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정호의 시시각각] 깐부 할배 오영수의 ‘괜찮은 놈’

    [박정호의 시시각각] 깐부 할배 오영수의 ‘괜찮은 놈’

    연극 '라스트 세션'에서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프로이트로 나오는 오영수. [사진 파크컴퍼니] 팩트 체크 하나. ‘깐부 할아버지’ 오영수(78)의 데뷔작은 영화 ‘갯마을’(1965)

    중앙일보

    2022.01.17 00:39

  • [시선2035] 말하지 못하는 것

    [시선2035] 말하지 못하는 것

    여성국 탐사팀 기자 골든글로브 수상 발표 전, 배우 오영수(78)의 연극 ‘라스트 세션’을 봤다. 죽음을 앞둔 무신론자(프로이트)와 젊은 유신론자(루이스)가 삶과 죽음, 고통의

    중앙일보

    2022.01.17 00:18

  • [후박사의 힐링 상담 | 히스테리 아내와의 갈등 극복] 조건없이 긍정하고 가슴으로 이해해야

    [후박사의 힐링 상담 | 히스테리 아내와의 갈등 극복] 조건없이 긍정하고 가슴으로 이해해야

    히스테리는 연예인·정치인에게 많은 연극적 성격 … 진실성·존중·공감으로 대처를   그는 40대 초반의 회계사다. 서른이 넘어 유명 회계법인을 박차고 나와 사업을 시작한 후 그간 회

    중앙일보

    2017.07.16 00:02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산불을 두려워하면 산불이 내게 온다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산불을 두려워하면 산불이 내게 온다

    김형경소설가“산불 지킴이로 일하다가 산불로 모든 것을 잃은 모씨에게….” 재기할 수 있도록 자동차를 선물했다는 광고가 있었다. 카피를 듣는 순간 마음의 법칙 한 가지가 증명되었구나

    중앙일보

    2016.12.17 00:01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무책임한 위로라도 필요한 시기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무책임한 위로라도 필요한 시기

    김형경소설가해병대에 입대한 조카 친구는 새로운 환경과 역할에 적합한 사람이 되기 위해 힘든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군부대에서 조카에게 전화해 불편한 마음을 표현하는 눈치다. 조카가

    중앙일보

    2016.11.19 01:00

  • 셰익스피어는 없었다?

    셰익스피어는 없었다?

    1623년 출판된 셰익스피어 작품집(볼티모어 월터스 미술관 소장)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관한 작가 진위 문제는 문학 역사 상 최대 규모의 지속적인 조사로 꼽힌다. 이것은 순전히 셰익

    온라인 중앙일보

    2015.02.19 00:01

  • [詩人의 음악 읽기] 절벽 앞에서 멈추는 아찔한 그 느낌

    [詩人의 음악 읽기] 절벽 앞에서 멈추는 아찔한 그 느낌

    1850년의 로베르트 슈만. 초기 사진 인화기법인 다게레오타이프(은판사진법) 사진이다. 꽤 여러 번 같은 말을 한 것 같다. 언제나 내게 깊은 탐구심을 안겨 주는 작곡가는 슈만과

    중앙선데이

    2014.12.28 02:32

  • 행복 타령은 헛소리 … 불행에 대한 면역력 키워라

    행복 타령은 헛소리 … 불행에 대한 면역력 키워라

    비교정신분석 전문의 이나미 박사는 “정신치료의 목적은 상담을 통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다. 고통이 우리의 성장을 위한 큰 자양분임을 받아들이는 데 있다”고 말했다. [권혁재

    중앙일보

    2013.08.27 01:02

  • 딸의죽음·부인 외도…50대 '천재음악가' 결국

    딸의죽음·부인 외도…50대 '천재음악가' 결국

    유대인의 음악적 소양과 재능은 널리 알려져 있다. 작곡가·지휘자·연주자 중 유대인이 많다. 오랜 유랑 생활을 통해 받은 설움과 울분이 이들의 음악적 감성을 키웠다. 특히 현악기 연

    온라인 중앙일보

    2012.12.16 02:22

  • 평생 2등 인간으로 살다 간 ‘빈 3대 천재’

    평생 2등 인간으로 살다 간 ‘빈 3대 천재’

    유대인의 음악적 소양과 재능은 널리 알려져 있다. 작곡가·지휘자·연주자 중 유대인이 많다. 오랜 유랑 생활을 통해 받은 설움과 울분이 이들의 음악적 감성을 키웠다. 특히 현악기

    중앙선데이

    2012.12.16 01:23

  • 한국형 과시 생활

    한국형 과시 생활

    나는 김기덕 감독을 오래전부터 존경해 왔다. 누가 뭐라 해도 그의 영화가 좋았고, 돈보다는 신념을 좇는 삶도 감동적이다. 직접 집을 짓고 텃밭을 화장실로 쓰는 무공해 삶이 특히

    중앙선데이

    2012.09.16 02:04

  • “응가, 응가 …” 아기에게 강요하면 변비 걸린대요

    “응가, 응가 …” 아기에게 강요하면 변비 걸린대요

    “기저귀 없이 지내다가 변을 볼 땐 꼭 기저귀를 채워달라고 해요.” “변기 뚜껑을 덮고 쪼그리고 앉아야 변을 봐요.” 아이들이 배변을 가리는 시기와 습관은 가지각색이다. 규칙적이고

    중앙일보

    2012.07.02 03:40

  • 책으로 만나는 ‘하버드대 행복학’

    책으로 만나는 ‘하버드대 행복학’

    TV가 행복해지는 법을 읽어준다. 11일 밤 11시 40분 방송되는 KBS 1TV의 ‘책 읽는 밤’은 『하버드대 52주 행복 연습』을 소개한다. 수년간 하버드대 최고 인기 강좌였

    중앙일보

    2011.01.11 00:09

  • 열녀 춘향은 식민지와 근대화의 산물

    열녀 춘향은 식민지와 근대화의 산물

    사진 신인섭 기자 shinis@joongang.co.kr 프로이트에 따르면 공포란 유년 시절 억눌렸던 욕망이나 문명화 과정 중 억압된 미신이 사라지지 않고 어딘가에 잠복해 있다가

    중앙선데이

    2008.07.12 18:23

  • 정도언 교수·홍택유 원장, 국제정신분석학회 첫 정회원

    정도언 교수·홍택유 원장, 국제정신분석학회 첫 정회원

    정도언(鄭道彦.52) 서울대 의대 신경정신과 교수와 홍택유(洪澤裕.50) 홍신경정신과 원장이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국제정신분석학회가 인정하는 정신분석가 자격을 획득했다. 鄭교수 등

    중앙일보

    2004.03.24 09:52

  • 정도언 교수·홍택유 원장, 국제정신분석학회 첫 정회원

    정도언 교수·홍택유 원장, 국제정신분석학회 첫 정회원

    정도언(鄭道彦.52) 서울대 의대 신경정신과 교수와 홍택유(洪澤裕.50) 홍신경정신과 원장이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국제정신분석학회가 인정하는 정신분석가 자격을 획득했다. 鄭교수

    중앙일보

    2004.03.23 19:03

  • [책꽂이] '와인' 外

    [책꽂이] '와인' 外

    ◇와인(손진호 글.사진, 대원사, 8천5백원)=무절제한 음주 문화가 점차 사라지면서 와인을 즐기려는 인구가 늘고 있다. 와인은 품종이나 만들어진 고장에 얽힌 이야기, 레이블 디자

    중앙일보

    2003.04.18 16:28

  • [지식/교양] '프로이트와 담배'

    프로이트와 담배/필립 그랭베르 지음/뿌리와 이파리, 1만3천원 프랑스의 정신분석가 필립 그랭베르는 중국의 린위탕(林語堂)과 많이 닮았다. 임상의사이면서도 정신분석학을 통해 사회문화

    중앙일보

    2003.01.17 16:27

  • [세계 지식인 지도] 정신분석학 새 지평 연 자크 알랭 밀레

    20세기를 대표하는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철학자인 자크 라캉의 제자이자 사위인 자크-알랭 밀레(Jaques-Alain Miller)는 라캉의 세미나 편집자이자 현 정신분석학계에

    중앙일보

    2001.11.15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밀레의 스승' 라캉

    자크 라캉(1901~81)은 레비 스트로스와 함께 프랑스 사상의 비주류에 속하면서 가장 급진적인 사유를 생산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라캉은 프랑스 지성의 집합처인 고등사범학교로

    중앙일보

    2001.11.15 00:00

  • 사이버 중독증 편견 [2]

    인간의 근본 욕구들 억압된 욕구들을 충족시켜주는 모든 쾌락대상들은 인간에게 〈집착, 중독〉을 유발할 가능성을 지닌다. 정신분석학자들이 제시하는 인간의 근본욕구들은 다음과 같다. 심

    중앙일보

    2001.07.20 10:57

  • 자크라캉 탄생 100돌 맞아 조명 활발

    "이 정신과의사야말로 정신과의사가 필요한 것처럼 보입니다. " 독일의 실존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가 이처럼 '악담' 을 한 대상은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라캉이다. 하이데거는 라캉으로

    중앙일보

    2001.04.05 00:00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11. 서재

    평생 마음 속에 간직하고 살아온 공간은 한 개인에게 가장 소중하고,의미 있는 공간일 것이다.그래서 그 공간은 대개 평생 추구해온 일들과 연계돼 있다.가만히 마음 속의 공간을 더듬다

    중앙일보

    2001.03.21 00:00

  • [노트북을 열며] 내 마음 속의 권력

    도처에 권력이다. 정치뿐 아니라 돈이나 미디어에도 그것은 숨어 있다. 심지어 그 반대편에 있어야 할 지식.종교.문학 등에도 권력은 살아 움직인다. 그러니 끊임없이 충돌이 생기고 나

    중앙일보

    2000.09.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