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호주는 언제, 어떻게 발견됐나

    KBS제3TV『세계의 다큐멘터리』(27일 밤8시)=「바다의 신비-난파선을 찾아서」.섬대륙 오스트레일리아가 언제,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처음 발견되었는지 그 과정이 공개된다. 본의

    중앙일보

    1984.08.27 00:00

  • 제7회 중앙 미술대전|입상작 지상전시회

    ▲김병종(양지 I) ▲김지현(공사장) ▲강경구(벽 I) ▲김아영(어두운 날-저녁) ▲신산옥(이웃) ▲우상기(정) ▲배성환(신벽화 Ⅱ) ▲조은아(허상) ▲박용유(운수) ▲박병준(팔

    중앙일보

    1984.06.09 00:00

  • 도도히 흐르는 가락은 선악의 경지에

    지난 27일 저녁7시, 소극장 공간사랑에서 열렸던 제23회 전통예술의 밤은 싸늘했던 날씨와는 달리 열기있는 음악회였다. 음악회의 부제는 「지영희·성금연선생 가락을 찾아서」였는데,

    중앙일보

    1984.02.29 00:00

  • (370) 성인병

    예전에는 60세가 되면 회갑이라고 하여 아들·손자·며느리들이 모두 모여 잔칫상을 벌였지만 지금은 60세는 청년이라고 스스로 평하고 70세쯤되면 회갑잔치와 비슷한 잔치를 하겠다는 사

    중앙일보

    1983.09.07 00:00

  • 네팔 고산족의 생활과 종교

    네팔의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 및 종교가 소개되고 이들의 풍습을 조명한다. 티베트인들의 흥겨운 활쏘기대회도 같이 보고 건축양식도 특이해 흥미를 더해준다.

    중앙일보

    1983.05.07 00:00

  • 역사의 왜곡

    일본 역사교과서의 왜곡된 기술에 대한 문제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하나는 한국과 중공, 소련을 포함하는 일본의 이웃나라들이 모두 일본교과서의 기구태도를 비관하고 나서고

    중앙일보

    1982.07.22 00:00

  • (9)체미 3년 본대로 들은 대로…김재혁 전 특파원(9)|흑인의 도시집중

    미국에서도 농촌 일손의 이농현상과 무작정 상경이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중류층 이상의 백인들은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찾아서 가까운 교외의 자연 속으로 들어가거나 멀리 남부

    중앙일보

    1982.06.12 00:00

  • 사회·교양

    KBS 제3TV『자연과 모험』(13일 상오10시10분)=「코뿔소를 찾아서」. 푸른 숲과 상 록의 밀림이 있는 야생기방으로 인도 코뿔소를 찾아 나선다. 살아 있는 고대의 원시 동물인

    중앙일보

    1982.06.12 00:00

  • 【터론토=김건진특파원】 북미주의 반한강경파는 "사실상의 북괴공작원"|79년 「세인트·루이스」집회서도 "주한미군 철수」주장|가족찾기 운동구실로 교포들 북괴방문 주선

    북미주에서 반정부운동이 일어난 것은 꽤 오래전 일이지만 북괴가 반한세력의 일부를 포섭하기 시작한 것은 78년 미 세인트루이스에서 개최됐넌 소위 「한국민주화국민연합 미주본부대회」 (

    중앙일보

    1982.03.04 00:00

  • 사회·교양

    KBS 제3TV『자연과 모험』(24일 낮 3시)=「호주를 찾아서」. 오스트레일리아의 풍물인 면양과 가축방목, 캥거루, 오리, 너구리, 펠리컨, 개미핥기 등 진기한 동물과 고스트 검

    중앙일보

    1982.01.23 00:00

  • 사회·교양

    □…KBS 제3TV『자연과 모험』(27일낮3시)=「알류산열도를 찾아서」. 숲·호수· 야생동물등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알래스카의 진면모를 소개한다. 알류산열도의 소련풍도시, 백러시

    중앙일보

    1981.12.26 00:00

  • (6)사기가 낮아졌다

    H상호신용금고의 K사장은 금년 안에 직원80명 모두를 대상으로 일본 해외연수를 실시할 작정이다. 해외연수라고 해야 유별난 것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고 상가나 구경다니며 일본인 점원들

    중앙일보

    1981.07.09 00:00

  • "우리들에게도 생존권을 달라"|『에스키모』, 국제회의 개최

    줄잡아 10만 명으로 추산되는 「에스키모」들은 「알래스카」 「캐나다」 「핀란드」 「시베리아」 및 「그린란드」에 흩어져 고래나 북극곰을 사냥하면서 「이글루」(얼음집)에서 살고들 있다

    중앙일보

    1977.06.22 00:00

  • 『20세기의 위대한 저서』백31권 선정|미국의 저명한 철학자「에들러」교수 발표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인「모티머·제롬·에들러」교수(75)가 최근「20세기의 위대한 저서」1백31권(저자 73명)을 선정, 발표했다.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40년)라는 저자로

    중앙일보

    1977.03.05 00:00

  • 양에서 재미본 예당…곳곳서 치어 오류

    정화위원회가 10㎝이하 치어 방류「캠페인」을 시작한 후 많은 낚시회가 이에 호응하고 있다. 당국에 의한 제한이 아니고 조사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이 운동이 번져나가는 현상이 좋은 결

    중앙일보

    1976.11.22 00:00

  • 변태섭

    관악「캠퍼스」로 옮겨 온지도 벌써 1년 남짓이나 되었다. 처음 이사올 때만 해도 너무 거리가 멀고 환경이 어수선하여 낯설게만 여겨졌는데 이제는 제법 정이 들어가고 있다. 지금도 아

    중앙일보

    1976.06.26 00:00

  • 만담·오락「프로」밤 9시반 이후에 TV3 춘위개편…방송의 대일|일일「드라머」각국 2개씩으로 제한·「스포츠」시간 늘어

    3개TV와 5개「라디오」국이 일제히 「프로」개편을 단행했다. TV3국은 모두 12일부터,「라디오」는 TBC와 DBS가 1일, : CBS가 5일, KBS·MBC가 12일부터 새「프로

    중앙일보

    1976.04.03 00:00

  • (41)제9화 고균 김옥균의 유랑 행적기(3)

    김옥균이 첫발을 디딘 곳은 일본 땅 구주의「나가사끼」. 이후 10여년간 도합 네 차례(망명포함)에 걸쳤던 일본체류기간 중에 그의 발길은 일본 전토를 거의 빠짐없이 누볐다. 뜻을

    중앙일보

    1973.12.25 00:00

  • (39)빈혈

    피(혈액)는 건강의 신호등이자 생명의 「심벌」이다. 피가 깨끗하지 않고서는 건강을 누릴 수 없다. 피는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해주는 생명의 보급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

    중앙일보

    1973.08.18 00:00

  • (589)북간도(9)이지택

    명동에 온 김홍일은 한때 명동 학교에서 수학과 체육을 가리켰다. 체육 교사로는 따로 여봉길 이 있었다. 이 이야기는 김홍일씨가 「나의 증언」에서 밝힌바 있다. 김홍일씨는 당시 평

    중앙일보

    1972.10.21 00:00

  • (1)백제인 박사 왕인의 위업|김창수

    중앙일보는 오늘부터 4면에 「박사 왕인의 위업」을 약 15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백제의 문화사절로 고대 일본에 파견됐던 박사 왕인은 일본문화의 대은인으로 숭앙될 만큼 한국문화의 일

    중앙일보

    1972.08.28 00:00

  • 꽃이 있는 환경을|실내 화단과 정원수 심는 요령

    인간이 가장 생명의 약동함을 느끼고 자연과 가까워지고 싶은 계절이 다가왔다. 생명이 있는 한 포기의 풀이나 꽃이라도 심으려는 도시민의 안타까운 마음들이 있다. 여기 한 뼘의 뜰도

    중앙일보

    1971.04.01 00:00

  • (149)|학도의용군(6)|3사단 학도 중대(3)|6·25 20주…3천 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3년

    8월11일의 포항여중 전투에서 거의 옥쇄한 3사단 학도의용군 중대는 다시 1백20여명의 학생보충을 받아 재편되었다. 이때부터 중상으로 입원한 김용섭 중대장을 대신하여 사단에서 현역

    중앙일보

    1971.03.12 00:00

  • 시간 그 알파와 오메가

    도대체 71년1월1일이란 어떻게해서 정해진 것이며 무슨 뜻이 있는 날인가. 아니 도대체 시간이란 무엇인가. 1년이란 시간의 길이는 어떻게 정해진 것이며 항상 불변하는 것인가. 시간

    중앙일보

    1971.0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