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실의에 잠긴 황금평야

    영남과 호남의 황금평야를 할퀴고 간 수해는 농민들에게 아물 수 없는 큰 상처를 안겨다주었다. 한창 자라는 벼가 흙탕물 속에 1주일씩이나 잠겨 벼농사를 망쳤다는 농민들의 한숨 섞인

    중앙일보

    1970.07.24 00:00

  • 전국이 폭우권에 곳곳서 물난리

    지난 15일 저녁부터 전국에 내린 폭우로 전국 곳곳에 또 물난리를 일으켜 7명이 죽고 2명이 실종, 9명이 부상하는 등 18명의 인명 피해와 7백 여명의 이재민, 7억9천9백36만

    중앙일보

    1970.07.17 00:00

  • 영동에 나흘째 폭우

    【강릉·속초·삼척】연 나흘째 영동 지방에 쏟아지고 있는 집중 폭우로 강릉시의 4백47mm를 비롯, 속초 3백64·3mm, 삼척 4백50mm 등의 강우량을 보여 강릉시 옥천동, 임당

    중앙일보

    1970.07.07 00:00

  • 천여 정보 침수

    【울산】지난 4일 밤 9시부터 5일 상오 9시까지 울산·울주 지방에 1백59·5mm의 집중호우가 내려 1천5백여 정보의 전답이 침수 또는 유실, 매몰되고 제방 길 등이 무너져 약

    중앙일보

    1970.07.06 00:00

  • 통수 11시간만에 상수도관 터져

    26일밤 11시쯤 서울성동구행당동318 앞길에서 직경 9백mm의 상수도관이 터져 길가 박재순씨(43)의 간이 음식점이 4평쯤 유실되고 인근 20여 가구에 물이 넘쳐 흘러들어 가는

    중앙일보

    1970.06.27 00:00

  • 우편민원 68종으로

    서울시경은 13일 경찰관계 민원사항 중 우편으로 처리가 가능한 민원사항 68개 항목을 지정, 우편으로 처리하도록 민원서류 간소화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에 의하면 신청인이 우편으로

    중앙일보

    1970.05.13 00:00

  • (14)가장 길었던 3일(14)|「6·25」20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다큐멘터리」한국전쟁 3년

    6월25일 아침부터 28일 새벽 2시반에 한강다리가 폭파될 때까지 서울시경 산하의 5천여 경관이 어떻게 움직였는가를 당시의 몇 시경찰관들의 증언을 통해 다시 알아보자. ▲이계무씨(

    중앙일보

    1970.05.01 00:00

  • (3)유토피아가 아닌 정보사회

    그동안 멀지 않은 미래에 정보사회가 실현될 것이라고 자주 말해져 왔다. 그 미래의 정보사회가 단기간에 인공적으로 실현된 곳이 엑스포70회장. 물론 이 급조 인공정보사회의 주역은 앞

    중앙일보

    1970.04.16 00:00

  • (9)권리포기

    『투표는해서 무엇해. 모처럼 휴일인데 야외에나 나갈일이지』-지난10윌17일 이른아침 반도「호텔」앞 「리무진·버스」정류장에서 「록색」을 짊어진 남녀들이 차에 올랐다. 바로 이웃 중구

    중앙일보

    1969.12.11 00:00

  • 증발한 복구비|공무원부정실태

    지난 9·14 폭우피해로 수재민들이 아직 천막에서 생활하고 있는 요즈음, 수재구호 자금이 엉뚱한 사람들에게 배정되는가하면 공무원들이 유용한 사실이 밝혀져 4일 현재 19명의 말단공

    중앙일보

    1969.11.04 00:00

  • 공업시설 큰 피해

    【부산·마산·진해·울산】남부지방에 내린비로 영남공업지구공장들이 대부분 침수되어 가동이 중단되었거나 또는 일부만 움직여 복구작업이 한창이다. 폭우피해는 울산과 부산등 공장지대가 특히

    중앙일보

    1969.09.17 00:00

  • 「현대자동차」침수

    【울산】15일상오1시부터 울산시 양정동에있는 현대자동차조립공장안에 물이2m가량차 하루25대의「코티나」와 7대의「포드」고급승용차를 생산하던 자동차생산이 중단되었다. 16일상오11시현

    중앙일보

    1969.09.16 00:00

  • 영·호남에 호우 피해

    14일 낮 2시부터 영남·호남 지방의 해안지역에 갑자기 쏟아진 집중 호우로 15일 정오 현재1백50명이 죽고 67명이 실종, 67명이 부상하는 등 모두 2백84명의 큰 인명 피해를

    중앙일보

    1969.09.15 00:00

  • 22명 집단압사|마산

    【마산】14일 상오11시20분부터 15일 상오10시까지 마산·창원일대에 무려 5백20mm의 집중호우가 쏟아져 56명이 압사 또는 익사하고 11명이 실종, 6명이 부상했다. 논 2천

    중앙일보

    1969.09.15 00:00

  • (213)물에 잠긴 강산…「연예」에 시달린다

    「상전이 벽해』가 되었다는 고장 그대로의 수해지대. 8일 상오 무섭게 깔린 먹구름사이로 햇빛은 물바다가 된 금강상류일대를 비웠다. 수해는 공주·부여·오치원 일대만이 아니다. 강원도

    중앙일보

    1969.08.09 00:00

  • 위기 가득…서울의 나루터|이수교사고의 교훈

    서울의 나루터에는 이수교익사 사고와 같은 위험을 항상 안고 있었다. 서울시가 한강의 지류에 다리를 놓아야할 곳은 50여군데. 나루터만 10여군데. 나룻배를 타야만 도심에 들어오는「

    중앙일보

    1969.08.09 00:00

  • 낙동강 범람 위험

    【부산】4일 새벽 또다시 내린 1백m이상의 집중호우로 경남도내 곳곳에 수재피해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경남도경은 앞으로도 집중호우가 예상된다는 중앙관상대의 발표에 따라 이날 수방긴

    중앙일보

    1969.08.05 00:00

  • 강변도로 통금

    31일 상오2시부터 불어난 한강물로 한강철교 부근 유료고속도로가 물에 잠겨 31일상오 현재까지 차량통행이 금지되고 있다. 철교부근 유료도로는 한강수위가8m20cm가 되면 침수로 불

    중앙일보

    1969.07.31 00:00

  • 중부·영동에 수해|33명 사망 7명 실종

    30일과 3l일새벽 사이 서울을 비롯한 중부·영동지방에 집중폭우가 내려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에서 13명이 익사하는등 33명이 죽고 7명이 실종, 20여명이 부상, 5천5백49명의

    중앙일보

    1969.07.31 00:00

  • 남원에 집중호우

    19일하오 5시부터 4시간30분동안 남원 읍내에 2백90mm의 집중호우가쏟아져 4명이 익사하고 5백45명의 이재민을 내 총피해액이7천6백41만원으로집계됐다. 이날밤 남원읍내에는 중

    중앙일보

    1969.07.21 00:00

  • 전국에 물난리

    중앙재해 대책본부는 이번 장마로 19일 정오현재 사망18명, 부상7명, 실종5명등 인명피해와 1천2백78명의 이재민, 그리고 4억7천만윈의 재산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피해내용

    중앙일보

    1969.07.19 00:00

  • 「백만원 보수」 주워 신고

    8일 하오 서울역 앞 시외 「버스」정류장에서 청소부 겸 구두닦이를 하는 강영남씨 (24)가 공주농협발행 자기앞수표 1백만 원짜리 1장과 현금3천 원을 주워 남대문경찰서에 신고했다.

    중앙일보

    1969.07.09 00:00

  • 서울살이-유실물 찾기 센터

    시민의 수가 늘어가는 만큼 시민들이 흘리는 유실물의 수가 늘어간다. 서울 종로구 통의동7에 우리나라 처음의 『유실물 찾기 봉사 센터』가 생긴지 1년. 찾아준 물건이 1만건을 넘었고

    중앙일보

    1969.06.13 00:00

  • 호우, 중부지방에 큰 피해|10명 압사·백62동 침수

    3일 저녁부터 서울·중부지방에 내리기 시작한 비는 4일 상오부터 전국 일원에 집중 호우를 퍼부어 전국에서 10명이 압사, 15명이 부상했다. 또한 9군데서 축대가 무너지고, 가옥

    중앙일보

    1969.05.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