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반 소금값 10배 … 명품 천일염 뜬다

    일반 소금값 10배 … 명품 천일염 뜬다

    전남 신안군 도초도에 있는 신일염전(면적 3.7㏊)은 다른 염전들과 다른 점이 많다. 바닷물 증발지·결정지 둑은 널빤지로 감쌌다.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흔히

    중앙일보

    2008.08.12 01:21

  • 무더위가 반가운 곳 밤늦도록 소금이 살찐다

    무더위가 반가운 곳 밤늦도록 소금이 살찐다

    우리나라 천일염의 87%가 생산되는 전라남도,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소금밭인 '태평염전'이 있는 신안군 증도는 요즘의 뙤약볕이 반갑기만 하다. 햇볕과 바람만으로 소금을 생산하는 천

    중앙일보

    2008.08.10 16:05

  • 무더위가 반가운 곳 밤늦도록 소금이 살찐다

    무더위가 반가운 곳 밤늦도록 소금이 살찐다

    태평염전에서 일하는 김명순(61)씨가 6일 웃통을 벗어 던진 채 소금을 운반하고 있다. ‘하얀 수염의 근육질 노인’으로 통하는 그는 웬만한 장정 못지않은 근력을 자랑한다. 김씨

    중앙선데이

    2008.08.10 01:36

  • 물 만난 ‘해수욕장 마케팅’ 열전

    물 만난 ‘해수욕장 마케팅’ 열전

    해수욕장도 마케팅을 시작했다. 조개잡이 체험행사가 27일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에 서 열렸다. 피서객들이 직접 잡은 조개를 자랑하고 있다. 이 행사를 위해 수영구청은 조개 2t을 구입

    중앙일보

    2008.07.29 02:05

  • 보트·제트스키 … 더위사냥 출발!

    보트·제트스키 … 더위사냥 출발!

    푹푹 찌는 한 여름-. ‘더위탈출의 현장’ 해수욕장이 속속 피서객들을 부르고 있다. 예전보다 더 나은 편의시설을 갖추고, 바가지 등 고질적인 병폐 등 없애기로 해 ‘기분 좋은’

    중앙일보

    2008.07.04 01:40

  • 증도 바닷가로 걷기여행 떠나세요

    증도 바닷가로 걷기여행 떠나세요

    전남도는 슬로 시티로 인정받은 신안군 증도로 14일 전국 관광객 1000여명을 초청, 바닷가와 갯벌 등을 거니는 행사를 연다. [사진=프리랜서 오종찬]“증도를 찾아 바닷가와 갯벌

    중앙일보

    2008.06.09 01:42

  • 제주 추자도 - 신안 팔금도 손잡았다

    제주시 추자도와 전남 신안군 팔금도가 특산품 생산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자 손을 잡았다. 30일 제주시에 따르면 추자도와 팔금도가 최근 자매결연, 특산품 교류와 주민 소득증대를 위

    중앙일보

    2008.05.01 01:32

  • 얼음·소금도 웰빙바람

    얼음·소금도 웰빙바람

    먹는 얼음·소금에도 웰빙바람이 불고 있다. 올해부터 천일염, 가루 얼음 수요가 늘 것 같다. 신세계 백화점의 천일염 매장과 가루 얼음 제빙기 '스노우폴'. 김정식(38·서울 홍은동

    중앙일보

    2008.04.16 16:39

  • [SHOPPING] ‘광물’ 꼬리표 뗀 천일염 “식탁 앞으로”

    [SHOPPING] ‘광물’ 꼬리표 뗀 천일염 “식탁 앞으로”

    수십 년간 광물로 분류돼 식품으로 판매되지 못했던 천일염이 백화점과 홈쇼핑에서 판매되고 있다. 천일염은 1963년 염관리법이 만들어지면서 광물로 분류됐다. 법적으로는 식품이 아닌

    중앙일보

    2008.04.04 00:38

  • 전남도 “천일염, 돈 되는 산업으로”

    29일 서울 청계천 광장. 전남도와 신안군 어민·공무원 등이 국내·외의 각종 소금을 전시하고 천일염을 공짜로 나눠 줬다. 또 염전 함초로 만든 국수로 시식회를 하고, 삶은 달걀과

    중앙일보

    2008.03.31 01:12

  • 천일염, 광물서 식품으로

    천일염, 광물서 식품으로

    천일염이 정식 ‘식품’으로 인정받게 된 것을 기념해 29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천일염 축제가 열렸다. 옛날 소금장수로 재현한 참가자가 풍물패를 따라 행진하고 있다. 지금까지 가공식품

    중앙일보

    2008.03.31 01:05

  • 좋은 ‘소금’을 찾아서 신안 증도에 가다

    좋은 ‘소금’을 찾아서 신안 증도에 가다

    1년 가운데 소금을 가장 많이 쓰는 때는 언제일까요? 옳거니 하며 얼른 “김장철”이라고 답하는 사람이 많을 겁니다. 겨우내 먹을 배추를 절이려면 엄청난 양의 소금이 필요하다고 생각

    중앙일보

    2008.02.21 14:36

  • [사진] 음식족보

    [사진] 음식족보

    전남 신안군과 한국농어업예술위원회는 2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장 수매사업 선포식’을 했다. 위원회의 김진흥(왼쪽) 상임위원장과 남양방씨 이춘공파 종부(오른쪽) , 밀양 박

    중앙일보

    2008.02.21 07:35

  • [SHOPPING] "이 배추 단모작이에요, 이모작이에요?"

    [SHOPPING] "이 배추 단모작이에요, 이모작이에요?"

    “이 배추, 단모작이에요, 이모작이에요?” 김장거리를 사러 가서 이렇게 물으면 배추 가게 주인이 허투루 보지 못할 것 같다. 봄에 배추를 심어 한 번 거뒀던 밭에 다시 가을 배추를

    중앙일보

    2007.11.01 19:21

  • [week&쉼] 남도 바다에 핀 ‘두 송이 꽃’

    [week&쉼] 남도 바다에 핀 ‘두 송이 꽃’

    태평염전의 소금밭전남 신안군은 오롯이 섬으로만 이뤄진 군(郡)이다. 유인도 72개, 무인도 932개, 총 1004개다. 우리나라 섬의 약 4분의 1이 이곳에 몰려 있다. 재미있는

    중앙일보

    2007.07.19 15:29

  • [인사] 외교통상부 外

    ◆외교통상부▶외교안보연구원 교수부장 서정하▶지역통상국장 최종현▶국제경제국장 최재철▶자유무역협정국장 최경림 ◆노동부▶직업능력개발심의관 이채필▶서울지방노동청장 조정호 ◆국민고충처리위원

    중앙일보

    2007.01.24 05:48

  • [week&쉼] 노는 것보다 쉬는 리조트

    [week&쉼] 노는 것보다 쉬는 리조트

    전남 신안군 증도 엘도라도 리조트 인근의 ‘짱뚱어다리’. 한반도의 바닷가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그동안 제주나 부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해안가의 여행자 숙소라고는 민박과 모텔

    중앙일보

    2006.11.09 15:35

  • 왜 뜨나 했더니 … 입소문 덕분

    왜 뜨나 했더니 … 입소문 덕분

    전남 신안군 증도에 국내 최대 규모(140만 평)의 염전을 갖고 있는 태평소금은 지난 10일 주부포털 사이트 '아줌마닷컴' 회원 40명을 초청해 염전 체험 행사를 했다. 이날 주부

    중앙일보

    2006.08.20 18:28

  • "인터넷으로 소금·쌀 팔아 연 수입 1억"

    "인터넷으로 소금·쌀 팔아 연 수입 1억"

    문재기(左).김향숙씨 부부가 천일염을 부대에 담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섬에서 살기 어렵다고 떠나는 사람이 많지만, 어느 곳에서나 자기 하기 나름 아닙니까?" 전남 목포항에서

    중앙일보

    2006.07.08 05:08

  • [week&CoverStory] 섬 타러 가세

    [week&CoverStory] 섬 타러 가세

    산 타러 갑시다. 배 타고 바다로. 어떻게 바다로 등산을 가느냐고요? 섬에 있는 산에 올라 보자는 겁니다. 섬에 오르고 말고 할 만한 산이 있느냐고요? 물론입니다. 섬의 산은 보

    중앙일보

    2006.06.22 16:55

  • 전남도 '소금산업 지원 강화'

    전남도 '소금산업 지원 강화'

    ▶ 바닷가에서 자라는 염생식물인 함초. 전남도는 함초(檻草.퉁퉁마디)를 활용한 소금과 염전 등을 연계한 체험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등 소금산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신안군

    중앙일보

    2005.06.30 20:12

  • [사진] 반가운 햇살

    [사진] 반가운 햇살

    비구름이 물러나고 맑은 가을 날씨를 보이자 염전에서 일하는 어민의 손길이 바빠졌다. 14일 전남 신안군 압해도 장감리 주민이 노을이 드리워진 염전에서 천일염을 만들고 있다. 우리

    중앙일보

    2004.09.14 18:43

  • [week& 클로즈 업] 주말 향기

    1973년 군대 제대 후 돈을 벌기 위해 군산의 한국염전에서 염전 일을 시작했다. 그 후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며 염전 일을 하다 보니 어찌 생각하면 잠깐인 것도 같은데 벌써 30년

    중앙일보

    2003.11.20 16:14

  • [지금 지방에선] 쇠락하는 신안군 섬마을

    '섬의 고장' 전남 신안군이 비어가고 있다. 8백27개 섬으로만 이뤄진 신안군의 요즘 인구는 5만2천여명. 많을 때인 1970년 17만4천여명의 3분의 1 수준이다. 남아있는 사람

    중앙일보

    2003.07.31 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