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국인의족보 출간

    우리 나라 성씨의 사서인 『한국인의 족보』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현존하는 2백58성씨의 기원과 유래를 밝힘으로써 각 성씨의 시상·세계를 집대성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족보이기도

    중앙일보

    1978.04.18 00:00

  • 해외 한국학 연구자의 보고서|「한국 사상사」3년 계획으로 발간|「유네스코」한 위, 상-하권 영·국문 판으로 내 놓기로

    늘어나는 해외의 한국학 연구자들을 위한 한국학 인문서가 3개년 계획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개국 신화에서 근대화의 이념과 유신까지를 다루어 전 봉사상의 맥락을 집대성할『한국 사상사』

    중앙일보

    1978.02.27 00:00

  • 학술원 새 회장 누가 될까

    학술원(회장 이병당)은 22일부터 28일까지 각 분과회를 소집, 금년도 학술원상 수상 예정자와 유고로 결원 된 회원 선임을 위해 분과추천을 완료한다. 특히 작년 한햇 동안 7명의

    중앙일보

    1977.04.25 00:00

  • 조윤제 박사 1주기 기념 사업

    고 도남 조윤제 박사의 1주기를 맞아 도남 학회 (이사장 이가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념행사를 마련했다. ▲도남 국문학상 시상 및 기념 강연-장소 및 시간 9일 하오 3시 문예진흥

    중앙일보

    1977.04.09 00:00

  • 「정신이 깃든 글씨」 80점 전시-이가원 서전

    국문학자이며 한학자인 연민 이가원 박사가 갑년을 맞아 선비로서의 서전을 연다. 그는 만학한 편이지만 어려서부터 한학을 익히며 내내 필묵을 함께 해 왔다. 『월탄 박종화 선생의 권고

    중앙일보

    1977.02.19 00:00

  • 이 달의 문화행사

    동면에서 깨어난 문화계는 새봄의 전주가 울려 퍼지는 2월을 맞아 다채롭고 알찬 각종 행사를 마련, 봄맞이 준비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연극계에서는 오는 3월 세계순회 공연 길에 오

    중앙일보

    1977.02.01 00:00

  • 미술

    ◇국립현대미술관 ▲기증작품특별 전=1∼20일 ◇동산방화랑 ▲이가원 서예 전=25∼3월3일 ◇미술회관 ▲동덕여대회화과 동문 전=1∼7일 ▲유병엽 도불전=8∼14일 ▲「오리엔탈」협회

    중앙일보

    1977.02.01 00:00

  • (1780)|서화백년(66)이당 김은호

    근대서예가로 양대 인맥을 이룬 사람은 해강 김규진(1868∼1933)과 성당 김돈희(1871∼1936)를 들 수 있다. 해강은 우리나라 서학계의 제도적인 질서를 확립하는데 앞장섰

    중앙일보

    1976.10.22 00:00

  • 『세종실록』30권 국역 완간…이조 전기 문물제도 망라

    이조『세종실록』이 총30권으로 국역 완간 됐다. 세종대왕 기념사업회(회장 이관구)가 4일 국역착수 9년만에 완간을 보게된 원명이『세종장헌대왕실록』(통권1백63권)인 세종실록에는 세

    중앙일보

    1976.10.04 00:00

  • (4) 안동 도산|이가원

    『태백산 나린 용이 영지 산이 높아서라. 황지로 솟은 물이 낙천이 맑아서라. 일구 도산이요 그 곁에 명승지라. 오흡다 우리 선생 이 곳에 장수하와 당년에 장구소요 후세에 조두소라.

    중앙일보

    1976.07.08 00:00

  • 현대 일본 철학의 핵을 구성… 「거경·궁리」는 현대 문명의 벽 뚫을 사상

    퇴계 사상의 종합적인 재검토를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가 경북대 퇴계 연구소(소장 한명수)주최로 18∼20일 열린다. 『현대에 있어서의 퇴계학의 재인식』이 주제. 한국에서는 한명수 교

    중앙일보

    1976.05.17 00:00

  • 신세계미술관 초대 명사 작품전

    미술에 종사하지 않는 사회 저명인사들의 미술작품전이 서울 신세계화랑의 주선으로 마련됐다. 학계와 문단의 원로를 중심으로 25명이 50점 남짓 출품, 그들의 취미생활과 장기를 보여주

    중앙일보

    1976.02.06 00:00

  • 소심회 10회 난전시 10일까지 연대서

    난애호가들의 모임인 소심회의 제10회 난전시회가 6∼10일 연세대 학생회관에서 열린다. 이가원·김응현·길용배씨등 회원 25명이 가꿔온 1백여분의 난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대학생

    중앙일보

    1975.10.06 00:00

  • 국문학회 건국대서 10일 월례 연구발표

    국어국문학회 월례 연구발표회가 10일 하오 3시 30분 건국대 낙원동 교사에서 열린다. ▲조태금격의 행후원에 대하여 (이가원· 연대) ▲여씨 향약언해의 원간본(안병희·서울대)

    중앙일보

    1975.05.09 00:00

  • 투표계몽 담당자 34명을 추가위촉|중앙선관위

    중앙선관위는 25일 하오 국민투표 지도계몽 담당자 34명을 추가로 위촉했다. 지난번 1차로 위촉된 31명은 주로 신문·방송 등 언론기관을 통해 활동하며 추가 위촉 자들은 수도권과

    중앙일보

    1975.01.27 00:00

  • 계간 『어문 연구』창간, 한자 문제 특집|『화폐계』·『시사일본어』도 월간으로

    계간 『어문연구』, 월간 『화폐계』, 월간 『시사일본어연구』 등이 최근 각각 창간됐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회장 이희승)가 기관지로 내는 『어문연구』(일조각간·국판·108면·2백원)

    중앙일보

    1973.11.28 00:00

  • 『고문진보대전』은 최고 아니다

    1170년 전후에 발간된 현존 세계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본이라고 손보기 박사(연세대 박물관장)가 발표한『고문진보대전』은 16세기께 간행된 책으로 보인다는 이의가 제기돼 학계의 논의를

    중앙일보

    1973.11.02 00:00

  • 고려의 두 충신 서필·서희 묘소에-재궁 「상산재」새로 건립

    상산재 건립위원회는 28일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여곡상두산에 있는 고려의 두 충신 정민공 서필과 장위공 서희 두 분 묘소에 상산재라는 재궁을 신축했다. 고려 성종 때 북방에서 침입

    중앙일보

    1973.10.30 00:00

  • 한국과학사를 한 눈에 과학 한국 고문헌 전

    우리 선인들이 남긴 귀중한 과학고문헌들을 한데 모으는「과학 한국 고문헌 전」이 21일∼30일 국립공보관에서 열린다. 출판문화협회가 주최하는 제17회 전국도서전시회의 특별 전으로 기

    중앙일보

    1973.09.20 00:00

  • (353)한국유학의 총 본산 성균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최고 교육기관이었으며 종교 문화기관이었던「성균관」이 오늘처럼 퇴락한 것은 한국유학의 쇠퇴를 상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성균관은 삼국이래 유교정신에 따라 인재를

    중앙일보

    1973.04.06 00:00

  • 한말 의병봉동가·유학자|수당 이남규의 사상과 문학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은 14일 하오3시 동교에서 한말의 의병연동가요 유학자인 수당 이남규선생의 『수당집』간행기념강연회를 가졌다. 이날 이가원박사(연세대)는 「수당의 사상과 문학」

    중앙일보

    1973.03.16 00:00

  • 방랑시인 김삿갓친필 발견|유달영교수와 장우성화백이 소장

    삿갓을 눌러쓰고 전국을 방랑하며 해학과 풍자에 넘치는 재치있는 시귀로써 이조사회의 부조리를읊었던 방랑시인 김삿갓의 친필이 유달영서울농대교수와 장우성화백(홍익대미술학부장)에의해 소장

    중앙일보

    1973.03.08 00:00

  • 한국학 연구 업적 저조

    72년의 한국학분야 저작의 간행은 활발하다곤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몇 개의 건실한 연구와 기초적 연구 자료의 간행은 그런대로 한국학연구의 미래를 다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어

    중앙일보

    1972.12.29 00:00

  • 현대국어로 옮겨지는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연대기 19집 완간

    『조선왕조실록』의 국역사업은 우리 고전문헌의 현대 어역 가운데서도 가장 큰 사업이 되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태조 실록 2집과 세종실록 연대기 19집이 최근 완간된 것은 큰 업적

    중앙일보

    1972.1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