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보다 어렵단 말 나온다, 구현대 재건축 진짜 난관 유료 전용
■ 🏠 글 싣는 순서 「 ‘돈 버는 아파트 완전정복’은 30~50대 주택 수요자를 위한 맞춤형 콘텐트입니다. 미래가치가 큰 단지를 선정해 해당 아파트 소유자, 중개업자, 부동
-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신분제 조롱한 붓끝, 끝내 못다 핀 ‘하늘이 내린 괴물’
━ ‘홍길동전’ 허균 집안의 비극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나와 내 누이의 글을 챙겨 훗날을 도모해다오!” 역적 누명을 쓰고 형장으로 가는 허균(156
-
"물 한 바가지로 병 싹 낫는대"…1000년 이어진 '전설의 온천'
━ 온천 여행② 물 좋은 고장 울진 경북 울진은 온천의 고장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물 좋은 온천이 두 곳이나 있다. 사진은 울진 백암온천지구 물레방아. 백암온천은 마을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재화는 행실을 그르치나니…” 조선조 ‘금수저’의 최후
━ 울진 월송정과 무신 박원종 김정탁 노장사상가 조선에서 가장 팔자 좋은 삶을 산 사람은 누구일까. 세속적 기준에서 보면 성종과 연산군 시대를 거쳐 중종 시대를 살다간 박
-
"명재상의 리더십, 서예·국악으로 조명"…'이원익, 다스림과 섬김의 행' 특별전
오리이원익기념사업회가 24일부터 30일까지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이원익, 다스림과 섬김의 행(行)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원익, 다스림과 섬김의 행(行) 특별전. 사진 아라
-
국회의사당 될 뻔한 종묘…101m 정전에 사람 셋 있는 이유 유료 전용
종묘는 조선 왕실 제사 공간이다. 역대 왕과 왕비 신주가 모여 있다. 정전에는 조선 519년을 이어간 왕 중 공덕이 높은 19명과 왕비 30명을 모셨다. 이 가운데는 실제 왕위에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혁신유학에 눈뜬 박세당, 왜 마흔에 산으로 숨었나
━ 수락산 서계 종택 김정탁 노장사상가 수락산 자락 의정부 석천동에는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살던 집이 있다. 원래는 고택이었는데 한국전 때 불타
-
[분수대] 대통령 집무실 이름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조선왕조의 각종 현판에선 건물의 용도와 건립 의미, 나아가 정치 철학을 엿볼 수 있다. 덕수궁이 경운궁이던 시절 남쪽 정문에는 ‘인화문(仁化門)’ 현판이 걸
-
[시조가 있는 아침] (121) 냇가의 해오라비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냇가의 해오라비 신흠(1566∼1628) 냇가의 해오라비 무스일 서 있는다 무심한 저 고기를 여어 무삼 하려는다 두어라 한 물에 있거니 잊어신들 어떠리
-
[역지사지(歷知思志)] 공신
유성운 문화팀 기자 “뇌물이 사방에서 모여들고 남에게 주는 것도 마땅함을 지나쳤다. 연산(燕山)이 쫓겨나자 궁중에서 나온 이름난 창기들을 많이 차지하여 비(婢)를 삼고 별실을 지
-
[역지사지(歷知思志)] 사라능단
유성운 문화팀 기자 조선 명종 때 명나라와 무역을 금지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중국에 간 사신들이 나랏일보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혈안이 되어서다. 심지어 명나라 측에서는 조선 사신
-
[김태유의 퍼스펙티브] 성공하는 대통령의 조건: 공신보다 전문가 등용
━ 정권의 성공 비결 김태유의 퍼스펙티브 국가 최고 통치권자는 하늘이 점지한 인물이라고들 한다. 그러니 새 대통령의 당선은 가문의 영광뿐 아니라 그를 도운 정파의 영광이
-
[윤석만의 직격인터뷰] 태종은 리얼리스트, 계파 떠나 국가적 과제에 몰두
━ 『태종처럼 승부하라』 낸 박홍규 교수 지난달부터 방영을 시작한 사극 ‘태종 이방원’. 태종은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조선 건국에 앞장선 혁명가였지만, 조선 왕 중 유일하
-
퀴즈풀며 보는 "아름다운 삶이시길"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 오영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에서 오일남 역을 맡아 ‘깐부 할아버지’란 별명을 얻은 배우 오영수(78)가 10일 한국 배우 최초로 골든글로브(Golden Globe) 연기상을
-
[역발상] 18세기에는 왜 궁궐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했을까
MBC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정조 [사진 MBC] "범을 잡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옵니다. 하오나 동궁(정조)은 쉽게 해냈지요…신은 일순 이런 생각이 들었나이다. 저리도 쉽게
-
[이하경 칼럼] 생명줄이 요동치는데 넋 놓은 정부, 이게 나라인가
이하경 주필·부사장 한국은 지독한 자원 빈국(貧國)이다.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지만 원자재 공급이 끊기면 대책이 없다. 그런데 생명줄인 글로벌 공급망이 요동치고 있다. 미·중
-
[시조가 있는 아침] (95) 벼슬이 귀하다 한들
유자효 시인 벼슬이 귀하다 한들 -신정하(1681∼1716) 벼슬이 귀하다 한들 이내 몸에 비길소냐 나귀를 바삐 몰아 고향으로 돌아오니 어디서 급한 비 한줄기에 출진(出塵)
-
영암 모퉁이 하나 돌면 정자…저마다 월출산을 바라본다
━ [휴가지가 된 유배지] 월출산 지난달 6일 한 탐방객이 월출산 구정봉에서 바람재 삼거리로 내려서고 있다. 이날 바람재의 바람은 제대로 서 있기 조차 힘들 정도였다.
-
이건희 기증품 ‘석보상절’ 최초 공개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 심씨는 눈물이 마를 날이 없었다. 양녕대군이 폐세자되고, 남편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기대하지도 않던 궁의 주인이 됐지만, 왕비가 되자마자 시아버지 태종에 의해
-
15세기 한글 귀중한 자료…이건희 기증 '석보상절' 초간본 공개
고 이건희 회장 유족이 기증한 『석보상절釋譜詳節』초간본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세종의 부인 소헌왕후 심씨는 눈물이 마를 날이 없었다. 양녕대군이 폐세자 되고, 남편이 세자로 책
-
[중앙시평] 대한민국에 돌아오신 영의정 대감마님
서현 건축가·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여자는 공부할 필요 없다. 거리에 나서려면 머리에 뭘 뒤집어써라. 남자는 수염도 깎으면 안 된다. 이런 이야기 들으면 머나먼 나라의 탈레반이 생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노비제는 천리에 어긋나도다, 커다란 변고로다”
━ 조선은 노비제 사회인가 김홍도 『풍속도첩』중 ‘벼타작’. 보물 527호. 일꾼들은 나락을 터느라 바쁜데 자리 깔고 한잔하는 양반들은 분명 뒷담화에 오르지 않았을까. 정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노비제는 천리에 어긋나도다, 커다란 변고로다”
━ 조선은 노비제 사회인가 김홍도 『풍속도첩』중 ‘벼타작’. 보물 527호. 일꾼들은 나락을 터느라 바쁜데 자리 깔고 한잔하는 양반들은 분명 뒷담화에 오르지 않았을까. 정
-
[시조가 있는 아침] (87) 까마귀 검다하고
유자효 시인 까마귀 검다하고 무명씨 까마귀 검다하고 백로(白鷺)야 웃지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소냐 겉 희고 속 검은 것은 너뿐인가 하노라 -병와가곡집 위선을 비웃는 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