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근사속록 영인본』오림향실서 간행

    연제 송병선 선생의 「근사속록」이 영인돼 나왔다. 1874년에 이조의 거유 다섯 분인 조정암·이퇴계·이율곡·김사계 및 송우암의 문집과 언행록에서 도학의 요체가 될만한 대목을 발췌하

    중앙일보

    1979.05.23 00:00

  • 대만「퇴계학회」발족

    이퇴계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기 위한 모임이 대만에서 최근 발기돼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 있는 전통문화의 본격 수출이란 점에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모임의 이름은「중

    중앙일보

    1979.05.08 00:00

  • 퇴계학 국제학술회의 개최

    퇴계학연구원(윈장 이인기)은 20, 21일 서울「앰배서더·호텔」회의실에서 『근세 유학사상과 퇴계학』을 주제로 국제 학술회의를 갖는다. 이 회의에는 한·중·미·일·불·독 등 6개국에

    중앙일보

    1978.08.18 00:00

  • 「정신이 깃든 글씨」 80점 전시-이가원 서전

    국문학자이며 한학자인 연민 이가원 박사가 갑년을 맞아 선비로서의 서전을 연다. 그는 만학한 편이지만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히며 내내 필묵을 함께 해 왔다. 『월탄 박종화 선생의 권고

    중앙일보

    1977.02.19 00:00

  • 대통령상에 원문자씨(동양화『정원』)

    제25회 가을 국전에서 영예의 대통령상은 동양화부문에『정원』을 출품한 원문자씨(33·이대 미대 강사)가 차지했다. 문공부가 23일 상오 발표한 올 가을 국전(제1부·제3부)의 수상

    중앙일보

    1976.09.23 00:00

  • 25회 가을국전 지상전

    예년에 비해 작품량이 많이 늘어났으면서도 돋보인 작품은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구도와 색조 등의 과감성이 두드러져 특출한 작품이 없는 대신 전체적 경향은 향상 된

    중앙일보

    1976.09.23 00:00

  • 「현실에 뿌리내린 철학」 한평생

    열암 박종홍 선생이 돌아가시게 된 것은 한국의 철학계에 있어서 참으로 슬픈 일이다. 한국의 철학계는 하나의 거성을 잃은 것이다. 대구 고보시절의 은사였던 선생을 대학에 들어와서는

    중앙일보

    1976.03.18 00:00

  • 국학연구의 새 전기|역대명인 전서 「붐」

    한국학관계자료의 희소와 이용곤란으로 어려움을 겪던 학계에 최근 역대명인의 각종문집이 전집·전서의 형태로 출간돼 국학연구의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다. 지난해10월부터 금년l월까지 나

    중앙일보

    1976.02.17 00:00

  • 침몰될 민속자료 이조고가 80여 채|이전보상비 적은 안동「댐」지구

    【안동=이기운 기자】귀한 민속자료로 알려진 안동「댐」수몰지구 안의 이조 고가들이 이전보상비가 낮아 옮기지 못한 채 수장되거나 집 장수에게 팔려 뜯기거나 재목이 땔감으로 쓰이는 등

    중앙일보

    1975.05.29 00:00

  • 충북 화양동 계곡을 도립공원으로 지정

    25일 건설부는 충북 괴산군 청산면 화양동 계곡 일대 3천3백60평방km를 도립공원으로 지정하는 한편 경주 교외의 귀미산 일대 6·1평방km는 경주 국립공원에 편입했다. 화양동은

    중앙일보

    1974.12.25 00:00

  • 이퇴계 선생의 소장…오자도 고친 주자어류 백40권 완질 발견

    이조의 대표적 유학자 퇴계 이황 선생이 소장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주자어류 1백40권49책 완질이 발견되었다. 서울대학교 문과대 송욱 교수가 지난4월 서울시내 모 고서적상에서

    중앙일보

    1970.11.05 00:00

  • 이퇴계선생 4백주

    이퇴계선생의 4백주기 기념유물전시회가 20일부터 남산시립도서관 강당에서 열렸다. 남산기슭에 세워진 퇴계선생의 동상건립을 계기로 마련된 이 전시회는 오는 27일까지 열리는데 전시품은

    중앙일보

    1970.10.21 00:00

  • 퇴계 연구자료 한곳에

    퇴계 기념사업회는 20일 퇴계 선생 4백 주기를 맞아 서울 남산에 퇴계 동상을 세우는 것을 계기로 기념 강연회와 기념 전시회를 갖는다. 박종홍·강주진·이인기·기세훈·이가원씨를 대표

    중앙일보

    1970.10.19 00:00

  • 정다산 동상등 착공

    애국선열조상 동상건립사업을 벌이고 있는 애국선열조상 건립위원회(총재 장태화)는 제3차년도 사업으로 정몽주, 정다산, 이퇴계, 신사임당, 유관순등 다섯 조상의 동상을 세우기로 하고

    중앙일보

    1970.05.06 00:00

  • 도산서원 정화사업기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원건축인 도산서원10만여 평의 정화사업이 6일 상오11시 안동군 도산면 혹포 포계동 현지에서 이춘성 문공부차관과 경북 지사를 비롯 1만여 군민이 참석한가운데

    중앙일보

    1969.10.07 00:00

  • 안동 도산서원보수

    이퇴계선생의 유적지인 도산서원을 점화하고 퇴계선생의 학문사상을 계승앙양키위한 도산서원보수기공식이 10월6일 안동군 도산면 토계동 현지에서 열린다. 도산서원은 한국의 대표적 서원건축

    중앙일보

    1969.09.30 00:00

  • (13)순천시·승주군

    전라동부의 행정 및 병마의 중심지였던 순천은 그 옛날 마한의 옛터. 음평(백제) 승평군(신라 경덕왕 21년) 승주군(이조 고종 32년)으로 시대의 흐름을 따라 각가지 이름으로 불려

    중앙일보

    1966.11.03 00:00

  • 국전|대통령상에「역사의 원」|조각선 처음|홍대 강사 박종배씨

    제14회 국전 대통평상 수상작은 국전 14년 사상 처음으로 조각 부문에서 박종배(30·홍익대 강사)씨 작품「역사의 원」으로 결정되었다. 이밖에 국회의장 상은 건축부문의 고윤(홍대4

    중앙일보

    1965.10.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