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007년 북한 주요 일지

    ◆ 1월 1.1 노동신문, 조선인민군 청년전위, 공동사설 “승리의 신신 드높이 선군조선의 일대 전성기를 열어나가자” 발표 1. 1 김정일 국방위원장, 금수산기념궁전 참배(새해 첫

    중앙일보

    2007.12.17 18:14

  • 해프닝으로 끝난 '양강도 버섯구름'

    해프닝으로 끝난 '양강도 버섯구름'

    ▶ 영국.독일 등 평양 주재 서방 7개국 외교관들이 방문한 북한 양강도 삼수군의 수력발전소 건설 현장을 촬영한 영상이 17일 공개됐다. [삼수군(북한) AP=연합] 실체가 무엇인지

    중앙일보

    2004.09.18 07:07

  • 북한 땅에서 백두산 오른다

    북한 땅에서 백두산 오른다

    북한이 백두산 등반로를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에게 개방할 방침인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북.중 접경 지역인 북한 양강도 혜산시와 중국 창바이(長白)현은 양측 간 협의를 거쳐 혜산

    중앙일보

    2004.06.11 09:41

  • 북한 땅에서 백두산 오른다

    북한 땅에서 백두산 오른다

    북한이 백두산 등반로를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에게 개방할 방침인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북.중 접경 지역인 북한 양강도 혜산시와 중국 창바이(長白)현은 양측 간 협의를 거쳐 혜

    중앙일보

    2004.06.11 06:15

  • 북한 교사출신 천정순씨 수학강사로

    북한에서 교사로 일하다 탈북한 여성이 비록 정규 학교가 아니지만 학생들을 가르칠 기회를 얻었다. 1997년 가족들과 함께 탈북한 천정순(37.여.사진)씨가 7일 서울 성지중.고등학

    중앙일보

    2001.03.08 00:00

  • 경마기수로 제2인생 찾는 탈북청년 김용석씨

    탈북 청년이 제주에서 경마장 기수로 새 삶을 준비하고 있다. 주인공은 한국마사회 제주사업본부 제주경마장의 기수후보생 김용석 (金勇石.23) 씨. 金씨는 오는 10일 처음 경주에 출

    중앙일보

    1999.07.02 00:00

  • 백두산 들쭉술 구하기 쉬워진다

    남북한 합작으로 만들어진 '백두산 들쭉술' 이 본격적으로 국내 시판에 들어간다. 들쭉술은 백두산 고산지대서 자생하는 들쭉열매로 만들어 북한의 김일성 (金日成) 주석이 죽기전까지 마

    중앙일보

    1999.02.05 00:00

  • 北 체포 脫北者 인권유린 정부,국제단체 알리기로

    정부는 최근 북한당국이 체포한 탈북자들을.아지트'로 불리는 지하비밀감옥에 별도 수용,인권유린을 자행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이를 심각한 인권침해사례로 규정,국제인권단체등에

    중앙일보

    1997.01.12 00:00

  • 5.늘어나는 "갑작부자"

    양강도 혜산시의 한 산골마을 운총리-. 월남자 가족.지주.자본가등 적대계층의 산간벽지 소개책(疏開策)에 따라 도시에서 쫓겨난 30가구가 호프농사를 지으며 사는 고립된 마을이다.북송

    중앙일보

    1995.01.26 00:00

  • 4.생활상-60년대 돌아간 느낌

    韓-中國 국경지대에 사는 두나라 주민들의 생활실태와 환경은 엇비슷했다.두나라 국경지대에 있는 도시와 농촌의 건물.주택.도로.문화시설등은 한국의 60년대말 수준이었다. 두만강과 압록

    중앙일보

    1993.08.30 00:00

  • 3.조선족 이산가족

    백두산과 두만강.압록강을 끼고 있는 韓中국경지대에는 일제 36년과 한국전쟁 비극의 유산이 곳곳에 시름으로 남아있고 최근 韓中수교후로는 국경의 설움을 느끼며 사는 이산가족들의 고통이

    중앙일보

    1993.08.26 00:00

  • 2.변경무역

    만강과 압록강을 잇는 北-中 국경지대에서는 물물교환식의 국경무역(변경무역)이 크게 번성하고 있다. 국경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20개의 통상구(세관이 설치된 곳으로 두나라 각 10개

    중앙일보

    1993.08.25 00:00

  • 1.백두산 이깔나무숲의 국경비

    韓民族의 淵源 백두산과 두만강.압록강을 잇는 北韓-中國국경 삼천리.백두산에서 발원하여 北韓과 中國.沿海州까지 삼천리 험난한 길을 쉼없이 내달리며 수백갈래의 크고 작은 지류들을 받아

    중앙일보

    1993.08.24 00:00

  • 김정일의 북한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공식 지명하는 노동당의 결정이 단번에 내려진 것은 아니었다. 후계자 결정에 따른 안팎의 저항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빨찌산 그룹은 대책수립에 골몰했

    중앙일보

    1993.03.11 00:00

  • 입북 박성희양 참석/「백두­한라행진」 시작

    【동경=연합】 전대협 박성희양(22)등이 참가한 소위 「조국통일촉진 백두­한라대행진」이 7일 오전 백두산을 기점으로 시작됐다고 일본의 교도(공동)통신이 친북한계 조선통신을 인용,이

    중앙일보

    1991.08.08 00:00

  • 분단 40여 년…북한 행정구역 어떻게 변했나|곳곳에 「김일가」 이름 딴 지명

    분단 40여년이 경과하면서 이북 출신 실향민들에게조차 낯선 북한지명이 늘어나고 있다. 북한이 지명을 모두 한글로 표기하는 데다 행정구역의 빈번한 개편 및 1천여 개의 지명개명이

    중앙일보

    1991.06.26 00:00

  • “아버지 생신땐 제가 모셨으면… ”/이회택부자 꿈같은 상봉

    ◎생일상엔 미역국대신 김국 올라/축구도 함께보며 뜨거운 정 나눠 10일 평양에서 40년만에 극적으로 아버지를 만난 이회택축구감독은 숙소인 고려호텔에서 아버지와 하룻밤을 지낸뒤 11

    중앙일보

    1990.10.11 00:00

  • 혜산에 혁명전적지 건설

    ○…북한은 양강도 혜산시를 혁명 전적지를 갖춘 관문도시로 개발한다는 방침아래 새로운 도시건설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혜산시가 백두산을 비롯해 보천·신파등 김일성·김정숙의

    중앙일보

    1989.08.09 00:00

  • 양강도

    함남·북 및 자강도의 일부 지역을 합쳐 1954년에 신설된 양강도는 현재 1개 시 (혜산)와 11개 군 (보천·삼지연·김정숙·백암·갑산·풍서·풍산·후창·삼수·운흥·대홍단)으로 구성

    중앙일보

    1989.03.18 00:00

  • 무장공비 2명 생포

    대 간첩 대책 본부는 16일 하오 울진 및 삼척지역에 침투한 북괴 무장공비를 소탕하던 우리 군·경·향토 예비군 합동수색대가 지난 9일과 12일에 북괴군장교 2명을 생포했다고 발표했

    중앙일보

    1968.1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