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인-디자이너 공예 프로젝트 ① 석장 이재순+디자이너 마영범

    장인-디자이너 공예 프로젝트 ① 석장 이재순+디자이너 마영범

    마영범 디자이너와 이재순 석장의 작품인 화강암으로 만든 ‘천록’ 석상. 천록은 잡귀를 물리치는 성스러운 동물로 왕궁에 놓였다. 작은 크기지만 선의 역동성을 살렸고 눈에 크리스털을

    중앙일보

    2011.08.29 00:15

  • [home&] 가구의 윤회

    [home&] 가구의 윤회

    헌 가구는 ‘문화로놀이짱’ 공장에서 해체돼 새로운 디자인의 가구로 다시 태어난다. 하영호(43) 공장장이 나무를 깎고 있다. ‘업사이클링’이 최근 디자인 업계의 화두다. 업사이클

    중앙일보

    2011.05.30 00:17

  • 산업을 향한 발돋움, 전통공예의 업그레이드

    산업을 향한 발돋움, 전통공예의 업그레이드

    1 승지민 작가가 도자상회기법으로 달항아리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8일 오후 시청 앞 서울광장.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여인들이 커다란 달항아리를 끌어안고 그림을 그린다. 백합꽃도

    중앙선데이

    2010.11.13 19:32

  •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⑧ 공예브랜드 ‘채율’ ‘색동칠보’의 칠보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⑧ 공예브랜드 ‘채율’ ‘색동칠보’의 칠보

    칠보(七寶)는 원래 금속공예다. 비녀·노리개·은합·은식기 등 금속 위에 빨주노초파남보의 영롱한 보석가루로 그림을 그려내는 공예다. 칠보라는 말이 일본에서 유래해 일본 공예로 알려지

    중앙일보

    2010.10.25 00:19

  • [home&] 줄무늬 백자, 자개 이어폰…옛것에서 찾은 미래

    [home&] 줄무늬 백자, 자개 이어폰…옛것에서 찾은 미래

    전통공예와 현대의 만남. 말처럼 쉽지 않다. 우리 전통 소재와 기술을 이용하되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실용적인 디자인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술과 의지는 물론 신선한 발상은 필수다.

    중앙일보

    2010.10.25 00:15

  • [style&] 디자인 입고 젊어진 나전칠기

    [style&] 디자인 입고 젊어진 나전칠기

    ‘옻칠을 한 나무는 천 년을 간다’는 이야기가 있다. 섭씨 25도, 습도 75% 이상의 환경에서 칠한 옻은 나무에 자연스레 스며든다. 온도나 습도가 맞지 않으면 옻칠은 마르지 않

    중앙일보

    2009.04.03 00:03

  • 韓·日 일식 요리의 지존

    韓·日 일식 요리의 지존

    누구나 인정하는 최고들에게는 공통점이 많다. 기본을 알고 기준을 지키려는 고집,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 용기… 그리고

    중앙선데이

    2008.11.23 05:23

  • 韓·日 일식 요리의 지존

    韓·日 일식 요리의 지존

    신라호텔 일식당/아리아케 이태영 차장/아리아케의 요리1 재료에 밑간을 해 바삭하게 튀겨낸 튀김은 간장 없이 먹어도 충분히 맛있다. 2 생선이면서 닭고기의 육질을 가진 복어는 종잇

    중앙선데이

    2008.11.21 23:09

  • “경주·인사동서 본 한국문화에 반했어요”

    “경주·인사동서 본 한국문화에 반했어요”

    한국 전통 가면의 대명사인 하회탈이 언제 등장했는지를 아는 한국인은 많지 않다. 화려하고 정교한 한국 금속공예의 특징을 잘 아는 사람도 드물다. 이렇게 우리도 잘 모르는 한국 전통

    중앙일보

    2008.10.18 00:14

  • [Fountain] An oily story

    석유 고갈 고려시대에 석유가 나왔고 사람들이 흔히 썼다는 기록이 있다. “석유(石油)는 고려에 있다. 석암(石巖)으로부터 흘러나오는데, 샘물과 서로 뒤섞여 솟아 나오며, 미끄럽기가

    중앙일보

    2008.05.28 08:17

  • [분수대] 석유 고갈

    [분수대] 석유 고갈

    고려시대에 석유가 나왔고 사람들이 흔히 썼다는 기록이 있다. “석유(石油)는 고려에 있다. 석암(石巖)으로부터 흘러나오는데, 샘물과 서로 뒤섞여 솟아 나오며, 미끄럽기가 고기 기름

    중앙일보

    2008.05.28 00:43

  • 나전칠기, 그 섬세함과 화려함의 극치

    나전칠기, 그 섬세함과 화려함의 극치

    한때 자개장은 부의 상징이었다. 부잣집 마나님이 등장하는 TV 드라마 안방에는 어김없이 큼지막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아파트 붙박이장이 일상화한 지금이지만 아직도 자개장은 손쉽게 구

    중앙일보

    2006.09.01 20:30

  • [week& 클로즈 업] 옻칠 공예의 땅 일본에 새긴 한국 장인정신

    [week& 클로즈 업] 옻칠 공예의 땅 일본에 새긴 한국 장인정신

    ▶ 전용복 소장이 그의 칠예연구소에서 기초 옻칠한 판넬에 입김으로 금가루를 뿌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일본 메구로 가조엔에 있는 세계 최초의 옻칠 엘리베이터.일본의 영어이름 '재

    중앙일보

    2004.03.18 15:55

  • 뚝 떨어진 수은주… 이색전시회·공연으로 풍성하게

    겨울을 재촉하는 늦가을 비가 을씨년스럽게 내린다. 몇장 안남은 나뭇잎이 오히려 안스럽기만 하다. 또 한 해를 보낸다는 생각에 마음은 바짝 내려앉은 하늘만큼이나 무겁다. 이번 주말

    중앙일보

    2003.11.20 21:04

  • 천태종 단양 구인사 대조사전 10년만에 완공

    구인사의 대조사전은 오래 전부터 불교계에서 화제가 돼왔다. 충북 단양의 산골짜기에 자리잡은 구인사는 '천태종' 의 본산이고, 대조사전은 오늘의 천태종을 일으킨 조사(祖師)를 모시는

    중앙일보

    2000.11.03 00:00

  • 上.해인사板庫 온.습도 조절에 이상적

    유네스코로부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려 팔만대장경은 70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제작과정이나 보존방법등이 신비의 베일에 싸여있다.해인사대장경연구소(소장 종림스님.책임연구

    중앙일보

    1995.12.07 00:00

  • 필기구업계,신제품 개발 붐 동아연필.국제아피스등 곧 시판

    국내 필기구업체들이 사무자동화에 따른 수요정체와 소비자들의 취향변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제품을 잇따라 개발하고 있다. 동아연필은 지난 8년동안 50억여원의 연구개발비를 들여 하이테

    중앙일보

    1994.08.06 00:00

  • 한국여성문화 자료특별전|「삼국시대∼오늘」의 삶 한눈데

    고분 벽화, 삼국시대의 옻칠 목재 빗, 한시와 난초그림이 어우러진 구한말의 기생 속치마, 열녀비 세울 것을 임금에게 호소하는 『통문』, 결혼한 여성이 돌아가신 친정어머니와 남편을

    중앙일보

    1993.07.10 00:00

  • 푸대접 받는 인간문화재 작품

    문화재관리국의 문화재관리·보수 및 인간문화재의 작품활동에 대한 보호·관리행정이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재 보수공사에 조상들의 기법과 숨결이 깃들인 인간문화재(무형문화재 기능보유

    중앙일보

    1990.05.24 00:00

  • (29)동해도(도오까이도)최후의 여관거리 품천(시나가와)에 닿다.|동해사에 특별지시, 일행안전 보장| 통신사행적 일일이 기록한 일지 절에서 책으로 매어 보관

    험준한 하꼬네(상량)고개를 무사히 넘어 오다와라(소전원)에서 1박한 신유한공 일행은 다음날 사까와(주구)강을 건너 오오이소(대기)에서 점심을 들고 하오에 사가미(상모·마입)강을 건

    중앙일보

    1985.11.05 00:00

  • 혼수가구 1세트에 3천만원|비싸도 날개돋치는 호화공예품

    가구 한 세트 값이 웬만한 고급아파트 한 채 값인 3천만원. 인간문화재·전통공예가·대학 공예과 교수 등이 1년에 1∼2세트씩 만드는 최고급품이다. 이 고급가구들이 요즘 들어 화폐가

    중앙일보

    1981.08.01 00:00

  • 정성으로 빚은 전통 「한국의 미」|인간 문화재 공예 작품전

    한국 전래의 슬기로운 재주와 솜씨를 가진 사람들을 흔히 「인간 문화재」라 일컫는다. 이는 물론 지어낸 시쳇말이고, 공식 명칭은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 국가적인 지정 자체는

    중앙일보

    1978.09.08 00:00

  • 공예가 강창원씨 유작전

    지난 10월25일 71세로 작고한 공예가 강창원씨의 건칠 유작전이 29일∼12월4일 신세계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출품은 15점 남짓하지만 다시 보기 어려운 유작들이다. 강씨는

    중앙일보

    1977.11.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