인당 전면에 걸린 ‘옥산서원’ 편액은 추사

    중앙선데이

    2016.04.24 00:32

  • [정재숙의 오늘 미술관] 우울증을 '시(詩) 치료'로 이겨낸 다산 정약용

    [정재숙의 오늘 미술관] 우울증을 '시(詩) 치료'로 이겨낸 다산 정약용

    [사진 다산 영정. 김호석] 다산 정약용(1762~1836)의 ‘하피첩’이 경매에 나왔던 지난 14일, 다산을 흠모하는 몇 분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유배지를 떠돌며 멀리서

    중앙일보

    2015.09.17 14:34

  • 천주 앞에서 하나 된 천민·양반 … 목숨으로 복음 전하다

    천주 앞에서 하나 된 천민·양반 … 목숨으로 복음 전하다

    1 한국 최초의 순교터로 알려진 전동성당의 모습. 2 성당 지하에는 윤지충과 권상연 등 순교자들의 피가 묻은 돌이 놓여 있다. 3 충남 홍성에 있는 홍주 옥터에는 당시 형장을 재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8.10 01:01

  • 천주 앞에서 하나 된 천민·양반 … 목숨으로 복음 전하다

    천주 앞에서 하나 된 천민·양반 … 목숨으로 복음 전하다

    1 한국 최초의 순교터로 알려진 전동성당의 모습. 2 성당 지하에는 윤지충과 권상연 등 순교자들의 피가 묻은 돌이 놓여 있다. 3 충남 홍성에 있는 홍주 옥터에는 당시 형장을 재

    중앙선데이

    2014.08.10 00:32

  • 아산 유학사 정리하는 이원직 소장과 김기승 교수

    아산 유학사 정리하는 이원직 소장과 김기승 교수

    이원직 외암사상연구소장(왼쪽)과 김기승 순천향대 아산연구소장은 아산 유학사를 집대성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조영회 기자]몇일 전 반가운 책 한 권이 우편으로 배달됐다. 외암사상

    중앙일보

    2010.08.10 00:04

  • "민생이 피폐하면 예의법도를 강요할 수 없는 법”

    "민생이 피폐하면 예의법도를 강요할 수 없는 법”

    1. 현실은 강제적 제어 없이 굴러가지 못해 선비들은 입만 열만 왈, ‘요순의 세상’을 꿈꾸었다. 『예기(禮記)』예운(禮運)은 그 세상을 이렇게 그리고 있다. “천하는 공적 소유

    중앙선데이

    2010.04.10 01:57

  • 대한민국 경제 國父 호암에게 길을 묻다

    보보시도량(步步是道場). 이것이 인생이다. 나는 한 걸음 한 걸음이 바로 도량이라는 생각 아래 사업을 계속 일으켜왔다. 인생은 도량이고 나에게는 끊임없이 사업을 일으켜가는 것이

    중앙일보

    2010.01.02 11:03

  • [명문 家를 찾아서]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이간 家

    [명문 家를 찾아서]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이간 家

    명문가란 통상 한 집안에서 정치인·관료·학자·기업인 등이 다수 배출된 경우을 말한다. 천안·아산에서 명문가로 일컬을 만한 집안을 소개해 본다. “사람과 금수의 본성은 같다” 후손

    중앙일보

    2009.09.22 14:12

  • [새로나온책] 대군의 척후 外

    [새로나온책] 대군의 척후 外

    인문·사회 ◇대군의 척후(주익종 지음, 푸른역사, 432쪽, 2만4000원)=1919년 출범한 경성방직의 성장사를 짚어보며 현대 한국 자본주의의 기원을 찾았다. ◇이향견문록(유재건

    중앙일보

    2008.02.15 19:05

  • '환골탈태' 역사·사상 대작들

    '환골탈태' 역사·사상 대작들

    한국의 역사와 사상을 새로운 형식과 내용으로 재조명한 방대한 시리즈 두 종의 일차분이 잇따라 선을 보였다. 하나는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이만열)가 5년 넘게 준비해 온 '한국 문

    중앙일보

    2005.12.12 22:28

  • 조선初 '사상가 김종직' 다시 보기

    조선시대 유학사(儒學史)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최근 일어나고 있는 새 경향은 주자학을 교조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자유로움을 반영하고 있다. 조선 후기 실

    중앙일보

    2002.10.22 00:00

  • 책꽂이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곤충 백가지(김진일 글·이원규 사진, 현암사, 2만5천원)=곤충학자와 사진작가가 만나 곤충 한 마리 한 마리의 사생활과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펼쳐 놓

    중앙일보

    2002.05.11 00:00

  • 상반된 시각으로 본 도올 동양학

    도올 김용옥의 해석학과 인문주의 함재봉 교수의 김용옥 옹호는 도올이 쓴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절차탁마 대기만성』(통나무) 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책을 도올의 해석학적 입

    중앙일보

    2001.04.21 09:22

  • "남명 조식 학문세계 제대로 알자"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에 대한 학문연구가 탄신 5백주년(음력 6월 26일)을 맞아 큰 진전을 보이고 있다.남명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거유(巨儒)이면서도 동년배

    중앙일보

    2001.02.22 00:00

  • [고전 다시 읽기] '순자'

    고전(古典)은 시대에 맞춰 새로운 번역과 해석을 기다리는 열린 공간입니다. '행복한 책읽기'는 이번주부터 한국사회를 포함한 동서양 고금(古今)의 고전을 되새김질 해보는 '고전 다시

    중앙일보

    2001.01.20 10:21

  • [고전 다시 읽기] '순자' 편

    고전(古典)은 시대에 맞춰 새로운 번역과 해석을 기다리는 열린 공간입니다. ‘행복한 책읽기’는 이번주부터 한국사회를 포함한 동서양 고금(古今)의 고전을 되새김질 해보는 ‘고전 다시

    중앙일보

    2001.01.20 00:00

  • [20세기 명저] 국내 20선

    맑고 깨끗한 지성으로 한 시대의 길을 밝혀 주는 것은 책. 본지 문화부 출판팀은 한 세기의 마감을 기려 20세기의 국.내외 명저 20편씩을 선정했다. 영국 로고스 출판사의 '20세

    중앙일보

    1999.12.23 00:00

  • 왕인 유적론의 반론 근거…聖자는 요히려 불교용어

    현지주민들의 주장에 따라 기자가 조사한 결과, 왕인유적론은 다음과 같은 의문을 남기고 있다. ▶성천의 성 (聖) 자는 유학자 전용물인가 : 성 (聖) 자는 불교와 인연이 더 깊다.

    중앙일보

    1997.11.15 00:00

  • 15.경북 칠곡군 약목역

    1950년 8월13일 인민군 제3사단은 왜관(경북칠곡군)에서 북쪽으로 8㎞ 떨어진 수암산(해발 5백18)서쪽 수중교(水中橋)를 통해 낙동강을 넘었다. 이때부터 40여일간 유엔군과

    중앙일보

    1997.02.19 00:00

  • ◇카페 오데온(막스 프리쉬.대학출판사.1만원)=91년 타계한스위스 작가의 문학수첩. ◇창궁의 묘성(아사다 지로.한경북스.전3권.각권 6천5백원)=중국 청조말을 그린 역사소설. ◇문

    중앙일보

    1996.12.10 00:00

  • 유학의 현대적 조명 활발

    봉건시대의 유물로 비판받아온 유학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학문으로 부활할 것인가. 최근 한·중·일 동양3국 유학자들의 최대 관심은 유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새로운 의미를 찾는

    중앙일보

    1990.06.14 00:00

  • 한국철학 집대성했다|한국철학회서 『한국철학사』 전3권 출간

    『한국철학사』 전3권이 마침내 출간됐다. 『한국철학사』 간행작업은 한국철학회 숙원사업의 하나로 착수한지 13년만에 마무리됐다. 한국철학회 제13대 김태길 회장때인 1974년 여름에

    중앙일보

    1987.05.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