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조선대병원, 전국 최초 치매전문병동 개소

    조선대병원이 전국 최초 치매전문병동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이 날 오전 10시 본관 5층 동편에 마련된 치매전문병동은 지난해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제

    온라인 중앙일보

    2016.10.18 14:39

  • [사설] 무서운 결핵, 허술한 결핵 관리

    지난달 이화여대 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와 삼성서울병원 소아병동 간호사가 결핵 확진 판정을 받은 데 이어 7일에는 고려대 안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가 의심환자로 신고됐

    중앙일보

    2016.08.09 18:26

  • 국민 3분의 1 잠복결핵…‘1인 5만원’ 검사비 확보 못한 정부

    국민 3분의 1 잠복결핵…‘1인 5만원’ 검사비 확보 못한 정부

    이화여대 목동병원에 이어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이 결핵에 감염된 사실이 드러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삼성서울병원 소아암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27·여)가 정기 건강검진에서 전염성 결핵에

    중앙일보

    2016.08.04 01:33

  •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앞으론 의사 면허 뺏는다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앞으론 의사 면허 뺏는다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 원장 김모(53)씨는 2008년부터 환자를 진료할 때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해 오다 지난해 12월 적발됐다. 교통사고 후유증을 앓던 김씨는 간호조무사인 부인에

    중앙일보

    2016.03.10 01:46

  • [건강한 목요일] 점점 심각해지는 항생제 내성

    [건강한 목요일] 점점 심각해지는 항생제 내성

     정확히 35년 뒤인 2050년 11월 19일 새벽 서울의 한 대형병원 응급실에 A씨(70)가 의식을 잃은 채로 이송됐다. 그는 지방의 한 요양병원에서 폐렴 증상으로 한 달 가까이

    중앙일보

    2015.11.19 00:37

  • 점점 독해지는 식인 박테리아 매년 7억명 감염, 50만명 사망

    점점 독해지는 식인 박테리아 매년 7억명 감염, 50만명 사망

    강력한 항생제 메티실린에도 죽지않는 메티실린내성균(MRSA). 2009년 3월, 아프리카 남아공의 소설작가 알 존슨은 무펜자티 호수에서 평소처럼 수영을 즐겼다. 하지만 악몽은 시

    중앙선데이

    2015.09.20 00:51

  • 폭행에 메르스까지, 응급실 엑소더스 가속화

    폭행에 메르스까지, 응급실 엑소더스 가속화

    ▲ 동두천 한 병원에서 발생한 응급실 근무 의사 폭행 CCTV화면. 병원 내에서 응급실 근무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커지고 있다. 감염의 최대 취약지로 낙인찍힌 데다 각종 폭행사건

    온라인 중앙일보

    2015.07.23 18:09

  • 환자 거친 병원 하룻새 8곳 늘어

    환자 거친 병원 하룻새 8곳 늘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 증가 추이는 8일을 고비로 한풀 꺾였으나 확진환자들이 거쳐 간 병원 수는 오히려 8곳 늘었다. 환자와 밀접 접촉한 격리대상자들이 병원을 전전

    중앙일보

    2015.06.10 02:10

  • ‘아차!’ 하다 생명 잃는 초응급질환, □□□□을 아시나요?

    ‘아차!’ 하다 생명 잃는 초응급질환, □□□□을 아시나요?

    백신은 세균·바이러스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방패다. 진단이 까다로운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대표적인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을 보자. 이 질환은 겉으로 드러나는 초기 증상이 감기

    중앙일보

    2015.04.20 00:01

  •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병원'객사'73% 역대 최고 … 멀어지는'품위있는 죽음'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병원'객사'73% 역대 최고 … 멀어지는'품위있는 죽음'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성식 복지전문기자골수이형성 증후군이라는 희귀병을 앓던 양모(84·여·서울 마포구)씨는 지난달 초 서울 강남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중앙일보

    2015.03.13 00:37

  • 노인 요양시설서 수퍼박테리아 세계 첫 검출

    국내 요양시설과 요양병원에서 집단 생활을 해온 노인 환자에게서 기존 치료제(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강력한 폐렴구균(肺炎球菌)이 발견됐다. 항생제 오·남용 때문에 생긴 수퍼박테리아

    중앙일보

    2014.07.09 01:25

  • 기존 치료제에 반응 않는 수퍼 박테리아 '폐렴구균' 국내서 첫 발견

      국내 요양시설ㆍ병원에서 집단 생활을 해온 노인 환자에게서 기존 치료제(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폐렴구균(肺炎球菌)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른바 수퍼 박테리아다. 8일

    중앙일보

    2014.07.08 14:59

  • [우리 동네 주치의] 발열·근육통·두통 전신증상 오면 요즘 유행하는 독감 의심을

    [우리 동네 주치의] 발열·근육통·두통 전신증상 오면 요즘 유행하는 독감 의심을

    김동운아산 아이본소아청소년과 원장추운 겨울에 피하기 힘든 질병이 독감이다. 감기 환자가 1000명당 12.1명을 초과하면 독감유행주의보가 발령된다. 현재 독감 환자는 1000명당

    중앙일보

    2014.02.20 00:01

  • 발병 2~3일 만에 생명 위협하는 '캠퍼스 킬러 전염병' 아시나요

    발병 2~3일 만에 생명 위협하는 '캠퍼스 킬러 전염병' 아시나요

    미국 뉴저지로 아들을 유학 보낸 이지영(41·서울 서초구)씨. 그는 최근 아들이 유학간 프린스턴대에서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이 집단 발병했다는 소식을 듣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다행히

    중앙일보

    2013.08.12 00:40

  • 옴·머릿니 어디서 옮았지 … 후진국병의 역습

    옴·머릿니 어디서 옮았지 … 후진국병의 역습

    이달 초 충북 진천군의 한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해 있는 노인 2명과 요양보호사 2명이 전염성이 강한 피부병인 옴에 걸렸다.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경북의 한 요양병원에서 66세

    중앙일보

    2013.07.29 00:29

  • 2013년 보건의료계 3대 키워드 확대ㆍ투쟁ㆍ변화

    2013년 보건의료계 3대 키워드 확대ㆍ투쟁ㆍ변화

    ▲ 노환규 의협회장(가운데)를 비롯한 의료계 인사들이 3일 열린 신년교례회에서 성공적인 2013년을 기원하고 있다. 계사년(癸巳年)의 문이 열리며 보건의료계가 뱀처럼 꿈틀대고 있

    온라인 중앙일보

    2013.01.07 14:33

  • 예측불가능, 급속 진행 … 3일만에 사망도

    예측불가능, 급속 진행 … 3일만에 사망도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은 건강한 사람도 며칠 만에 사망케 한다. 살아남아도 사지를 절단하거나 뇌손상·시력손실·언어장애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다. 집단생활을 하거나 젊은층이면 고위험

    중앙일보

    2012.08.27 05:32

  • [사설] 도덕 불감증 드러낸 태백시 집단 보험사기

    강원도 태백시에서 경찰에 적발된 집단 보험사기 사건은 우리 사회의 도덕 불감증이 한계에 이르렀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태백시 주민 300여 명은 거액의 보험에 가입한 뒤 허위로

    중앙일보

    2011.11.05 00:32

  • 클릭수로 본 2009 조인스닷컴 '베스트 10'

    클릭수로 본 2009 조인스닷컴 '베스트 10'

    올 한해 조인스닷컴에서 네티즌이 가장 많이 본 뉴스는 지난 12월 10일 게재된 ‘CCTV 촬영된 내 집에 숨어 사는 여자 섬뜩해’였다. 이 기사는 모두 126만6000여명(순독자

    중앙일보

    2009.12.28 11:37

  • 어린이만 예방접종? 꼭 챙겨야 할 어른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인체에 항원을 투여해 항체를 생기게 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하는 수단이다. 백신이라고도 하는 예방주사는 경제적인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훗날 예방주사를

    중앙일보

    2007.12.19 10:49

  • 어른도 예방주사 맞아야 한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독감 예방접종을 받으려고 많은 사람들이 병.의원을 찾게 된다. 흔히 예방접종하면 어린이에게만 해당하는 일로 여기거나 노인들의 독감예방접종 정도만 생각하는 경

    중앙일보

    2004.09.03 10:06

  • 홍콩 의료진 7명 사스 유사 증세

    홍콩 공립병원인 네더솔병원 내과병동 의료진 7명이 집단으로 발열과 콧물, 기침, 후두염 등 호흡기 질병 증세를 보이고 있다. 홍콩 의원관리국은 이에 따라 네더솔병원 E3 병동 입원

    중앙일보

    2003.08.27 11:26

  • 홍콩, 이번엔 유행성 독감 확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홍역을 치른 홍콩에 이번에는 유행성 독감이 확산되고 있어 보건 당국이 비상에 걸렸다. 홍콩 위생서는 27일 올 여름 사회복지시설 4곳에서 64

    중앙일보

    2003.07.28 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