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여기 한 번 가봐요] 영인산·베어트리파크·예당저수지

    [여기 한 번 가봐요] 영인산·베어트리파크·예당저수지

    1 영인산 산림박물관에서 체험학습을 마친 아이들이 갈대밭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가을이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굳이 명소가 아니어도 뒷동산, 가로수길 모두가 늦가을의 운치

    중앙일보

    2013.11.08 00:20

  • [style&] 그녀 스친 자리, 살짝 이는 향기

    [style&] 그녀 스친 자리, 살짝 이는 향기

    여름은 사계절 중 기온과 습도가 가장 높다. 한줌의 바람이 고마운 이때, 그 바람결에 좋은 향까지 전달되면 기분은 더욱 상쾌해진다. 하지만 최고급 향수의 향이라도 땀과 잘못 섞이면

    중앙일보

    2011.06.29 00:14

  • 연기군 전동면 ‘베어트리파크’의 여름

    연기군 전동면 ‘베어트리파크’의 여름

    국도 1호를 따라 대전 방향으로 가다 천안시 경계를 넘으면 바로 나타나는 ‘베어트리파크’. 휴가기간 북적거리는 해변 피서지를 찾았다면 휴가 마지막 하루쯤은 여유있게 이곳을 찾는 건

    중앙일보

    2010.07.26 15:47

  • [home&] ‘가드닝 스쿨’서 배워요, 봄을 키우는 법

    [home&] ‘가드닝 스쿨’서 배워요, 봄을 키우는 법

    대기업을 그만두고 꽃과 정원 일을 배우며 진정한 행복을 찾았다. 왼쪽부터 수강생 이유정(28)·김은주(28)씨, 강사 허윤경(34)·김효림(30)씨. 촬영협조 까사스쿨 02)344

    중앙일보

    2010.03.08 08:43

  • [커버스토리] 시골로 ‘풍덩’

    [커버스토리] 시골로 ‘풍덩’

    여름방학 기간, 산과 들과 바다는 아이들에게 학교가 된다. 뗏목 타기 체험이 한창인 아이들 얼굴이 마냥 즐겁다. 강원도 양양 해담마을에서.충남 청양군 대치면에 광금리란 산골 마을이

    중앙일보

    2009.07.02 00:01

  • 경남 고성 소담수목원, 애걔! 하다가 와아!! 하다

    경남 고성 소담수목원, 애걔! 하다가 와아!! 하다

    수목원에서 묵는 하룻밤, 누구나 별과 꽃과 나무와 바다의 주인이 된다.카페에서 내다본 안뜰.성만기 원장과 부인 이상숙씨꽃을 보고 ‘예쁘다’하긴 쉽습니다. 하지만 그 꽃을 피우느라

    중앙일보

    2008.04.04 00:58

  • 유럽 ‘앞뜰의 봄’ 30년 새 한 달 빨라졌다

    유럽 ‘앞뜰의 봄’ 30년 새 한 달 빨라졌다

    파리에는 1월 말부터 벚꽃과 개나리 등 봄꽃이 피기 시작했다. 사진은 8일 파리 센 강변에 만개한 벚꽃. [사진=전진배 특파원]지구온난화로 인해 유럽 각 지역의 꽃이 빨리 피고 철

    중앙일보

    2008.03.10 02:38

  • 전국 곳곳 봄꽃 축제

    전국 곳곳 봄꽃 축제

    전국 곳곳 봄꽃 축제 봄은 ‘봄’이다 꽃이 있기에… 아닌 눈으로 듣는 교향악. 봄꽃들의 황홀한 연주가 시작될 참이다. 8일 광양 섬진강 매화마을에서 열리는 매화 축제가 신호탄을

    중앙일보

    2008.03.07 18:05

  • [week&] 감이라고 다 같은 감인감

    [week&] 감이라고 다 같은 감인감

    주렁주렁 달린 청도 반시. 청도 감은 유달리 동글납작해 소반 반(盤)자를 써 반시라고 한다. 씨가 없고 수분이 많은 것이 특징.가을의 상징은 셋이다. 단풍, 억새, 그리고 잘 익은

    중앙일보

    2007.10.25 15:33

  • [자 떠나자] 용인 한택식물원 '5월의 미소' 절정

    생강나무.산수유.개나리 등 노란색으로 시작된 봄은 복숭아.살구.사과.배를 비롯해 벚꽃.매화꽃 등 분홍으로 채색되더니 어느덧 불두화.찔레.아카시아 등 흰색 옷으로 갈아입는다. 생활의

    중앙일보

    2003.05.06 17:48

  • [이헌익의 인물오디세이] 헤이리 아트밸리 김언호씨

    과천 외곽에 복숭아 농장이 있다. 그 농원 주인의 수입원은 복숭아 수확이 아니다. 이른바 보신탕을 파는 것이다. 복사꽃이 흐드러진, 혹은 복숭아가 익어가는 나무 아래 평상에서 보신

    중앙일보

    2001.05.21 00:00

  • [낱말 퀴즈] 4월 20일

    1. 한라산.지리산.소백산 등에 무리지어 피어나며 산을 붉게 물들이는 꽃이름에서 따온 잔치. 3. 꽃을 따 전을 부쳐 먹으며 노는 봄놀이. 6. 나는듯 치닫는 호랑이. 날래고 용

    중앙일보

    2001.04.20 00:00

  • 전 내무장관 이상희씨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펴내

    봉선화가 붉어지기 시작하면 여염집 아낙의 손톱과 봉선화는 이내 연인이 된다. 어디 봉선화 뿐인가. 나리꽃이 피면 그 화분 (花粉) 을 모아 손톱에 물을 들이고 가을 문턱에 피는 분

    중앙일보

    1998.11.17 00:00

  • 전통정원 나들이 - 소박미 가득한 사색의 공간

    꽃그림이 그려진 토담 아래 볕뉘를 받으며 서있는 늙은 소나무.정자에 앉아 멀리 시선을 던지면 화려하지 않은 연못과 자연스럽게 쌓인 석축이 볼수록 정겨운 한국의 전통정원. 봄이 오는

    중앙일보

    1997.03.20 00:00

  • 세종로.고수부지 5곳등에 조성 도심 자연학습장

    도심(都心)에서 자연을 배운다. 원두막과 호박.토마토.가지.오이.옥수수.벼.유채꽃.나팔꽃…. 시골에서나 구경할 법한 각종 꽃과 농작물을 심어놓은 도심 한가운데의 자연학습장이 인기를

    중앙일보

    1996.07.17 00:00

  • (17) 일본 센다이·야마가타 지방|백설의 평원서 스키 타며-노천 온천도 즐긴다

    일본인들의 마음 한구석에는 늘 북쪽지방에 대한 동경이나 향수 같은 게 깔려 있다. 그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 가사나 시어 가운데는 「북국」이니 「설국」이니 하는 단어들이 자주 등장하

    중앙일보

    1990.12.02 00:00

  • "전원에 묻혀 자연을 그린다" 미술인들 탈서울 바람

    화가들이 서울을 떠나고 있다. 올들어 서울을 떠난 화가만도 10여명. 이미 서울을 떠났거나 떠날 준비를 하고 있는 화가까지 합하면 50명이 넘는다. 이들의 탈서울은 시골에 아틀리에

    중앙일보

    1986.08.07 00:00

  • 한국산 벚나무

    한국산 벚나무가 미국의 어느 대학 교정에서 40여 년 동안이나 자라고 있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다. 장년이 다 된 수령이면 제법 우람하고 볼품이 있을 것 같다. 워싱턴시의 아메리칸

    중앙일보

    1986.04.14 00:00

  • 식목할때는 쓸모있는 나무심자|조림요령과 권할만한 정원수

    얼었던 땅이 풀리면서 식목철이 다가왔다. 올해는 또 88올림픽개최에 따른 국민식수 5개년계획의 시행 첫해로 정부는 앞으로 86년까지 1억2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나무를

    중앙일보

    1982.03.23 00:00

  • 안마당에 봄을 불러 둘이자-식목일 맞아 알아본 화단손질·나무심기 요령

    화신의 북상소식과 함께 봄볕이 따사롭다. 5일은 일요일이자 식물일. 산과 들에서 나무를 심고 가꾸는 것도 중요하지만 삭막한 도시의 공간을 아늑한 전원으로 꾸며 보는 것도 뜻 있는

    중앙일보

    1981.04.04 00:00

  • 식수철이 성큼…묘목시세를 알아본다|종류와 고르는 법

    입춘·우수가 지나 곧 나무 심는 계절이 돌아온다. 이미 전국의 묘목에는 올 봄에 시집가기를 기다리는 갖가지 묘목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식목철이면 가장 궁금한

    중앙일보

    1981.02.26 00:00

  • (87)|살구나무를 심자 (2)

    살구나무가 새 유실수로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살구나무는 수익성이 높은 경제 과수이면서 화창하고 순수하며 서민적인 꽃이 되는 관상 수 구실을 겸하고 있다. 살구나무는 중국 및

    중앙일보

    1977.04.05 00:00

  • (370)제주 문주란

    짙은 꽃 냄새가 해풍에 은은히 풍긴다. 사방을 둘러봐도 문주란 향기뿐 인적마저 끊긴 조그만 모래 섬-제주도 북제주군 구좌면 하도리 난석서 속칭 토끼섬. 이곳은 8월의 뙤약볕아래

    중앙일보

    1973.08.18 00:00

  • (10)뜰

    뜰의 꾸밈새는 영 달라졌다. 옛날 뜰을 꾸미던 전래의 솜씨는 찾아볼수없다. 주택양식이 달라진 때문일까. 그렇다고해서 그 양옥에 어울리는 뜰을 찾아보기도 어렵다. 일본인이 버리고 도

    중앙일보

    1968.04.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