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빈약한 실험.연구시설

    서울대 자연대는 93년12월 『우리는 21세기를 준비하고 있는가』란 제목의 백서를 펴내 그동안 차마 드러내놓기를 꺼리던 교육.연구 여건의 열악상을 생생히 드러내 충격을 주었다. 자

    중앙일보

    1995.02.01 00:00

  • 6.입학=졸업 더이상 안된다

    『도대체 왜 내 강의를 안들으려고 하느냐.』 延世大 개강 첫날인 지난 1일 법정대의 한 강의실에서는 교수가 학생들에게 자신의 강의를 기피하는 이유를 묻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전공필

    중앙일보

    1994.09.14 00:00

  • 김종운 서울대 총장 인터뷰

    ◎“교수업적제로 경쟁유도”/모든 대학원생들에게 장학금 줄 생각/정부의존 않고 교수확보 자구책 수립/학생들 시위 시들 면학풍토 자리잡아 최근 교육개혁의 필요성이 심각한 과제로 등장하

    중앙일보

    1993.11.29 00:00

  • 잔인한 캠퍼스(선진교육개혁:11)

    ◎“성적 나쁘면 자동탈락”/과제물 홍수… 과락 두번하면 출과/파리대 영문과 80%가 유급/대학가면 우리 현실과 딴판 『2학년 첫 학기를 조심하라.』 미국 MIT대 학생들은 이 경고

    중앙일보

    1993.11.23 00:00

  • (16)|문화에 투영된 「침묵의 형상」추적|미셸푸코 『광기의 역사』

    『푸코는 광기가 르네상스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조형예술·문학·철학에 투영되어 현대인에게서 보이고 있는 습관의 다양성을 절대 놓치지 않는다. 그는 주된 원리의 다양성을 섞어버리기도

    중앙일보

    1993.06.25 00:00

  • 대학가 「사회주의강좌」 썰렁/국제관계변화… 실용주의 바람

    ◎수강생 줄어 폐강 잇따라/환경·생활법률 강좌 등은 “만원” 대학가 강좌에 탈이념­실용주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동안 폭넓은 인기를 누렸던 「이데올로기론」등 이념강좌가 소련붕괴·남

    중앙일보

    1992.04.02 00:00

  • 정 총리 덕성여대 강의/외대생 사건으로 휴강

    4일 오후 3시10분부터 2시간동안 덕성여대 대강당에서 열릴 예정이던 정원식 총리서리의 「여성과 교육」 강의는 외대생 폭행사건으로 휴강됐다. 정총리서리는 금년 3월부터 시간강사로

    중앙일보

    1991.06.05 00:00

  • 시간강사 불안한 신분·박봉으로 고달프다

    시간강사는 고달프다. 교수도, 학생도, 직원도 아닌 모호한 신분에 턱없이 낮은 강사료. 신분과 경제의 이중고에 시달리다 못해 이들 「신분증 없는 선생님」들이 대학단위로 노동조합·협

    중앙일보

    1988.05.17 00:00

  • 착잡한 강의실 표정

    27일하오2시 서울대. 텅빈 강의실 칠판엔 「의예과1학년일동」 이름으로 이렇게 씌어있다. 『교수님. 동맹휴업을 할수밖에 없는 시대의 아픔이 빨리 사라지고 교수님과 더불어 자유롭게

    중앙일보

    1987.05.28 00:00

  • 서울대 시위로 수업 못해|농대강의실선 「입소거부」 농성

    서울대 급진과격운동권 조직인 자민투(반미 자주화·반파쇼 민주화 투쟁위원회)와 동조운동권 학생들은 서울대생 「전방 입소훈련」 출발일인 28일 상오 수원의 농대 캠퍼스 강의실을 점거,

    중앙일보

    1986.04.28 00:00

  • 서울대학교행사 당분간 중지|이총장 각종집회·체육대회 일체불허

    서울대는 중간고사가 끝나는 25일 이후 당분간 학생들의 시위나 집회는 물론 체육대회나 축제·심포지엄등 학생들의 모든 교내자치활동을 일체 금지시키기로했다. 서울대는 24일하오5시부터

    중앙일보

    1984.10.25 00:00

  • 자연이 인문보다 너무 적다|90연대를 바라본 인력수요로는 자연63% 바람직

    문교부의 인문·자연계별 대학생정원 증원이 고급인력 장기수급전망과는 크게 빗나가고 있다. 문교부는 내년부터 5년 동안 대학졸업정원을 매년1만명씩 증원하되 인문계쪽 증원폭을 늘려 인문

    중앙일보

    1981.11.04 00:00

  • 학원정상화 결의대회|서울대 교수들

    서울대교수 7백여명은 26일상오10시 관악「캠퍼스」 인문대대형강의실에서 「학원정상화촉진결의대회」를 갖고 『학원정상화는 가장 시급히 요청되는 사회적과제로서 학원사태의 악순환을 종식하

    중앙일보

    1980.08.26 00:00

  • 동양철학에 심취했던 영문학자

    55세의 한창 나이에 작고한 송욱씨는 비 그이름이 표면에 부각되지는 않았으나 시·문학평론·영문학에 있어서 커다란 발자국을 남겼다. 54년 이래 26년간 서울대에서 교단을 지켜온 그

    중앙일보

    1980.04.17 00:00

  • 단대마다 연극부 만들어

    서울대학교에는 단과대학마다 연극부가 있어 학생들의 연극「붐」이 일고 있다. 학생들은 연극이 자기표현의 수단이며 마음을 밀도있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연극에 몰입하게 된다고 말하고

    중앙일보

    1979.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