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문의 숨결 어린 유물이 한자리에-제2회 명문전래 가보전

    「후손에겐 긍지를, 모든 가문에겐 가보를 간직하는 마음」을 길러주기 위해 중앙일보와 신세계백화점이 79년에 이어 공동으로 마련한 재2회 명문전래 가보전이 신세계미술관에서 열리고 있

    중앙일보

    1981.03.27 00:00

  • 온양 민속박물관 개관 1주년 서도전|25∼11월 30일 충남 명현 30인의 필적·유물도

    온양민속박물관(관강 김?직)은 25일 개관 1주년을 맞아 충남명현유품전과 심당 김재·희재 황규동씨의 서도전을 열고 있다. 25일부터 11월30일까지 열리는(특별전시실) 충남명현유품

    중앙일보

    1979.10.26 00:00

  • 처음 공개된 명문의 가보들-지상편

    ▲우암서상및시권 높이 28cm밖에 안되는 이 작은 서상은 송시열선생이 화양동계곡에서 지낼 무렵부터 작고할 때까지 20여년동안 아껴 사용하던 것이다. 상면 전후좌우를 칼로 비스듬히

    중앙일보

    1979.04.06 00:00

  • 2명 용의자로 추적

    【대전】속보=국전전시작품 도난사건을 수사중인 대전경찰서는 20일하오 2차 현장 정밀수사에서 법인의 것으로 보이는 족적(족적) 1개를 전시장남쪽 출입구에서 5m 떨어진 곽남배씨 작품

    중앙일보

    1978.11.21 00:00

  • 옛 명현문집·전기 잇단 출간

    옛 명현들의 문집과 전기·저서들의 출간「붐」이 일고 있다. 출판사·기념사업회·각 문중 등이 국역 또는 영인으로 출판하는 갖가지 선현들의 저술은 귀중한 역사 자료는 물론 「한국적 전

    중앙일보

    1978.09.04 00:00

  • 몸 던져 국난 헤친 그 충절을 기린다|정기룡 장군의 유적지 상주 사벌 벌판 성역화

    『기룡이 아니었다면 영남을 지킬 수 없었고 영남을 잃었더라면 사직을 보위하지 못했을 것이요』 -바로 그 이조의 명장 정기룡 장군의 충혼이 깃 든 사 벌 벌판(경북 상주 군)의 유적

    중앙일보

    1978.02.24 00:00

  • (18)임경업과 병자호란

    『삼척의 보검은 만권의 서적에 당하도다. 하늘이 나를 냄은 어인 뜻인가. 산동에는 재상이 나고 산서에는 장수가 난다는데 저들이 대장부면 나 또한 대장부다』(삼척룡천만권서, 황천생아

    중앙일보

    1977.06.14 00:00

  • 우암 송시열 선생 유묵전

    우암 송시열 선생 유묵전이 13일∼18일 신세계백화점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이조의 인조·효종·현종·숙종 4대 임금을 섬겼던 주자학의 거유 송시열 선생의 글씨는 유려하면서 단아하고

    중앙일보

    1974.08.16 00:00

  • 충북 화양동 낙영산-조필대

    동산초보자에게 적합한 낙영산「코스」를 소개한다. 등산로가 외길이어서 초행 자도 안심하고 오를 수 있을뿐더러, 이곳은 훌륭한 관광지를 끼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화양동이라고 하면 충

    중앙일보

    1973.09.19 00:00

  • 「사문학보」발간

    사문학회가 최근 『송자대전』 전 7권의 발간을 계기로 「사문학보」 창간호를 냈다. 한국 전통 문화 특히 선현의 정신 유산을 계승 발전시키고 새 역사 창조에 공헌하기 위해 발족한 사

    중앙일보

    1972.04.25 00:00

  • 제1회 목포∼서울 중앙 대 역전경주 코스따라 산천따라(4)|제4구간 대전∼천안

    대전 시민의 휴식처인 보문산, 동양 최대의 시설을 자랑하며 돈을 찍어내는 조폐공사 대전공장, 우암 송시열이 거유고덕과 논도 강의했던 남간 정사를 돌아보며 만년 교를 넘어서면 포플러

    중앙일보

    1971.06.05 00:00

  • (284)|뭍으로 뻗은 무지개 거제대교|글-주섭일, 사진-이을윤

    한려수도의 동단, 푸른 바다 위에 무지개처럼 다려가 섰다. 한반도의 남쪽 끝 경남 통영군 용남면과 거제 섬을 한줄기로 잇는 총 연장 7백40m의 거제대교. 『성덕이 너그러워 섬으로

    중앙일보

    1971.02.27 00:00

  • (3) 외국인학자를 찾아|족보 따라 두메 찾기 7년|서강대 사회문제연구소 버내스키 소장

    월미엄·버내스키(William E. Biernatzki)박사(38)의 연구실 겸 집무실은 조그마하고 벽걸이 하나 없이 단조로왔다. 올해 개설한 서강대사회문제연구소의 소장직을 맡은

    중앙일보

    1970.05.19 00:00

  • (3)어떻게 여가를 생활하나|서화

    『본래 그림을 잘 그렸으나 여덕은 필한(글재주)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여 그 방면에서 손을 끊었다.』이조중엽 선비가정의 한 여성인 「김씨」(강희맹의 10대손부)에 대한 기록이다.

    중앙일보

    1970.03.28 00:00

  • 충무공 목비발견

    【충무】이충무공의 임진왜란때 공적을 기록해놓은 근3백년전 목비(목비)가 충무시내 충렬사창고에서 발견되었다. 김상조통영군수는 최근총렬사 유물을 열람 하던중 전하는한 목비를 찾아낸 것

    중앙일보

    1969.03.20 00:00

  • 송시열| 한글편지 발견

    한글이 국자로 제정, 반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언문」이니「반절」이니 해서 사갈시 되었다고하는 종래의 관념은 결코 옳은 것이 아니었다. 그 근거로서 서민과

    중앙일보

    1967.10.10 00:00

  • 조국에 돌아와서 ③ -김소운

    고국을 지척간에 두고 14년이나 돌아오지 못한 이유를 소위 설화사건 때문이라고 하는 이가 있다. 이승만 정권을 비판한 것이 그 원인이라고 해서, 어느새 우암 송시열, 완당 김정희

    중앙일보

    1965.10.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