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0년 전 북한의 아웅산 테러 … 그 아비규환 어찌 잊겠소

    30년 전 북한의 아웅산 테러 … 그 아비규환 어찌 잊겠소

    이기백 전 합참의장은 “군에선 (보복 계획)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나 전두환 대통령이 전면전 확대를 우려해 실행을 중단시켰다”고 말했다. 1983년 10월 9일 오전 10시28분(

    중앙일보

    2013.10.09 00:57

  •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54) 78년 청와대로 떠나며

    [남기고] 고건의 공인 50년 (54) 78년 청와대로 떠나며

    1983년 10월 9일 미얀마의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참배하려고 서있는 서석준 부총리(오른쪽부터), 이범석 외무·김동휘 상공·서상철 동자부 장관, 이계철 주버마 대사, 함병춘 대통령

    중앙일보

    2013.04.29 00:31

  • MB 만난 수치 “버마 어린이 교육 지원을”

    MB 만난 수치 “버마 어린이 교육 지원을”

    이명박 대통령이 15일 ‘아웅산 폭탄테러 사건’ 발생 29년 만에 우리나라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참사 현장인 아웅산 국립묘지를 찾았다. 참배를 끝낸 이 대통령이 수행원들의 삼엄한 경

    중앙일보

    2012.05.16 01:00

  • 갑자기 추진된 버마 방문 … 안기부선 북 테러 우려해 반대

    갑자기 추진된 버마 방문 … 안기부선 북 테러 우려해 반대

    아웅산 폭파 테러 사건 하루 전인 1983년 10월 9일 서남아 및 대양주 순방길에 오른 전두환 대통령 내외가 특별기에 탑승하면서 환송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중앙포토] 하느님

    중앙선데이

    2011.07.31 05:54

  • 갑자기 추진된 버마 방문 … 안기부선 북 테러 우려해 반대

    갑자기 추진된 버마 방문 … 안기부선 북 테러 우려해 반대

    아웅산 폭파 테러 사건 하루 전인 1983년 10월 9일 서남아 및 대양주 순방길에 오른 전두환 대통령 내외가 특별기에 탑승하면서 환송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중앙포토] 하느님

    중앙선데이

    2011.07.31 00:31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⑥남북관계] 58. 침투,파괴,살상… 도발의 시대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⑥남북관계] 58. 침투,파괴,살상… 도발의 시대

    ▶ 1968년 1ㆍ21사태청와대 기습을 목표로 북한 124군부대 소속 특수부대원 31명 중 생포된 김신조씨가 경찰에 연행돼 몸수색을 받고 있다. 26명은 사살되고 1명은 자폭, 2

    중앙일보

    2005.08.24 10:48

  • [아웅산 테러 20주년] 테러주범 北 강민철

    아웅산 테러의 주범인 세명의 북한 공작원 가운데 강민철(47)은 천행으로 살아나 힘들게 살고 있다. 북한군 정찰국 특공대 소속 강대위는 테러 발생 하루 뒤 진모 소좌와 함께 미얀마

    중앙일보

    2003.10.08 19:18

  • "전씨 「나들이 병」 겹친 과잉 외교"

    아웅산 사건에서 또 하나의 궁금함은 처음 순방 일정에 포함되지 않은 버마가 어떤 결정 과정을 거쳐 추가됐느냐는 점이다. 당시 많은 외교관들은 버마가 정상 외교의 대상으로선 함량

    중앙일보

    1993.08.13 00:00

  • 아웅산비극 유가족 4명 7년만에 현장방문 출국

    ◎묘소참배ㆍ추모비건립 협의 83년 10월9일 버마(현미얀마) 아웅산묘소테러가 발생한지 꼭 7년만인 8일 사건이후 처음으로 유가족들이 비극의 현장을 찾아 떠났다. 순국외교사절 17인

    중앙일보

    1990.10.08 00:00

  • (134)함평 이씨/글-김창욱기자 사진-장충종기자

    함평이씨는 고려때 신호위대장군 (종3품)을 지낸 이언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그러나『고려사』에 그에 대한 기록은 없다. 기록이 확실한 인물은 충숙왕때 삼사사를 지낸 이광봉으로 그가

    중앙일보

    1985.04.06 00:00

  • "꽃을 보아도 아빠얼굴 생각…"

    온 국민과 세계를 놀라게한 아용산의 압살폭발사건이 9일로 1주년.. l6명의 희생자 유가족과 11명의 부상자들은 계절이 네 번 바뀌는 세윌에도 아직 그날의 악몽과 상처를 아물리지는

    중앙일보

    1984.10.06 00:00

  • 주 버마 대사에 이상열씨 임명

    정부는 11일 버마 참사로 순국한 이계철 주 버마 대사의 후임에 이상열 외교안보연구원 연구위원(사진)을 임명 발령했다. 충북 진천 출신(55세), 연대 상대졸, 주 말레이시아 대사

    중앙일보

    1984.01.11 00:00

  • 순국외교사절 17위

    버마 아웅산 묘소에서 순국한 외교사절 17위에 대한 묘비제막식이 26일 하오 고 이범석 외무장관을 시작으로 국립묘지 국가유공자 제1묘역에서 거행됐다. 순국외교사절의 묘비제막일정은

    중앙일보

    1983.12.26 00:00

  • 생포공작원 "자백"만 남아 미얀마사건범인 수사 9일동안의 성과

    버마정부의 랭군사건에 대한 수사중간발표는 발표문에서 북괴의 소행임을 직접적으로 밝힌 문구는 없으나 지금까지 한국정부파견조사단의 수사의견과 거의 동일하다는 점에서 버마정부가 북괴관련

    중앙일보

    1983.10.18 00:00

  • 북괴관련 물증 찾아내 한·버마 조사단 아웅산묘소 현장발굴작업

    아웅산묘지폭발사건을 조사중인 한·버마 양국은 사건발생현장에 대한 정밀조사결과 북한측의 범행을 입증하는 물증을 찾아냄으로써 이번 사건이 북괴의 치밀한 사전계획에 의해 저질러진것이 확

    중앙일보

    1983.10.13 00:00

  • 동작동 국립묘지속의 "명당"|순국17위의 유택 국가유공자 제1묘역

    순국외교사절 17위가 영원히 잠든 유택은 동작동국립묘지 중앙 뒤쪽에 자리잡은 국가유공자 제1묘역. 이 묘역 바로 뒤에는 장군 제1묘역이 있으며 그 위쪽으로 박정희 전대통령내외묘소,

    중앙일보

    1983.10.13 00:00

  • 부상자치료돕다 남편참변알아

    부상자 후송 특별기편에는 이계철 주버마대사미망인 이희익여사(51)가 막내딸 혜영양 (17·랭군시 외국인고교2년)과 함께 귀국, 기내에 오른 김정례보사부장관의 부축을 받으며 트랩을

    중앙일보

    1983.10.11 00:00

  • 2주전 도색때 폭약장치 가능성?

    버마 아웅산국립묘지 폭발사건은 폭파시간이나 희생자의 위치, 상처부위등으로 보아 고도의 기술을 지닌 살인전문범이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범인들은삼엄한 경비

    중앙일보

    1983.10.11 00:00

  • 앞당겨 분 진혼나팔이 "신호"였던듯|눈깜짝할 사이에 빚어진 「아웅산묘소참극」의 현장

    9일상오 10시28분 랭군의 아웅산 묘소에 선 꽝』하는 강력한 폭음이 나면서 현장은 일시에 일대혼란이 일어났다. 아웅산 묘소앞에서 전두환대통령의 도착을 기다리고있던 서석준부총리등

    중앙일보

    1983.10.10 00:00

  • 신임대사에 신임장

    전두환 대통령은 24일 상오 청와대에서 신임 최상섭 (주리비아)·이문수(수리남)·장기안(피지)강석재(스와질랜드및 레소토)·이용열(코스타리카)·이계철(버마)·이복형(도미니카)·금영섭

    중앙일보

    1981.03.24 00:00

  • 대사4명이동|총영사도 2명

    정부는 11일 이계철 외무부 미주국장을 주「버마」대사로 임명하는등 4명의 대사와 2명의 총영사등 6명의 공관장에 대한 인사이동을 단행했다. 인사이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수리

    중앙일보

    1981.03.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