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22회·411회 남녀 헌혈왕 “오늘 헌혈자, 내일 수혈자 될 수도”

    722회·411회 남녀 헌혈왕 “오늘 헌혈자, 내일 수혈자 될 수도”

    “오늘의 헌혈자가 내일은 수혈자가 될 수 있다. ‘헌혈 인연’을 가볍게 생각하면 안 된다.” 국내에서 남녀 최다 헌혈 기록을 갖고 있는 ‘헌혈왕’과 ‘헌혈여왕’이 이구동성으로 한

    중앙일보

    2016.01.15 02:14

  •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요약 (21)

    ?『연산군일기』는 사실(fact)을 기술한 부분과 사관(史官)의 의견(opinion)을 개진한 부분을 분리해서 읽지 않으면 함정에 빠지기 쉽다. 쫓겨난 군주들에 대해 서술할 때

    중앙선데이

    2015.12.06 00:03

  • [윤철규의 한국미술명작선] ⑩ 문학이 그림으로 들어오는 모습

    [윤철규의 한국미술명작선] ⑩ 문학이 그림으로 들어오는 모습

    이광사, 이씨산방장서도(李氏山房藏書圖), 지본담채, 23.1×29.0㎝, 선문대 박물관 소장. 흔히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는 듯하다’는 말을 합니다. 시상이 절

    중앙일보

    2015.02.12 05:00

  • [세상을 바꾼 전략] 드레퓌스 누명 벗긴 도화선은 졸라의 ‘양심 편지’ 한 통

    [세상을 바꾼 전략] 드레퓌스 누명 벗긴 도화선은 졸라의 ‘양심 편지’ 한 통

    1894년 12월 20일 재판 피고인석에서 드레퓌스가 자신을 반역자로 지목한 증인을 내려다보고 있다. 1894년 12월 23일자 ‘르 프티 주르날’ 지면. 이 신문은 반(反)드레

    중앙선데이

    2014.12.21 03:07

  • 에로티시즘의 화신? ‘어우동’을 위한 변명(辯明)

    에로티시즘의 화신? ‘어우동’을 위한 변명(辯明)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문제적’ 여성 중 한 명인 어우동은 특별한 패션으로 일반인들에게 익숙하다. 1985년 영화 에서 어우동을 연기한 배우 이보희(가운데). 어우동이 9월과 10월

    온라인 중앙일보

    2014.11.15 00:05

  • [나도 역사 퀴즈왕] 고종 강제 퇴위의 빌미가 된 사건은

    [나도 역사 퀴즈왕] 고종 강제 퇴위의 빌미가 된 사건은

    소년중앙과 함께 ‘소중 시간탐험대’를 진행하는 문화유산국민신탁(www.nationaltrustkorea.org, 02-752-9296·7)이 ‘청소년 역사 퀴즈 대회’를 11월

    온라인 중앙일보

    2014.11.02 00:01

  • [이규연의 시시각각] 장화홍련전 '미꾸라지'가 있다

    [이규연의 시시각각] 장화홍련전 '미꾸라지'가 있다

    이규연논설위원 『장화홍련전』과 진짜 ‘장화홍련전’을 함께 읽었다. 우리가 익히 아는 『장화홍련전』은 지은이와 지은 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고대소설이다. 줄거리를 열한 문장으로 정리해

    중앙일보

    2014.04.11 00:10

  • 고난 속에 더 빛난 붓끝, 추사의 흔적을 찾아서

    고난 속에 더 빛난 붓끝, 추사의 흔적을 찾아서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서화가인 추사 김정희의 묘.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위치해 있다. 아모레퍼시픽이 6개월 여에 걸친 진통 끝에 개발한 새로운 문화재 안내판을 지난해 9월

    중앙일보

    2013.05.24 03:10

  • 통간한 남녀, 왜 끝은 달랐을까요

    통간한 남녀, 왜 끝은 달랐을까요

    김별아“사랑이 범람하는 시대에 사랑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  『미실』의 작가 김별아(44)씨는 16일 열린 신작 장편 『불의 꽃』(해냄)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중앙일보

    2013.04.17 00:10

  • 김현주 "난 소실의 딸년" 전태수 청혼 거절

    김현주 "난 소실의 딸년" 전태수 청혼 거절

    [사진 JTBC 캡처]   신분의 벽에 가로막힌 ‘꽃들의 전쟁’ 김현주(36)와 전태수(29)의 애절한 러브스토리가 전해졌다. 24일 방송된 JTBC 새 주말연속극 ‘궁중잔혹사-꽃

    온라인 중앙일보

    2013.03.25 10:51

  • 세월 따라 달라진 동물의 법적 지위

    법정에서 동물의 지위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오늘날 동물은 법정 피고인 자리에 앉을 수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달랐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귀양 떠난 코끼리가 등장한다. 1

    중앙일보

    2012.09.29 00:56

  • 유대인이란 이유만으로 … 간첩 누명 쓰고 종신형

    유대인이란 이유만으로 … 간첩 누명 쓰고 종신형

    반유대주의와 ‘반 셈 주의’는 동의어다. 독일의 기자 겸 작가였던 빌헬름 마르(1819~1904)는 1879년 자신의 저서 게르만주의에 대한 유대주의의 승리에서 반 셈 주의(An

    중앙선데이

    2012.06.17 01:31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직언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직언

    이덕일역사평론가권신(權臣)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의 제거를 직언(直言)하는 것을 수레바퀴를 묻는 매륜(埋輪)이라고 한다. 후한(後漢) 순제(順帝) 때 대장군 양기(梁冀)가 권신이었지

    중앙일보

    2012.05.21 00:00

  • [송호근 칼럼] 최시중과 곽노현

    [송호근 칼럼] 최시중과 곽노현

    송호근서울대 교수·사회학 며칠 전 비바람에 봄꽃이 졌다. 속절없이 떨어져 누운 저 봄꽃의 조락은 매양 겪는 일이기에 새삼스러울 것은 없건만, 왠지 가슴 한편이 서늘해진 것은 권력실

    중앙일보

    2012.05.01 00:25

  •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정치 올인

    [이덕일의 고금통의 古今通義] 정치 올인

    이덕일역사평론가‘신체발부(身體髮膚)는 수지부모(受之父母)’라는 말이 있다. 『효경(孝經)』 ‘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에 나오는데, ‘불감훼상(不敢毁傷)이 효지시야(孝之始也)’라는

    중앙일보

    2012.03.14 00:00

  • 인사청문회를 청문하라

    인사청문회를 청문하라

    조선 초기 세종 때 조말생이란 엘리트 관료가 있었다. 문과 장원급제를 한 뒤 승승장구했을뿐더러 장남은 태종의 부마가 됐다. 태종이 세종에게 양위한 때부터 8년 동안 병조판서를 맡

    중앙선데이

    2011.07.23 22:30

  •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민심

    [이덕일의 古今通義 고금통의] 민심

    정당마다 민심 잡기에 부산하다.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백성들을 부자로 만드는 방법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장에 “선정을 하면 백성들이 재물을 얻게 된다(善政得

    중앙일보

    2011.05.02 00:13

  • 독립기념관과 함께 하는 독립유공자 시리즈 ③ 고광 이세영 선생

    독립기념관과 함께 하는 독립유공자 시리즈 ③ 고광 이세영 선생

    충남 천안은 충절의 고장이다. 유관순 열사부터 석오 이동녕, 유석 조병옥 선생, 충무공 김시민 장군 등을 배출한 고장이다. 아산에도 활발히 활동한 독립운동가와 치열한 독립운동의 현

    중앙일보

    2011.04.19 03:17

  • 임금을 묻은 다음 날, 노론은 역사를 되돌리기 시작했다

    임금을 묻은 다음 날, 노론은 역사를 되돌리기 시작했다

    다산 초당 정약용이 18년간 유배 생활을 한 전남 강진의 만덕산 기슭에 있다. 정약용의 일가는 정조 사후에 사형당하거나 유배를 당해 폐족 신세가 된다. 사진가 권태균 최근 정조가

    중앙선데이

    2010.08.15 01:39

  •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때로는 이념이 총칼보다 강하다. 사회의 불신이 팽배한 주류 집단을 공격하는 세력은 중간파의 지지를 획득하면서 세력을 확장하게 된다. 공신

    중앙선데이

    2010.03.08 10:40

  •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이목 사당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에 있다. 김종직의 문인인 이목은 성종 때 사림의 선봉장이었으나 연산군 때 사형당했다. 사진가 권태균 절반의 성공 성종⑤ 압구정 사건사림들은

    중앙선데이

    2010.03.07 02:56

  • [송호근 칼럼] 16세기로 내닫는 폭주기관차

    [송호근 칼럼] 16세기로 내닫는 폭주기관차

    연산군 때, 실록편찬의 최고책임자 이극돈은 깜짝 놀랐다.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빗댄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사초에 오른 것을 발견한 때문이었다. 조정이 발칵 뒤집혔다. 왕권과

    중앙일보

    2010.01.25 19:58

  • 썩어빠진 高宗의 총신들 월미도를 일본에 팔아먹다

    새로 임명한 각료의 인사청문회로 장안의 지면이 시끄러웠던 것이 오래지 않았다. 인사 때마다 공직자의 비리가 도마 위에 오른다. “그 시절에는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인사

    중앙일보

    2009.10.31 20:17

  • [송호근 칼럼] 流配 (유배)

    왕권을 분점하라 - 조선 500년 동안 궁중세력의 최종 목표가 이것이었다. 왕권을 나눠가진 실세집단은 패배집단에 사약을 내렸다. 조선은 유배사회였다. 유배로 권력투쟁의 화마(火魔)

    중앙일보

    2009.09.08 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