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잠실대교∼한양대앞∼용비교|강변2로 통행료 받기로|내년부터

    서울시는 15일 지난 72년에 준공, 개통된 강변2로(잠실대교∼한양대 앞 용비교간 연장5km)의 통행료를 내년부터 징수할 것을 검토중이다. 서울시의 이 같은 조치는 영동교가 지난8

    중앙일보

    1973.11.15 00:00

  • 버스 9개 노선 일부 변경

    서울시는 8일 영동교 개통을 계기로 시내 버스 9개 노선 1백72대의 운행 계통 일부를 변경, 영동교를 통과하는 「버스」는 이날부터, 나머지는 오는 12일부터 시행하도록 했다. 바

    중앙일보

    1973.11.08 00:00

  • (381)한강의 7번째 다리 영동교

    서울의 한복판을 가로질러 흐르는 한강, 뚝섬 나루터에 또 하나의 다리가 놓였다. 한강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일곱번째 다리가 되는 영동교가 7일의 개봉을 앞두고 주변 정리 등 마지막

    중앙일보

    1973.11.03 00:00

  • 역살 뒤 차 전복, 승객 등 셋 중상

    9일 하오5시30분쯤 성동구 자양동1 잠실대교입구를 과속으로 달리던 서울7아4007호 삼륜차(운전사 임용남·23)가 길을 건너던 송순녀씨(53·성동구 자양동37)를 치어 죽인 뒤

    중앙일보

    1973.10.10 00:00

  • 한강에 6개 대교 새로 건설

    서울시는 29일 오는 80년대까지 1백68억 원을 들여 한강 남북을 잇는 6개의 대교를 건설키로 했다. 이 중 천호·반포·난지대교는 74년부터 80년까지, 행주·여의·동부대교는 8

    중앙일보

    1973.08.29 00:00

  • 복구작업 끝날 때까지 차량통행을 금지

    경찰은 19일부터 사고가 난 광진교의 복구작업이 끝날 때까지 차량통행을 금지, 잠실대교로 우회하도록 했다. 복구작업은 1주일쯤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에도 자전거·손수레·우마

    중앙일보

    1973.08.20 00:00

  • 가로등 없는 천37m

    서울중심부와 동부서울·경기도 광주지방을 잇는 광진교는 길이 1천37m, 폭 7.4m. 일제 때인 1936년9월에 건립, 6·25때 파괴된 것을1953년 미 공병대가 복구, 사용해

    중앙일보

    1973.08.20 00:00

  • 일부버스 상계동방면으로「삼희통운」운행정지 따라

    서울시는 18일 상계동지역으로 운행하던 삼희운수 보유 「버스」의 운행정지와 광진교포장공사에 따라 이날부터 일부 시내「버스」의 노선을 변경 운행 토록했다. 변경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앙일보

    1973.06.18 00:00

  • 자전거탄 중학생 트럭에 치여 즉사

    17일 하오4시30분쯤 서울 성동구 잠실대교 위에서 자전거를 타고가던 건국중학교 2년 추경력군(13·성동구 중곡동 산2의112)이 쓰FP기를 싣고 광주대단지 쪽으로 과속으로 달리던

    중앙일보

    1973.05.18 00:00

  • 상습 침수지역 무허채토|장마철 맞아 단간진타 성동구 석촌동

    상습 침수지역인 서울성동구석촌동일대 3천3백여평이 당국의 허가 없이 업자에 의해 마구 파헤쳐져 장마기를 앞두고 또다시 침수의 우려가 있다고 주민들이 진정하고 있다. 잠실대교 남쪽

    중앙일보

    1973.05.12 00:00

  • 상습 침수지역 무허채토|장마철 맞아 단간진타 성동구 석촌동

    상습 침수지역인 서울성동구석촌동일대 3천3백여평이 당국의 허가 없이 업자에 의해 마구 파헤쳐져 장마기를 앞두고 또다시 침수의 우려가 있다고 주민들이 진정하고 있다. 잠실대교 남쪽

    중앙일보

    1973.04.19 00:00

  • 46개버스 노선 조정

    서울시는 14일 시내「버스」의 노선별 번호를 재조정, 오는 20일부터 시행하도록 했다. 시당국의 이번조치는 동일번호의 시내「버스」가 2개이상의 노선을 운행함으로써 승객들에게 승차혼

    중앙일보

    1973.03.14 00:00

  • (2)토지구획정리|올해 쓸 수 있는 공비는 14억 원

    서울시는 올해 52억9천3백69만1천 원으로 9개 지역 78만여 평에 토지구획정리사업을 벌인다. 이 가운데 순 공사비는 현금7억2천4백50만6천 원과 채무 액(74년도 예산에서 상

    중앙일보

    1973.01.08 00:00

  • 국민교생 역사

    20일 하오 3시45분쯤 서울 성동구 자양동 141 앞길을 건너던 이완주씨 (43·성동구 자양동 142)의 장남 병찬 군 (7·자양 국민교 1년)이 동아 석유 소속 서울 자9-13

    중앙일보

    1972.12.21 00:00

  • 연희로·이문로·장승로·관악로·영동1∼6 로 등 47개 새 간선로 이름 붙여

    서울시는 25일 지금까지 이름이 없던 시내 47개 신설간선도로에 이름을 짓고 2개 기존 가로 명을 바꾸는 한편 5개 노선구간을 조정, 각각 새 이름을 달았다. 폭이 15m이상이거나

    중앙일보

    1972.11.25 00:00

  • 한강 남안쪽 「강변로」이름 구별|"강남로"라 부르기로

    서울시는 21일 지금까지 남안과 북안의 구별 없이 강변로(1로∼10로)로 불리던 한강변 도로를 하일동 시계를 기준으로 남안은 강남1로∼5로, 북안은 강변1로∼5로로 부르기로 하고

    중앙일보

    1972.11.21 00:00

  • 푸른 동심이 나래 펼 꿈의 궁전|어린이 대공원의「마스터·플랜」을 본다

    서울 성동구 능동 산3의2 소재 전 서울「컨트리·클럽」자리 12만6천평에「어린이대공원」의 설립계획을 확정한 서울시는 9개 부문 55개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작업에 들어갔다.

    중앙일보

    1972.11.02 00:00

  • 어린이 대공원 착공

    서울시는 1일 오는 3일 하오2시에 기공될 「어린이 대공원」건설계획을 확정했다. 서울 성동구 능동 전 서울「컨트리·클럽」부지 12만 6천 평에 총 12억 원(시비 10억 2천만원,

    중앙일보

    1972.11.01 00:00

  • 「종암동∼동선동∼정능동」등 29개 노선에 건축물 「벽면선」 설정키로

    서울시는 11일 도시조경을 위한 건축 벽면선을 설정, 29개 노선(21.36㎞)에 새로 건물을 지을 때는 도로 경계선에서 3m 후퇴한 선을 건축물 벽면선으로 하고 보도와 벽면선 사

    중앙일보

    1972.10.11 00:00

  • (1)시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캠페인」|도로

    8·19수해는 수도 서울시민의 안전생활을 완전 위협했다. 유사이래 처음이라고 하는 대홍수였지만 서울은 6백만 인구에 1년 예산 8백억원을 쓰는 세계 제8위의 대도시이다. 시민의 안

    중앙일보

    1972.09.05 00:00

  • 「단절」을 말해주는 낯익으면서도 낯선 풍경|본사 이광표 특파원, 27년만에 본 북의 산하

    【평양=대한민국 신문·통신 공동취재단】29일 하오 2시25분 단절 27년만에 평양 땅을 밟았다. 판문점에서 평양까지 2백21km. 자동차로 3시간55분이 걸리는 지척-. 4반세기동

    중앙일보

    1972.08.30 00:00

  • 산하를 삼킨 수마|청평서 한강하류까지...물난리의 현장 공중 르포

    관상대 관측사상 최고를 기록한 평균 4백50mm의 집중폭우는 서울·경기지방을 너무나도 무참하게 짓밟았다. 남한강까지 범람하자 여주.·양평까지 침수, 한강유역의 피해는 더욱 혹심하다

    중앙일보

    1972.08.21 00:00

  • 서울대교·광장·잠실 교·강변로 등 13개 도로 차단

    양택식 서울시장은 19일 상오 10시를 기해 한강제방의 차량진동을 피하기 위해 모든 강변도로(l로∼6로)의 통행을 차단토록 지시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화양동∼면목동, 공덕동∼서

    중앙일보

    1972.08.19 00:00

  • 6백 여명 물에 갇혀

    계속 불어나는 강물로 19일 상오 현재 한강하류 곳곳에서 물에 갇힌 주민 6백여 명이 구조를 요청, 육군「헬리콥터」가 출동,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날 상오 8시20분부터 잠

    중앙일보

    1972.08.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