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男兒선호 언제까지

    우리나라엔 남부끄러운 「세계 1위」가 몇몇 있다.그중 대표적인 것이 남자 어린이의 출생률이 여자 어린이의 출생률보다 현저히 높은 성비(性比)불균형 문제.94년 현재 국내 출생성비는

    중앙일보

    1996.08.05 00:00

  • 한국 남자는 불쌍해

    40대 한국남성의 중도사(中途死)비율이 여성보다 훨씬 높다는사실은 다 알고 있으나 이것을 25~45세의 한창 나이로 확대시켜봐도 여전히 여성보다 높다는 사실은 보통문제가 아니다.거

    중앙일보

    1995.12.15 00:00

  • 북한인구|우리의 절반…증가율은 두배

    남북한교류합의서 채택이후 남북관계 개선 및 경제교류확대등에 대한 기대가 크다. 서로 필요한 물품을 갖다 쓰고 사람들도 왔다갔다 하다보면 자연스레 통일의 날도 올 것이다. 지금 북한

    중앙일보

    1991.12.17 00:00

  • 두명중 한명이 수도권에 산다

    10년후엔 새로운 세기가 시작된다. 21세기는 20세기 중반이래 우리가 최대의 소망을 품어왔던 두가지 꿈을 실현시키는 세기가 돼야한다. 남북한의 분단을 청산, 통일조국을 만들며 통

    중앙일보

    1991.09.25 00:00

  • 양날의 칼(분수대)

    인간을 포함해서 포유동물의 정자에는 X정자와 Y정자가 반반씩 포함돼있다. 난자가 X정자로 수정하면 여성이,Y정자와 결합하면 남성이 태어나도록 돼있는 것이 자연의 섭리다. 1983년

    중앙일보

    1991.04.14 00:00

  • 10년 후엔 장가가기 힘들어진다

    흔히 통계는 복잡하고 어렵다고들 한다. 그러나 통계의 뒤에는 여러 가지 많은 정치·사회·경제현상이 함축돼있다. 우리가 꼭 알아두어야 할 생활주변 속의 통계를 이야기 형식으로 쉽게

    중앙일보

    1990.12.07 00:00

  • 어린이감소 "좁은 문 대입" 없어진다|미리 내다본 2천20년 한국인구

    경제기휙원 조사통계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는 85년 인구센서스 결과와 지난해 출생·사망신고 등 인구동태자료를 이용, 새로 인구구조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인구증가 가정지될 오는2

    중앙일보

    1989.11.06 00:00

  • 평균수명 70세 넘었다|기획원 88인구동태 조사

    우리나라의 출생률은 인구 1천명당 15.8명으로 사망률(5.9명)을 뺀 인구자연증가율(0.99%) 이 1%를 밑돌아 2020년에는 인구증가가 정지될 전망이다. 또 지난해 평균수명은

    중앙일보

    1989.11.02 00:00

  • 남·숫자가 비슷해졌다.

    남자가 많고 여자가 적은 우리 나라 인구의 성비(성비)불균형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 여자인구 1백명에 대한 남자 수를 나타내는 성비가 80년 1백1·8을 고비로 점차 낮아져 올해는

    중앙일보

    1989.10.11 00:00

  • "둘도 많다 하나만 낳자" 성과

    최근의 출생·사망·혼인신고등을 85년 인구센서스와 새로이 취합, 분석해낸 이번 신인구 추계의 두드러진 특징은 출생률이 갈수록 떨어져 우리의 인구구조가 선진국형에 접근하고있다는 점이

    중앙일보

    1988.11.16 00:00

  • 인구통계와 표계산|김수길

    엊그제 발표된 85년 인구·주택 센서스를 보고 어떤 통계보다 더 각별히 의미를 느끼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우선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에게는각 지방 출생자들이 몇명씩이나 되고 그중

    중앙일보

    1987.11.11 00:00

  • 한국인구 3468만 8천명-10월 인구센서스 결과

    지난 10월1일 실시한 「센서스」결과 30일 현재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3전4백68만8천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숫자는 70년의 총인구 3천1백43만5천명에 비해 5년간 3백

    중앙일보

    1975.12.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