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국 주변의 역사 다 지운다

    중국 주변의 역사 다 지운다

    우리에게 동북공정은 한건주의로 자리 잡는가? 관련 보도가 하나 나오면 우 몰려갔다가 금방 잊는다. 그러는 사이 중국은 단대공정을 끝내고 탐원공정을 가동 중이다. 왜 우리 문명의 뿌

    중앙일보

    2006.09.19 16:19

  • "외교·문화부 등 공조 필요"

    중국은 지린성(만주 지역)의 광개토왕비를 자기 나라의 유적이라며 세계문화 유산에 등재하는 데 성공했다. 이제 백두산도 세계유산에 등재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한국 외교부의 대응은

    중앙일보

    2006.09.09 04:45

  • "발해, 중국사에 편입"…제2 동북공정인가

    "발해, 중국사에 편입"…제2 동북공정인가

    일본 왕궁 정원에 있는 발해 시대의 비석 홍려정비. [다롄일보 홈페이지 제공] 옛 일본군이 러일전쟁 때 전리품으로 가져간 발해의 비석을 중국으로 반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중국에서 일

    중앙일보

    2006.05.28 20:10

  • [중앙시평] 역사 분쟁과 역사 교육

    정부는 3월 30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고교 교과서 발행 출판사에 독도는 일본 영토임을 명기할 것을 요구한 데 대해 엄중히 항의하고 이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렇게 일본 정부가

    중앙일보

    2006.04.12 21:06

  • 창립 20돌 맞는 '역사문제연구소' 진보적 역사 해석, 새 지평 열어

    창립 20돌 맞는 '역사문제연구소' 진보적 역사 해석, 새 지평 열어

    창립 20돌을 맞는 역사문제연구소의 서중석(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소장. 연구소의 기관지 형식으로 1987년부터 지금까지 매호 기한을 어기지 않고 펴내온 '역사비평'이 책꽃이를 가

    중앙일보

    2006.02.08 05:51

  • 프랑스 '노예제 반성' 시끌

    "국가의 위대함이란 역사를 인정하는 데서 비롯된다. 과거를 있는 그대로 봐야 한다. 과거의 영광뿐 아니라 씻을 수 없는 부끄러움까지 잊지 말자."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이 매년

    중앙일보

    2006.02.01 05:25

  • "박정희 경제 개발은 폄하 김일성 정적 숙청은 평가"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우리 역사 교과서의 왜곡.비하 수준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대 국민윤리교육과 박효종 교수는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가 18일 주최한 '교과서 왜곡 문제

    중앙일보

    2006.01.19 05:12

  • "구한말 맹목적 반일감정이 조선 망국 불렀다"

    교과서포럼의 공동대표인 이영훈 서울대 교수(경제학)가 구한말 '맹목적 반일감정'이 조선 망국(亡國)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을 내놔 논란이 예상된다. 이 교수는 30일 시사웹진 뉴라이트

    중앙일보

    2005.12.30 14:55

  • [중앙 포럼] 호사카 교수의 '반일'

    [중앙 포럼] 호사카 교수의 '반일'

    2년 전 한국으로 귀화한 올해 49세의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독특한 인물이다.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국립 도쿄대를 졸업한 어느 날 그는 한.일 역사관계 연구에 뛰어들 것을 결

    중앙일보

    2005.08.14 20:35

  • 中 지린성에 '고구려는 한족이 세운 국가' 간판 등장

    "고구려는 중국 고대 국가인 상(商=殷나라.서기전 1600 ̄1046년)에서 기원한 중국 국가다." 중국 지린(吉林)성 지린시에 위치한 고구려 용담산성에 최근 "고구려는 한족이 세운

    중앙일보

    2005.07.29 08:50

  • [대한민국 독도] 독도, 알아야 지킨다

    [대한민국 독도] 독도, 알아야 지킨다

    '36개 바위섬' 독도는 독도는 동도(東島).서도(西島) 및 그 주변에 산재하는 36개 바위섬으로 이뤄진 화산섬이다. 울릉도 동남쪽으로 약 89㎞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일본에서

    중앙일보

    2005.03.17 07:25

  • [사설] 편향된 역사 교과서 즉각 수정하라

    고교 2, 3학년의 심화선택과목인 한국 근.현대사 일부가 반미.친북적으로 기술돼 있다고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금성출판사의 교과서가 광복 이후 남한 역사는 냉소적으로 일관하는 반면

    중앙일보

    2004.10.05 18:36

  •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고 고병익-이기백 선생에 국민훈장 추서키로

    정부는 올 5월과 6월에 잇따라 타계한 한국 역사학계의 거목 고병익(左)전 서울대 총장과 이기백(右)전 서강대 교수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키로 했다. 훈장은 오는 7일 유족

    중앙일보

    2004.09.30 21:06

  • [내 생각은…] 국가역사·문화 연구기관 통합 지원체제 만들자

    역사 왜곡 문제로 온 나라가 뜨겁다. 이 열기가 예전처럼 곧 식어들 것인지, 지속적인 관심사가 될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동북공정을 비롯한 중국의 여러 공정(프로젝트)은 국가

    중앙일보

    2004.08.15 18:54

  • "중국 사학계 역사 조작 그만"

    중국의 유명 지식인이 중국 당국의 고구려사 빼앗기 등 중화주의적 역사 편향에 경종을 울리고 나섰다. 당과 정부가 한목소리만 내는 중국 풍토에서 이 같은 비판은 드문 일이다. 광둥(

    중앙일보

    2004.08.11 06:28

  • [사설] 중국 안에서 나오는 역사왜곡 비판

    중국의 유명한 문학평론가인 주다커가 최근 5년간 중국의 역사학계가 벌인 중국 고대사의 '하.상.주 시대구분 공정' 작업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만큼 중국의 역사왜곡이 심각하다는 증거

    중앙일보

    2004.08.10 18:53

  • [이슈 인터뷰] 이만열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이슈 인터뷰] 이만열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중국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이 유난히 무더운 올 여름을 달구는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런 가운데 친일 및 의문사 진상규명 등 과거사 청산이 시민사회의 현안으로 부각하고 있다.

    중앙일보

    2004.08.09 18:25

  • [세계유산 고구려] 1. 속셈 드러낸 '동북공정'

    [세계유산 고구려] 1. 속셈 드러낸 '동북공정'

    ▶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석릉인 장군총. 중국측이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새롭게 단장했다. [고구려연구회 제공] 북한.중국의 고구려 유적이 지난 1일 유네스

    중앙일보

    2004.07.06 18:10

  • [신간] 체온이 느껴지는 일상 르네상스 시대로 여행

    ‘위대한 로렌초’로 불렸던 메디치 가문의 로렌초 데 메디치, 그는 예복만 30벌이었다. 그 중 몇 벌은 당시 중산층의 한 해 생활비를 웃돌았다. 정부가 사치금지법을 제정하자 “옷과

    중앙일보

    2004.05.14 22:15

  • [이성무 국사편찬위원장 방북기]

    지난달 27일부터 3월 6일까지 1주일간 북측 역사학자들을 만나기 위해 평양에 다녀왔다. 3.1절 82돌을 맞아 인민대학습당에서 일제의 조선 강점 자료전시회와 남북 역사학자들의 일

    중앙일보

    2004.04.28 01:38

  • [이성무 국사편찬위원장 방북기]

    지난달 27일부터 3월 6일까지 1주일간 북측 역사학자들을 만나기 위해 평양에 다녀왔다. 3.1절 82돌을 맞아 인민대학습당에서 일제의 조선 강점 자료전시회와 남북 역사학자들의 일

    중앙일보

    2004.04.28 00:35

  • [시론] 고대史 연구·투자 필요하다

    지금 중국에서는 중국사회과학원이 주체가 된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이름의 국책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역사 연구를 통해 우리 민족의 뿌리인 고구려를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

    중앙일보

    2003.12.12 18:14

  •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 참석자 ▶崔 光 植 고려대 교수.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장 ▶安 秉 佑 한신대 교수.교과서 운동본부 교과서 위원장 ▶尹 輝 鐸 동아대 연구교수.한.중.일 역사교재위원

    중앙일보

    2003.12.03 18:51

  • [이슈 인터뷰] 윤영관 외교통상부 장관

    북핵 문제만으로도 버거운 한국의 외교 상황에 이라크 추가파병 문제가 현안으로 던져졌다. 정부는 아직 아무것도 결정난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은 지난 4월의 1차 파병 때와 비슷

    중앙일보

    2003.09.23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