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말 바루기] ‘모꼬지’의 계절

    새 학기를 맞아 대학에서는 학과나 동아리별로 단합대회를 많이 떠난다. 서로 얼굴을 익히고 소속감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봄이 되면 회사에서도 신입 사원 단합대회나 수련회를 가는 경

    중앙일보

    2019.03.14 00:03

  • [아름다운 간판] 4(끝). 우리말 가게이름 눈길

    서울 삼성동의 횟집인 '맑은 바닷가의 나루터'. 지난해 한글학회가 '아름다운 우리말 가게'로 선정한 이 업소의 간판은 여백을 시원하게 살리기 위해 작은 글씨로 제작돼 출입문에 걸려

    중앙일보

    2004.02.26 19:14

  • 위생업소대상 우리말 상호애용 운동 펼쳐-전남도

    각종 상표.상호 등에서 무분별한 외래어나 외국어를 사용함으로써「우리말 간판」이 사라져 가는 가운데 전남도가 우리 정서에 어울리는 곱고 아름다운「우리말 상호애용 운동」을 펼쳐 관심을

    중앙일보

    1994.08.10 00:00

  • 압구정·선릉일대 외래어간판 정비

    서울 강남구는 20일 서울 압구정로 정화를 위해 3월10일까지 압구정로와 선릉로 일대 접객업소의 외래어 간판을 일제히 정비키로 했다. 정비대상은 ▲다미다미·블루보이 등 외래어를 우

    중앙일보

    1993.02.20 00:00

  • 잘못된 옥외광고 일제정비/내무부,92개 용어사용법 마련

    내무부는 1일 한글맞춤법과 외래어표기법에 맞지 않게 표기된 각종 업소의 옥외간판과 지역정보안내 등 옥외광고물을 정비토록 각 시·도에 지시했다. 내무부는 그동안 옥외광고물에서 「얼음

    중앙일보

    1992.08.02 00:00

  • 광장 독자가 만드는 페이지

    ▲『대로변퇴폐 유흥업소 규제요망』(11월19일)=서울시 종로·마포구청은 현지조사후 해당업소(33개소)에 대해 경고처분. 밖에서 업소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유리창에 페인트칠을 하도

    중앙일보

    1983.01.17 00:00

  • 불편 큰 민원업무 4백25건|연말까지 개선키로 내무부

    내무부는 3일 현행 민원제도중 주민생활에 부담과 불편을 주거나 현실에 맞지 않고 주민편익보다는 행정기관의 편의 위주로 돼있는 각종규정과 규제사항들을 관계부처와 협의, 늦어도 오는

    중앙일보

    1980.06.03 00:00

  • (2)서투른 외래어 추방하자

    『대학입시에 「패스」한 대학생이 「유니폼」에 「배지」를 달고 대학「마크」가 선명한 「스쿨·버스」로 「캠퍼스」에 갔더니 「채펄」을 겸한 입학식에 이어 「오리엔테이션」이 있었다. 종강

    중앙일보

    1979.01.05 00:00

  • 건국30년 특별「시리즈」(8) 한국속의 미국 안방에 파고들다

    지난 7월 어느 백화점이 미국산 수입과자류를 내놓자 2천만원 어치가 1주일만에 매진돼버렸다. 국산보다 3배나 비싼 값이었다. 미국「거버」사의 유아이유식품이 판매대에 오르고선 국산이

    중앙일보

    1978.08.10 00:00

  • 우리말로 간판바꾸자 면허세부과

    【부산】부산시는 정부의 우리말순화시책에따라 식품환경위생업소들의 외래어업소명을 우리말로 바꾸도록 독려하면서 우리말로 이름을 바꾼 업소들에 지방세법상의 신고사항변경의 경우를 적용, 새

    중앙일보

    1976.06.11 00:00

  • 상점이름 외래어사용 규제

    서울시는 21일 「바」「살롱」「카바레」등 유흥전문음식점을 비롯, 식품접객업소와 「사우나」탕·당구장 등 환경업소, 양복점 등 모든 상점의 상호에 외래어사용을 규제할 방침이다. 또 신

    중앙일보

    1976.04.21 00:00

  • 음식이름 우리말로 쓰자

    종로보건소는 14일 일식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음식물을 비롯, 식기 등 명칭을 일본어 등 외국어로 부르는 예가 많다고 지적, 관내 1백30여개 일식·양식업소에 대해 「음식물 우리말로

    중앙일보

    1972.11.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