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말 바루기] ‘경구 투여’가 뭐예요?

    의약품의 설명서를 보면 ‘경구 투여’라는 말이 적힌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무슨 뜻일까?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이 자체로는 감이 잘 잡히지 않는다.   경구(經口)는 약 등이

    중앙일보

    2023.08.28 00:02

  • [우리말 바루기] ‘저작장애’가 뭐예요?

    다음 중 음식물 씹는 것을 뜻하는 말은?   ㉠ 연하(嚥下) ㉡ 소양(搔癢) ㉢ 천명(喘鳴) ㉣ 저작(咀嚼)   모두가 의학용어로 일반인은 알기 어려운 것들이다. ㉠연하(嚥下)는

    중앙일보

    2023.06.26 00:02

  • [우리말 바루기] ‘제세동기’가 뭐예요?

    다음 중 ‘제세동기’가 뜻하는 것은?   ㉠ 군대 제대 동기 ㉡ 세상을 구제하는 사람들 ㉢ 심장충격기   ‘제세동기’가 무슨 뜻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 사람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중앙일보

    2023.05.15 00:02

  • ‘향기로운 첫 키스’에 취하다, 누룩 명인의 첫 술

    ‘향기로운 첫 키스’에 취하다, 누룩 명인의 첫 술

     ━  이택희의 맛따라기   전통누룩 명인 한영석 소장이 빚은 약주 시리즈 5종. 왼쪽부터 청명주, 하향주, 호산춘, 동정춘, 백수환동주. 주변의 누룩은 녹두로 띄운 1㎏에 33

    중앙선데이

    2023.01.14 00:21

  • [우리말 바루기] ‘리터’의 표기법

    메이저리그를 즐기려면 ‘피트’와 ‘마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미국은 미터법이 자리 잡지 못한 국가다. 여러 차례 시도에도 관습을 이기지 못한 탓이다.   우리의 평수 개념이 끈질

    중앙일보

    2022.01.27 00:03

  • 로드킬은 '동물 찻길 사고', 노가다는 '현장 근로자'로 불러주세요

    로드킬은 '동물 찻길 사고', 노가다는 '현장 근로자'로 불러주세요

    주행 중 도로에서 야생동물과 부딪히는 사고인 로드킬은 우리 말로 '동물 찻길 사고'로 순화해 부르는 게 좋다. [뉴스 1]  '함바→현장 식당', '톨비→통행료', '시마이→끝,

    중앙일보

    2020.10.08 14:43

  • 어려운 외국말 쉽게 고친다…국립국어원 ‘한국어지킴이’들

    어려운 외국말 쉽게 고친다…국립국어원 ‘한국어지킴이’들

     ━  쉬우니까 한국어다 〈3〉   2일 서울 강서구 국립국어원 1층 세종대왕상 앞에 모인 공공언어과 ‘한국어지킴이’들. 왼쪽부터 김선철 과장, 김나영 연구원, 박주화·이현주 학

    중앙선데이

    2020.07.04 00:20

  • 비말 대신 침방울, 슬로푸드 대신 정성 음식 어때요

    비말 대신 침방울, 슬로푸드 대신 정성 음식 어때요

     ━  쉬우니까 한국어다 〈1〉   중앙SUNDAY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쉬우니까 한국어다’ 연재를 시작합니다. 우리 일상에서 자주 쓰이고 있는 복잡한 한자어, 뜻 모를 일

    중앙선데이

    2020.06.06 00:20

  • '핵인싸', 'TMI' 신조어도 수어(手語)로 전하는 '손짓 사랑'

    '핵인싸', 'TMI' 신조어도 수어(手語)로 전하는 '손짓 사랑'

    행인에게 길을 물었다. 몇번을 물어봤는데도 대답이 없다. ‘왜 이리 불친절하지?’라고 생각할 때쯤 상대방이 손짓으로 귀가 안 들린다는 표현을 했다. ‘아, 청각장애인이구나…’ 장

    중앙일보

    2019.08.31 11:34

  • ‘검색 중독’ 벗은 IT 고수들, 명상 ‘집단 지성’의 깃발 들다

    ‘검색 중독’ 벗은 IT 고수들, 명상 ‘집단 지성’의 깃발 들다

     ━  마인드풀, 내 마음이 궁금해 휴대폰을 끄세요   명상삽화 “이제 휴대폰을 끄고 여러분의 마음을 여세요(Please turn off your cell phone and tu

    중앙선데이

    2019.03.16 00:20

  • 진보라→ 밝은보라, 크롬노랑→바나나색…31년만에 국표원 색 이름 변경

    진보라→ 밝은보라, 크롬노랑→바나나색…31년만에 국표원 색 이름 변경

    색종이 등에 쓰이는 '진보라'색이 31년 만에 '밝은 보라'로 명칭이 바뀐다. '크롬노랑색', '카나리아색' 등 색깔을 유추하기 어려운 이름이 '바나나색', '레몬색'으로 변경된

    중앙일보

    2019.02.26 11:00

  • 해외서 한 달 살기? 변수를 인정하고 실수를 즐겨야

    해외서 한 달 살기? 변수를 인정하고 실수를 즐겨야

     ━  [더,오래] 박헌정의 원초적 놀기 본능(15)   지난 17일 중앙일보 [더,오래]의 오프라인 행사 ‘톡톡 더,오래’에서 50·60세대에게 맞는 해외 한 달 살기에 관해

    중앙일보

    2019.02.04 11:00

  • [비즈 칼럼] MRI 건강보험 적용이 바꿀 의료현장

    [비즈 칼럼] MRI 건강보험 적용이 바꿀 의료현장

    이익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기획상임이사 MRI. 우리말로는 특수검사자기공명영상법인데 주로 뇌 질환의 정밀한 진단에 필요한 검사이다. 그리고 일반 국민에게는 가장 부담스러운, 비용이

    중앙일보

    2018.11.05 00:02

  • 120년만의 철도용어 표준화 “부산 아재가 했다 아잉교”

    120년만의 철도용어 표준화 “부산 아재가 했다 아잉교”

    120년만에 철도 용어 15개를 우리말로 바꾸는데 성공한 부산교통공사 김상철 계획설계팀장(왼쪽)과 김철홍 대리(오른쪽). 앞으로 지하철 내 상단에 적힌 '편성'은

    중앙일보

    2018.08.28 17:09

  • 북촌 한옥마을 만든 조선 건축왕 정세권을 아시나요

    북촌 한옥마을 만든 조선 건축왕 정세권을 아시나요

    김경민 교수“선생은 도시계획의 선각자였고, 독립운동가였습니다. 해방 이후 일반 대중에겐 잊혀진 인물이 됐지만, 역사적 족적이 워낙 거대해 하나하나 퍼즐 맞추듯 기록과 자료를 모을

    중앙일보

    2017.02.03 01:16

  • '건축왕 정세권' 연구, 서울대 김경민 교수

    “선생은 도시계획의 선각자였고, 독립운동가였습니다. 해방 이후 일반 대중에겐 잊혀진 인물이 됐지만, 역사적 족적이 워낙 거대해 하나하나 퍼즐 맞추듯 기록과 자료를 모을 수 있었지요

    중앙일보

    2017.02.02 16:04

  • 가맹점 150곳 ··· 정찰제로 신뢰 얻어

    가맹점 150곳 ··· 정찰제로 신뢰 얻어

    다비치안경은 전국 150여 개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다비치안경체인의 다비치안경이 2013 고객사랑브랜드대상 안경전문점 부문 대상 브랜드로 선정됐다. 다비치는 ‘세상을 맑고 밝게

    중앙일보

    2013.05.03 03:30

  • [열린 광장] 다문화 가정 자녀에 한국어 교육 시급하다

    [열린 광장] 다문화 가정 자녀에 한국어 교육 시급하다

    성완종충청포럼 회장 요즘 TV를 보면 한국어에 능숙한 외국인이 많이 등장한다. 고정 출연자도 있고 초대손님도 있다. 아예 외국인만 출연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TV에

    중앙일보

    2011.07.02 00:19

  • [200자 경제뉴스] 진로 막걸리 미국 시장에도 진출 外

    [200자 경제뉴스] 진로 막걸리 미국 시장에도 진출 外

    기업 ◆진로 막걸리 미국 시장에도 진출 ‘진로 막걸리’가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이달 초 미국 뉴욕·로스앤젤레스에 막걸리 4000상자를 수출하고 한인 업소 지역 중심으로 판매에 나

    중앙일보

    2010.05.17 00:01

  • [우리말 바루기] 잘못 적기 쉬운 한자어

    우리말에서 한자어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가 바탕이 된 단어를 적을 때는 뜻을 잘 생각해야 한다. 소리에만 의존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잘못 적는 경우가 생긴다. ㄱ. 적정

    중앙일보

    2009.09.16 00:14

  • [내생각은…] '한글 인터넷주소'를 지키자

    [내생각은…] '한글 인터넷주소'를 지키자

    얼마 전 학생 선발과 관련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일이다. 베이징의 이민심사관이 공항 출국대에서 내게 던진 한마디는 가위 충격적이었다. 그는 내 한국 여권을 빤히 들여다보면서 "당

    중앙일보

    2006.11.13 20:56

  • 색이름 133개 표준화

    병아리색(노랑), 수박색(초록), 키위(참다래)색(진한 연두) 등이 표준 색이름으로 새로 지정됐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개정을 권고한 '살색'은 '살구색'으로 표준 이름이 바뀌었다.

    중앙일보

    2005.05.18 05:33

  • [분수대] 국어와 한국어

    [분수대] 국어와 한국어

    소한 추위가 맵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는 옛말이 새삼스럽다. 대한이는 누구이고 소한이는 또 누구일까. 한자를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얘기다. 대한(大寒

    중앙일보

    2005.01.04 18:31

  • [토요 이슈] 공공안내 그림표지 새 단장

    [토요 이슈] 공공안내 그림표지 새 단장

    '낯선 고장을 여행하다가 인터넷을 쓰고 싶은데, 그런 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궁금하다면'. '약수터를 찾았는데, 마셔도 되는 물인지 걱정된다면'. 살다 보면 접할 수 있는 어려움들이

    중앙일보

    2004.10.30 0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