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조가 있는 아침] (231) 청산도 절로 절로

    [시조가 있는 아침] (231) 청산도 절로 절로

    유자효 시인 청산도 절로 절로 김인후(1510∼1560)   청산도 절로 절로 녹수도 절로 절로 산 절로 수 절로 산수 간에 나도 절로 이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 절로

    중앙일보

    2024.06.13 00:18

  • [시조가 있는 아침] (230) 헬기와 강아지

    [시조가 있는 아침] (230) 헬기와 강아지

    유자효 시인 헬기와 강아지 정용국(1958∼ )   김정은 미사일이 연거푸 날아간 후 안창말 하늘길이 나날이 바빠졌네 온종일 귀가 떨어지게 채머리를 흔든다   산막이 허전해서 데

    중앙일보

    2024.06.06 00:14

  • [시조가 있는 아침] (229) 백화를 사랑한들

    [시조가 있는 아침] (229) 백화를 사랑한들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백화를 사랑한들 이세보(1832∼1895)   백화를 사랑한들 가는 춘풍 어이하며 근원이 지중한들 가는 임을 어이하랴 아이야 꾀꼬리 날려라 꿈결인가 하노라

    중앙일보

    2024.05.30 00:18

  • “부친 편지에 충격 받았다” 이문열은 왜 작가가 됐을까

    “부친 편지에 충격 받았다” 이문열은 왜 작가가 됐을까 유료 전용

      「 9회. 나는 왜 작가가 됐나   」   무엇이 한 어린 영혼을 들쑤셔, 말과 글의 그 비실제적 효용에 대한 매혹을 기르고, 스스로도 알 수 없는 모방의 열정과 그 허망한

    중앙일보

    2024.05.26 15:08

  • [시조가 있는 아침] (228) 파업

    [시조가 있는 아침] (228) 파업

    유자효 시인 파업 양점숙(1949∼)   전업 주부도 며칠쯤은 파업하고 싶다 고장 난 곰인형처럼 북소리를 멈추고 처녀림 새처럼 날아올라 꿈꾸고 싶다   이십오 시간의 굴레를 훌훌

    중앙일보

    2024.05.23 00:14

  • [시조가 있는 아침] (227) 간밤에 우던 여울

    [시조가 있는 아침] (227) 간밤에 우던 여울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간밤에 우던 여울 원호(1397∼1463)   간밤에 우던 여울 슬피 울어 지나가다 이제 와 생각하니 님이 울어 보내도다 저 물이 거슬러 흐르고저 나도 울어

    중앙일보

    2024.05.16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26) 감꽃 목걸이

    [시조가 있는 아침] (226) 감꽃 목걸이

    유자효 시인 감꽃 목걸이 - 그리움 김연동(1948~ )   시든 감꽃 목걸이 담 위에 걸어놓고 탱자꽃이 시린 오월 해맑은 하늘 길로 뉘 모를 물안개 속을 돛단배 가듯 간 이 -

    중앙일보

    2024.05.09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25) 경전하여 조석하고

    [시조가 있는 아침] (225) 경전하여 조석하고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경전하여 조석하고 안서우(1664∼1735)   경전하여 조석하고 조수(釣水)하여 반찬하며 장요(長腰)에 하겸(荷鎌)하고 심산(深山)에 채초(採樵)하니 내

    중앙일보

    2024.05.02 00:18

  • [시조가 있는 아침] (224) 새들이 와서

    [시조가 있는 아침] (224) 새들이 와서

    유자효 시인 새들이 와서 조동화(1948∼)   오늘 저 나무들이 파릇파릇 눈 뜨는 것은 이 며칠 새들이 와서 재잘댔기 때문이다 고 작은 부리로 연신 불러냈기 때문이다 -한국현대

    중앙일보

    2024.04.25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23) 당쟁차탄가(黨爭嗟歎歌)

    [시조가 있는 아침] (223) 당쟁차탄가(黨爭嗟歎歌)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당쟁차탄가(黨爭嗟歎歌) 이덕일(1561∼1622)   힘써 하는 싸움 나라 위한 싸움인가 옷 밥에 묻혀있어 할 일 없어 싸우놋다 아마도 그치지 아니하니 다시

    중앙일보

    2024.04.18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22) 꽃 지는 봄날

    [시조가 있는 아침] (222) 꽃 지는 봄날

    유자효 시인 꽃 지는 봄날 조영일(1944∼)   슬픔은 사람에게만 있는 게 아니다 뜰에 지는 꽃을 보면 쓸쓸하게 바람에 흔들리면서 까맣게 볕에 탄다 아프지 않는 상처 어디에 있

    중앙일보

    2024.04.11 02:02

  • [시조가 있는 아침] (221) 봄날이 점점 기니

    [시조가 있는 아침] (221) 봄날이 점점 기니

    유자효 시인 봄날이 점점 기니 신계영(1577∼1669)   봄날이 점점 기니 잔설(殘雪)이 다 녹거다 매화는 벌써 지고 버들가지 누르럿다 아해야 울 잘 고치고 채전(菜田) 갈게

    중앙일보

    2024.04.04 00:18

  • ‘옛날엔 캠퍼스 커플, 지금은 복지관 커플’…어르신의 위트

    ‘옛날엔 캠퍼스 커플, 지금은 복지관 커플’…어르신의 위트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 대상 수상자 성백광(왼쪽 두번째)씨와 최우수상 수상자 김행선(왼쪽 세번째)씨. 홍지유 기자 “아내가 몸이 아파 식사 준비를 못 합

    중앙일보

    2024.04.04 00:11

  • '옛날엔 캠퍼스 커플, 지금은 복지관 커플'...‘어르신 백일장’ 유머에 빵긋

    '옛날엔 캠퍼스 커플, 지금은 복지관 커플'...‘어르신 백일장’ 유머에 빵긋

    “아내가 몸이 아파 식사 준비를 못 합니다. 그래서 가끔 복지관에서 함께 밥을 먹지요. 아내 손을 잡고 복지관에 가다가 젊은 시절 함께 대학 교정을 걷던 추억이 떠올라 시를 쓰게

    중앙일보

    2024.04.03 13:49

  • [시조가 있는 아침] (220) 한강변의 봄맞이

    [시조가 있는 아침] (220) 한강변의 봄맞이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한강변의 봄맞이 원용우(1938∼ )   산수유 등불 달고서 다투어 길 밝힌다 묵은 풀 엎드리고 새싹은 고개 들고 기다린 임이 오시나 연실 터뜨리는 꽃망울

    중앙일보

    2024.03.28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9) 시시(時時) 생각하니

    [시조가 있는 아침] (219) 시시(時時) 생각하니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시시(時時) 생각하니 강강월(생몰연대 미상)   시시 생각하니 눈물이 몇줄기요 북천(北天) 상안(霜雁)이 어느 때에 돌아올꼬 두어라 연분이 미진(未盡)하면

    중앙일보

    2024.03.21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8) 세상에서 가장 느린 시간

    [시조가 있는 아침] (218) 세상에서 가장 느린 시간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세상에서 가장 느린 시간 박영식(1952∼ )   거북이가 기어와도 이보다는 낫겠다   길 내는 달팽이라 해도 서산쯤엔 닿았겠다   온다던 그대 아직도 불길

    중앙일보

    2024.03.14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7) 매화 한 가지에

    [시조가 있는 아침] (217) 매화 한 가지에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매화 한 가지에 유심영 (생몰연대 미상)   매화 한 가지에 새 달이 돋아오니 달에게 물은 말이 매화 흥미 네 아느냐 차라리 내 네 몸 되면 가지가지 돋으리

    중앙일보

    2024.03.07 00:16

  • [시조가 있는 아침] (216) 밥 도

    [시조가 있는 아침] (216) 밥 도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밥 도 이종문(1955∼)   나이 쉰다섯에 과수가 된 하동댁이 남편을 산에 묻고 땅을 치며 돌아오니 여든둘 시어머니가 문에 섰다 하시는 말 -웃지말라니까

    중앙일보

    2024.02.29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5) 마을 사람들아

    [시조가 있는 아침] (215) 마을 사람들아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마을 사람들아 정철(1536~1593)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나서 옳지 곧 못하면 마소를 갓 고깔 씌워 밥 먹이나 다르랴 -경민편(

    중앙일보

    2024.02.22 00:20

  • [시조가 있는 아침] (214) 거리에서

    [시조가 있는 아침] (214) 거리에서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거리에서 권갑하(1958∼)   나무들은 하나 둘 숲을 이뤄 모여들고   맑은 가슴을 열어 푸른 바람 일으키는데   우린 왜 숲이 되지 못하고 떠돌고만 있는

    중앙일보

    2024.02.15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3) 세상 사람들이

    [시조가 있는 아침] (213) 세상 사람들이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세상 사람들이 인평대군(1622∼1658)   세상 사람들이 입들만 성하여서 제 허물 전혀 잊고 남의 흉 보는구나 남의 흉 보거라 말고 제 허물을 고치고자

    중앙일보

    2024.02.08 00:33

  • [시조가 있는 아침] (212) 한계령의 밤은 길다

    [시조가 있는 아침] (212) 한계령의 밤은 길다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한계령의 밤은 길다 오종문(1959∼)   하루의 무거움, 혹은 절망에 공감하는 밤   가자, 이 눈가림의 세월 벌목하는 세상 속으로   인간이, 사람들만이

    중앙일보

    2024.02.01 00:12

  • [시조가 있는 아침] (211)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

    [시조가 있는 아침] (211)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 작자 미상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 요 개같이 얄미우랴 미운 님 오게 되면 꼬리를 홰홰 치며 치 뛰락 내리 뛰락 반겨서 내닫고 고운

    중앙일보

    2024.01.25 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