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33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마이후(馬一浮, 1883∼1967)는 철학과 문학에 정통했던 학자이며 시인이고 서예가였다. 외국어

    중앙선데이

    2008.07.28 14:54

  • [브리핑] 송선생의 중국문학교실 外

    [브리핑] 송선생의 중국문학교실 外

    ◇중국인과 중국문화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근현대 문학을 소개한 『송선생의 중국문학교실』(송철규 지음, 소나무, 각 권 511~575쪽, 각 권 1만5000원)이 출간됐다. 한중대 한

    중앙일보

    2008.06.21 00:58

  • 먹물이 튀듯 생생한 옛 선비들의 자연사랑

    먹물이 튀듯 생생한 옛 선비들의 자연사랑

    17세기 활약한 김명국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기려도’. 유유자적한 선비와 몸종의 대비가 절묘하다.“무리를 떠났으니 누구와 같이 시를 읊을까(離群誰與共吟壇) 바위의 새와 개울의 물고

    중앙일보

    2008.05.02 01:16

  •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33 자본론을 중국에 처음 들여온 馬一浮 마이후(馬一浮, 1883∼1967)는 철학과 문학에 정통했던 학자이며 시인이고 서예가였다. 외국어도

    중앙선데이

    2007.11.03 22:18

  • [도올고함(孤喊)] 한국고전번역원을 '인문학의 카이스트'로

    [도올고함(孤喊)] 한국고전번역원을 '인문학의 카이스트'로

        4일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왼쪽으로부터 전문위원 박헌순, 기획실장 이규옥, 편찬실장 백한기, 국역실장 김성애, 국역연구소장 서정문. 유능한 번역 상근연구원을 확보하고 있는

    중앙일보

    2007.09.05 04:54

  • [인사] 국무총리비서실 外

    ◆국무총리비서실 ▶시민사회비서관 김화준▶교육훈련파견 윤창렬▶민정2비서관 최병환 ◆보건복지부 ▶감사팀장 배종성▶혁신인사팀장 양성일▶사회서비스기획팀장 조남권▶생명윤리안전팀장 양병국▶

    중앙일보

    2007.08.07 04:52

  • 고려 대장경판, 조선왕조 의궤 '세계기록문화유산' 됐다

    고려 대장경판, 조선왕조 의궤 '세계기록문화유산' 됐다

    14일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자문위원회는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諸經板.같은 장소에 보관된 다른 경판들)'과 '조선왕조 의궤(儀軌)'의 세계기

    중앙일보

    2007.06.15 04:34

  • [노트북을열며] 3·1절과 고종의 홍릉

    3.1절이다. 88년 전 이날 한반도에는 '대한 독립 만세'가 울려 퍼졌다. 태극기도 일렁였다. 그날은 조선 26대 임금 고종의 인산일(因山日.장례일)이기도 했다. 고종의 정확한

    중앙일보

    2007.02.28 20:52

  • [인사] 교육인적자원부 外

    ◆교육인적자원부▶재정기획관 전찬환▶서울시교육청 정동훈▶행정자치부 이화복▶한국해양대 사무국장 김원찬▶장관 정책보좌관 류장수 ◆행정자치부▶지방세제관 김동완▶안전정책관 이상복 ◆법무부▶

    중앙일보

    2007.02.03 05:49

  • [인사] 과학기술부 外

    ◆과학기술부▶재정기획관 김진경▶생명해양심의관 김성수▶중앙공무원교육원 파견 장기열▶국방대 파견 홍남표 ◆행정자치부▶울산시 부시장 하동원▶혁신기획관 오형국▶소청심사위원 김국현▶국민고충

    중앙일보

    2007.01.23 05:28

  • '동의보감' 정보도 클릭 한번에! … 국립중앙도서관, 고서 41만 종 DB 구축

    조선시대 대표적 의학서인 허준(1546~1615)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입력하자 모두 206건의 고서가 검색됐다. 경상대 도서관에 소장된 '동동의보감침구편(東東醫寶鑑鍼灸篇)'

    중앙일보

    2006.12.20 20:44

  • [알림] "인문학 살릴 방법 있어요"

    [알림] "인문학 살릴 방법 있어요"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한국학술진흥재단은 중앙일보 후원으로 25~30일을 '인문 주간'으로 설정해 다채로운 행사를 펼칩니다. 이번 행사는 '열림과 소통의 인문학'을 주제로 위기에 빠진

    중앙일보

    2006.09.22 06:01

  • '마지막 황실 … ' 사진전 서울대 박물관서 열려

    '마지막 황실 … ' 사진전 서울대 박물관서 열려

    부축받는 고종 고종 황제(왼쪽 중앙)가 1918년 1월 15일 창덕궁 선원전(선대왕의 어진을 모신 곳)에 예를 올리기 위해 침소인 덕수궁 함녕전을 나서고 있다. 오른편 무리의 중심

    중앙일보

    2006.05.26 20:28

  • [브리핑] 왕실 의궤 등 세계기록유산 추진

    정부는 조선시대 왕실 행사를 기록한 의궤(儀軌)와 고려 시대 팔만대장경 경판을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신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3월에 신청하면 내년 중반

    중앙일보

    2006.01.31 05:21

  • [바로잡습니다] 1월 4일자 1면과 27면에 실린 다산 정약용의 시 표현

    1월 4일자 1면과 27면에 실린 다산 정약용의 시 표현이 서로 달라 바로잡습니다. 1면 '정약용 시 10편 새로 발견' 제하의 기사 중 한시의 "山客掛琴歸(산객괘금귀)" 구절은

    중앙일보

    2006.01.05 05:27

  • 다산, 정치 라이벌과 시정 주거니 받거니

    다산, 정치 라이벌과 시정 주거니 받거니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시는 지금까지 2466수가 알려져 있다. 이번 발견으로 10편이 추가됐다. 하지만 새로 찾은 시는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다산과

    중앙일보

    2006.01.04 07:28

  • 정약용 시 10편 새로 발견

    정약용 시 10편 새로 발견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시 10편이 새로 발견됐다. 다산이 당시 노론 계열의 주요 이론가 중 한 명이었던 문산 이재의와 주고받은 시 모음집에 들어 있

    중앙일보

    2006.01.04 04:52

  • 조선시대 '임금님 도장' 국새도 사라졌다

    제헌헌법 원본과 대한민국 최초 국새가 분실된 사실이 밝혀진 데 이어, 조선시대 국새도 모두 없어진 것으로 밝혀졌다고 조선일보가 8일 보도했다. 감사원은 7일 문화재 지정과 관리실태

    중앙일보

    2005.11.08 09:07

  • 조선 왕실 행사 직접 보는 듯

    조선 왕실 행사 직접 보는 듯

    ▶ 영조와 정순왕후의 혼례식을 기록한 의궤의 일부. 안성식 기자 "얼마전까지만 해도 전통문화하면 대개 민중·민속적인 것을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어요. 역사학계조차 예외가 아니었죠.

    중앙일보

    2005.07.19 20:48

  • [인사] 해양수산부 外

    ◆ 해양수산부▶공보관 임기택▶감사관 김영석▶해양정책국장 신평식▶해운물류" 이재균▶국립해양조사원장 곽인섭▶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이인수▶인천항건설사무소장 이용기▶2012여수세계박람회유치

    중앙일보

    2005.01.20 17:54

  • 민속박물관 기획展 31일부터…甲申年 "잔나비 납시오~"

    민속박물관 기획展 31일부터…甲申年 "잔나비 납시오~"

    2004년 새해 갑신년(甲申年) 원숭이의 해를 맞아 오는 31일부터 내년 2월 9일까지 '갑신년 잔나비 띠' 기획전이 열린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홍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에

    중앙일보

    2003.12.28 17:51

  • 甲申年 맞아 역사 속 잔나비 찾기

    2004년 새해 갑신년(甲申年) 원숭이의 해를 맞아 오는 31일부터 내년 2월 9일까지 '갑신년 잔나비 띠' 기획전이 열린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홍남)이 주최하는 이번 전시에는

    중앙일보

    2003.12.25 19:54

  • 조선 對外정벌사 다룬 '국조정토록' 목판본 발견

    조선시대 대외정벌사를 다룬 '국조정토록(國朝征討錄)' 목판 인쇄본이 발견됐다. 상.하권으로 된 이 책은 훈련도감(訓鍊都監.1594년 설치)의 목활자로 찍었다. 임진왜란 때 일본에

    중앙일보

    2003.09.18 17:59

  • 정신문화硏 25년 고문서 특별전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하 정문연)은 개원 25주년을 기념해 '기탁 고문서 명품 특별전시회'와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적 정체성'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동시에 개최한다. '고문서 특

    중앙일보

    2003.06.24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