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일본인 어머니 임종 못한 채 새 종자 개발 외길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일본인 어머니 임종 못한 채 새 종자 개발 외길

     ━  부산 동래의 자유천(慈乳泉)과 우장춘 박사   김정탁 노장사상가 겨울철 과일로는 단연 귤인데 지금처럼 귤을 맛보게 된 건 얼마 되지 않는다. 60년 전만 해도 우리 과일

    중앙일보

    2024.01.26 00:40

  • [책꽂이]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外

    [책꽂이]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外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1·2 세상을 바꾼 전쟁의 모든 것 1·2(브뤼노 카반 외 지음, 이정은 옮김, 권성욱 감수, 열린책들)=전쟁은 총체적 사회 현상이자 문화적 행위라는

    중앙선데이

    2023.07.01 00:35

  • 방사선으로 꼬마 무궁화 탄생...미래기술 이용한 '육종의 세계'

    방사선으로 꼬마 무궁화 탄생...미래기술 이용한 '육종의 세계'

    직경 5㎝ 미만의 작은 꽃 한 송이가 나무에 폈다. 화분에 담긴 꽃나무의 키도 약 30㎝로 왜소하다. 작은 나무에 작은 꽃이 펴 앙증맞은 느낌을 준다. 꽃의 정체는 바로 무궁화의

    중앙일보

    2019.03.19 17:51

  • [1959.08.10] 우장춘 박사 별세

    [1959.08.10] 우장춘 박사 별세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가 1959년 8월 10일 61세 나이로 사망했다.  우박사는 1898년 일본 광오에서 출생하여 23세때 동경제대 농학실과를 졸업했으며

    아워히스토리

    2017.03.23 16:55

  • "고래만한 GM 연어 만든다는 건 오해 … 성장 35배 빠르게 할 뿐"

    "고래만한 GM 연어 만든다는 건 오해 … 성장 35배 빠르게 할 뿐"

    부경대 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김동수 교수가 6일 오후 분자육종학 연구실에서 유전자 변형(GM) 형광 바다송사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형광 유전자가 들어 있는 바다송사리는 간에서 형

    중앙일보

    2013.09.07 00:11

  • 국가 원로 과학자들 집 찾아간 시진핑

    국가 원로 과학자들 집 찾아간 시진핑

    시진핑(習近平·습근평·사진) 중국 국가부주석이 과학 인재를 중시하는 ‘과학입국(科學立國) 리더십’을 발휘했다. 시 부주석은 중국 최고의 명절인 춘절(春節·설)을 앞두고 국가 원로

    중앙일보

    2011.01.28 01:01

  • 日 파란 장미, 한국 우주蘭…화려한 미래산업, 꽃

    日 파란 장미, 한국 우주蘭…화려한 미래산업, 꽃

    장미 시장에서는 색깔이 매우 중요하다. 세상에 없는, 독특한 빛깔을 창조해낸다면 세계의 화훼시장을 바로 휘어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의 한 회사가 파란 장미(사진)를 개

    중앙선데이

    2008.04.06 04:24

  • [김시래기자의'현장'] 화훼농 김씨, 고맙소

    [김시래기자의'현장'] 화훼농 김씨, 고맙소

    육종학자인 이관호 박사가 경기도 수원의 한국농업대학 내 연구실에서 “주변에 있는 돌연변이 식물은 국가적 유전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원=양영석 인턴기자]육종학자인

    중앙일보

    2008.02.19 19:11

  • "기능성 성분 함유한 과실수 널리 보급"

    "기능성 성분 함유한 과실수 널리 보급"

    "여러 가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목질과 열매를 맺는 유토피아 나무를 세계에 보급하고 싶습니다." 박교수(70.사진) 한국유실수과학원장은 20일 사단법인 과학선현 장영실선생기념사

    중앙일보

    2006.04.20 21:21

  • '씨 없는 수박' 개발자 우장춘 박사 아니다

    '씨 없는 수박' 개발자 우장춘 박사 아니다

    '씨 없는 수박'하면 육종학자인 우장춘 박사를 떠올린다. 우 박사가 씨 없는 수박을 개발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상당수에 이른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앙일보

    2004.06.30 20:41

  • 해외 초빙 과학자들 연구 현장 '주연 같은 조연'

    충북 청원군에 위치한 한국교원대 내 한중대기과학연구센터.몽골 기상.수질연구소 수석연구원인 죽데어(여.45) 박사가 대학원생들과 황사의 발생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죽데어 박사

    중앙일보

    2003.03.26 15:30

  • 외교관의 애정으로 본 일본

    일본 사회와 문화를 소개하는 책은 이미 수십권 나와 있다. 한권이 더 나왔다고 해서 소개할만한 가치가 있을까? 있다. 자격이 있는 사람이 애정을 가지고 객관적으로 썼으니까. 자격

    중앙일보

    2002.06.22 00:00

  • '원하는 색 마음대로' 花色연구 급진전

    빨강 = 사랑. 노랑 = 기쁨. 하양 = 존경. 흔히들 장미꽃 색의 상징을 이렇게 말한다. 그렇다면 '파랑' 은 어떨까. 아마 그 차가운 색감에서 '배반 (背反)' 을 느낄 수도

    중앙일보

    1999.03.29 00:00

  • 쌀 연구 외길 40여년에 얽힌 애환 담아|『농학의 길목에서』쓴 이은웅 박사

    농사란 인간의 주된 먹거리(식물)를 만들어 내는 일이다. 씨를 뿌리고, 싹이 돋아나면 정성 들여 가꾸고, 머잖아 그 줄기에 맺는 열매를 거두는 일. 인간의 입에 닿는 주 먹거리가

    중앙일보

    1990.09.30 00:00

  • 도라지의 약(꽃가루 주머니) 배양에 성공|원자력연구소 한창렬 박사 팀 개가

    한국원자력연구소 한창렬 박사(59·유전 육종학 연구실장) 「팀」은 세계최초로 수정을 시키지 않고 도라지의 꽃가루만으로 인공 배양하는 약 배양에 성공, 식물품종개량에 획기적인 개가를

    중앙일보

    1976.11.13 00:00

  • (30)품종혁신의 기수들(1)

    통일벼→유신벼 개발은 국내적으로 쌀 자급을 가능케 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는 한국의 미작육종기술을 독보적인 존재로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세계적인 육종학자 「보로그」박사(신품종

    중앙일보

    1975.10.24 00:00

  • 세계적 육종학학자 재미 남궁진씨 내한

    【수원】3·1운동 33인중의 한사람인 남궁억씨의 친손자이며 세계적인 임목 육종학의 대가인 미국「노드캐를라이나」대학 육종학교수 남궁진박사(44·사진·미농무성 산림국 육종고문)가 산림

    중앙일보

    1974.05.18 00:00

  • (44)|제 2장 일본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제 9화 고균 김옥균의 유랑 행적기(6)

    전회(본 연재 43회)에서 언급했지만 수영문고에 소장돼있는 한국 관계자ㅛ와 구 한말 정객들의 서화 컬렉션 등은 그 질로 보나 분량으로 보나 언제든 한번쯤은 다시 한국에 가져와 전시

    중앙일보

    1974.01.11 00:00

  • 한국이 낳은 세계적 육종학자|우장춘박사 10주기

    오는 10일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육종학자였던 고우장춘박사의 1주기. 이날 하오 2시 고인을 추모하는 후배와 제자들이 수원시 여기산록에 있는 묘소에 모여 10주기 추도식을 갖는다

    중앙일보

    1969.08.09 00:00

  • 한국이 낳은 세계적 육종학자|우장춘박사 10주기

    오는 10일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육종학자였던 고우장춘박사의 1주기. 이날 하오 2시 고인을 추모하는 후배와 제자들이 수원시 여기산동에 있는 묘소에 모여 10주기 추도식을 갖는다

    중앙일보

    1969.08.07 00:00

  • 인류의 미래를 연다|동경 국제유전학회의 이모저모

    54개국서 약2천명이 참가한가운데 지난20일 일본동경「프린스· 호텔」서 개회식을 가진 제12회국제유전학회의는 28일 막을 내린다. 「멘델」의 법칙이 발견된 뒤 1세기가 지난 사이에

    중앙일보

    1968.08.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