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문기사 없는 가전제품 판매점|멋대로 설치…화재위험 커

    최상복 전국의 화재발생 건수 중에서 그 원인을 분석해보면 유류나 가스·담뱃불·성냥보다도 전기로 인한 화재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기기술인의 한사람으로 볼 때 참으로

    중앙일보

    1982.03.22 00:00

  • 가전제품

    가전 3사를 비롯, 기타 유명메이커의 가전제품을 연중 10∼40%까지 할인판매 하는 곳이 있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 로터리에 있는 「가전제품 상설할인 판매장」. 메이커로부터 직접

    중앙일보

    1982.02.16 00:00

  • 「애프터 서비스」어떻게 이용하나|가전제품이 고장났을땐 「메이커」를 찾는 것이 좋다

    사람도 살다보면 병이 들듯 물건도 쓰다보면 이상이 생긴다. 애프터서비스가 상품판매에 꼭 뒤따라야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내구성이 강한 가전제품의 경우는 애프터서비스없는 판매는

    중앙일보

    1981.12.29 00:00

  • 본사 전국 생활의식 조사에서 들어난 새 흐름|한국도 3C(컬러TV 룸·에어컨 자동차)시대로

    현대 산업사회의 소비 패턴에서 「좀 산다」는 심벌로『3C』 라는 것이 있다. 영어단어의 머릿글자가 「C」로 시작되는 승용차 (car), 룸 에어컨(cooler), 컬러(color)

    중앙일보

    1981.09.23 00:00

  • 외제물건에 세금 얼마나 붙나

    해외여행의 문호가 크게 열림에 따라 나라의 관문·(김포공항 등)을 드나드는 사람이 부쩍 늘었다. 작년 1년동안 1백29만8천1백32명 (이중 내국인 49만3천8백21명)이 출국하고

    중앙일보

    1981.09.08 00:00

  • 작년 여름보다 에어컨은 3배나 더 팔려|냉장고 백14%, 선풍기 9O%씩 늘어

    가전제품 메이커들은 올 여름의 불볕더위로 여름용 가전제품에 대한 판매실적이 품목에 따라 지난해보다 최고 3백%까지 크게 는데 힘입어 그 동안의 불황권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나타

    중앙일보

    1981.08.10 00:00

  • 가전제품 수출늘어

    지난해 고전했던 가전업계가 올해들어 활기를 되찾았다. 컬러TV시판으로 지난해 누적적자를 상당히 만회한데이어 성수기를 맞아 냉장고·에어컨등의 시판이 잘되고 있으며 수출물량이 지난해에

    중앙일보

    1981.07.10 00:00

  • (미군면세품)지정영업장서만 판매

    우리나라에 와있는 미군 및 그가족이 면세로 갖고 들어왔거나 구입한 물품을 양도할 때 지금까지는 누구에게나 임의로 처분했으나 지난1일부터는 컬러TV·냉장고·피아노·카페트등 20개

    중앙일보

    1981.06.02 00:00

  • 신혼이웃 호화살림 보고 너무 속상해|살아가며 하나씩 장만해야 보람 느껴

    【문】저는 결혼한지 1년이 지난 신혼 주부입니다. 아파트에 세를 들어 살고 있습니다. 바로 얼마 전에 우리가 살고있는 옆집에 신혼부부가 이사를 왔습니다. 그들은 냉장고나 TV는 물

    중앙일보

    1981.06.01 00:00

  • 해외취업근로자의 국산품 구입|쿠퐁 반입때도 면세

    정부는 해외근로자들이 해외에서 수출된 국산품을 현품으로 구입해 국내로 들여올 경우에만 특별소비세와 관세를 면세해주던것을 외국에서 쿠퐁을 구입해 국내에서 현품과 바꿀경우에도 관세와

    중앙일보

    1981.05.28 00:00

  • (5)「홍콩」서 본 그 실상과 허상

    중공에는 요즘 「칠기부장관」이란 말이 유행하고 있다. 국무원의「미사일」병기 제조를 관장하는 제7기계공업부장관이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는 뜻이 아니다. 「컬러·텔리비전」·녹음

    중앙일보

    1981.02.18 00:00

  • 가전제품·승용차·기계 등 소비자에 구입자금 융자-정부, 내수 자극책 검토

    「메이커」들의 생산조절에도 불구하고 가전제품·승용차·「시멘트」·「피아노」·석유화학제품의 재고는 산더미 같이 쌓이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정부는 재고금융을 11월 중순부터 풀어 판매 부

    중앙일보

    1980.10.27 00:00

  • (1) 숨통 트인 가전 업계

    경기가 어렵다고들 한다. 과연 경기는 얼마나 어려우며 그 중에 좋은 곳은 없는가. 전반적인 경기 하강 속에 어떤 「탈 불황 작전」이 취해지고 있으며 활로는 보이는가. 각 업종별「경

    중앙일보

    1980.07.21 00:00

  •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공산품 재고|자동차·전자·석유화학이 심해

    공산품의 재고가 계속 늘고있다. 가전·기계·자동차·철강·면제품·복지·석유화학 제품·「시멘트」등에서 특히 재고누증현상이 두드러진다. 해당 기업체에서는 어려운 자금 사정을 고려하여 싼

    중앙일보

    1980.07.18 00:00

  • 「컬러」 TV 시대

    「컬러·텔레비전」 시대가 기어이 개막된다. 흑백 TV가 우리 나라에 등장한지 20년 만이다. 「색맹 문화」에서 「색채 문화」로-. 필경 우리의 생활 모습도 많은 변화를 볼 것 같다

    중앙일보

    1980.07.12 00:00

  • 꿈부푼 가전업계 『마이콤』시대

    우리나라에도 최근 가전기술의 혁명이라고까지 불리는 가전제품의「마이콤」화가 뿌리를 내리고있다. 「마이콤」(MICOM)이란 「마이크로-컴퓨터」의 약자. 즉 지금까지 기계식으로 조각되던

    중앙일보

    1980.07.08 00:00

  • 기업 가동율 부쩍 떨어져

    전반적인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어 거의 전업계가 가동율 저조와 재고누증에 허덕이고 있다. 재고누적·가동율 저하는 거의 전자·자동차·일반기계·석유화학·섬유·철강 등 전생산업계에 확

    중앙일보

    1980.05.16 00:00

  • 가격인상 줄이을 듯

    정부는 올해 물가를 20% 내외에서 억제할 계획이나 원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제품가와 각종 「에너지」 가격의 조기인상이 불가피하고 연초부터 방위세율 인상에 따라 주류·가전제품·청량음

    중앙일보

    1980.01.04 00:00

  • 「과학기술 10년」을 조감해보면…

    우리가 살게될 앞으로의 10년은 어떻게 변모되어갈 것인가. 석유에서 오는 「에네지」문제가 세계의 경제발전이나 과학기술 연구분야에 위축을 가져올 수도 있는 반면 「에너지」위기를 해결

    중앙일보

    1980.01.04 00:00

  • 전국 생활의식 조사 중앙일보 창간 14돌 기념 특별 기획

    안정에 대한 욕구는 모든 면에서 강렬하게 나타났다. 『자녀들에게 어떤 직업을 권하겠느냐』는 질문에 ①의사 (14·9%) ②대학교수 (13·4%) ③공무원 (10·3%) ④법조인

    중앙일보

    1979.09.22 00:00

  • 작년 음료품 소비 48%늘고 가구시설비 47%증가

    지난 한해동안 유례없었던 호황속에 일반의 소비지출이 크게 늘어났다. 한은이 확정 추계한 78년도 GNP에 나타난 민간소비지출은 32.4% (경상가격)나 증가해 77년의 증가율 23

    중앙일보

    1979.09.14 00:00

  • 광복34돌… 의·식·주생활 어떻게 변모해왔나

    「나일론」수입원사로 짜여진 석산양말과 ABC「포마드」가 처음 등장하자 당시 유행하던 「마카오」신사의 차림새는 한층 짜임새가 있어졌다. 양말깁는 일이 아낙네들의 빼놓을수 없는 일과였

    중앙일보

    1979.08.14 00:00

  • 해외여행자 가방이 가벼워졌다|휴대품도 실용품 위주

    해외여행자들의 가방이 가벼워지고 사치품「쇼핑」풍조가 사라져가고 있다. 이는「오일·쇼크」로 인한 소비절약「무드」가 해외여행에도 파급된 데다 세관이 해외쇼핑을 억제키 위해 통관절차를

    중앙일보

    1979.07.31 00:00

  • 전축·자전거 등 휴대통관 불허

    해외여행자들이 입국 때 들고 들어올 수 있는 물품의 품목이 크게 제한된다. 김포세관은 지금까지 해외여행자들이 휴대품으로 갖고 들어오던 물품 중 ▲이사화물 ▲냉장고 ▲세탁기 ▲전축

    중앙일보

    1979.07.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