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연령대별 맞춤기획 … 인디 축제도 유치”

    “연령대별 맞춤기획 … 인디 축제도 유치”

    “마포아트센터가 아니에요. 맥(MAC)이라고 불러 주세요.” 마포문화재단 박평준(사진) 사장은 성악과 출신다운 굵은 목소리로 최근 개관한 마포아트센터의 공식 명칭을 소개했다. 맥은

    중앙일보

    2008.04.17 01:33

  • [wee&클래식] 서혜경, 코리안 심포니 外
  • “가슴 멍울 무심코 지나친 것 가장 후회”

    “가슴 멍울 무심코 지나친 것 가장 후회”

    피아니스트 서혜경씨가 한국 유방 건강재단의 홍보대사를 맡아 자신의 암투병 경험을 바탕으로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여성들에게 알리게 된다.유방암을 이겨낸 뒤 열정의 재기무대로 건재함을

    중앙일보

    2008.03.18 01:33

  • “딱딱한 법조계에 노래의 맛 알리고 싶어요”

    “딱딱한 법조계에 노래의 맛 알리고 싶어요”

    정강찬(42·서울 고등법원·사진) 판사는 현재 파견 근무를 하고 있는 헌법재판소에서 ‘중절모 판사’로 불린다.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두꺼운 코트에 중절모를 눌러 쓰고 다니기

    중앙일보

    2008.02.02 05:33

  • 라흐마니노프 ‘폭풍 연주’ 90분 숨죽이던 객석이 흐느꼈다

    라흐마니노프 ‘폭풍 연주’ 90분 숨죽이던 객석이 흐느꼈다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2번은 작곡가가 우울증을 극복하며 만든 곡이다. 암과 싸운 서혜경씨는 KBS 교향악단과 함께 2, 3번 협주곡을 한꺼번에 연주했다. 그는 미국에 있는 라흐마니노

    중앙일보

    2008.01.24 04:27

  • 줄리아드 음대 '올해의 피아니스트'

    줄리아드 음대 '올해의 피아니스트'

    한국계 피아니스트 엘리자베스 조이 노(24.사진)씨가 줄리아드 음대에서 수여하는 '윌리엄 페첵상'의 올해 수상자로 결정됐다. 줄리아드 출신 피아니스트 중 매년 한 명씩을 뽑아 주

    중앙일보

    2007.04.17 04:35

  • 비보이와 춤추는 '아가씨와 건달들'

    비보이와 춤추는 '아가씨와 건달들'

    100여년의 뮤지컬 역사 중 가장 대중적인 작품은 뭘까. 오페라의 유령? 레 미제라블? 수없이 명멸해 간 작품 중에서도 5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아가씨와 건달들' 역시 빼놓을

    중앙일보

    2007.02.07 05:11

  • [부고] 길현모씨(서강대 명예교수) 外

    ▶길현모씨(서강대 명예교수)별세, 길인성(전 서강대 교수).대성씨(삼성전자 부장)부친상, 노삼영씨(한양대 교수)장인상=10일 오전 9시 서울대병원, 발인 12일 오전 8시, 207

    중앙일보

    2007.01.11 05:26

  • 꿈의 '과학+예술' 연구 도시 생긴다

    과학자 3000명과 예술가 1000여 명이 함께 사는 도시. 매일 아침이면 물리학자와 화가, 공학도와 조각가가 곳곳에서 티 타임을 가지며 서로의 철학을 공유하고 수시로 포럼을 여

    중앙일보

    2006.09.16 19:26

  • 새출발! '사랑'을 선물하세요

    새출발! '사랑'을 선물하세요

    중앙일보 프리미엄은 현대백화점(압구정점.무역센터점.목동점.신촌점)과 함께 '기분 좋은 새 출발'을 주제로 다양한 이벤트를 펼친다. 14~19일 중앙일보 독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중앙일보

    2006.02.13 15:52

  • 피아니스트 서혜경씨 문화서울후원금 1000만원

    피아니스트 서혜경씨 문화서울후원금 1000만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촌)은 23일 "피아니스트 서혜경(46)씨가 문화서울후원금 1000만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기부금은 지난해 9월 청계천복원 기념음악회 수익금 가운데

    중앙일보

    2006.01.24 04:55

  • 불굴의 피아니스트 서혜경, 신년음악회 연다

    불굴의 피아니스트 서혜경, 신년음악회 연다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음악가 1세대인 피아니스트 서혜경이 오는 11일(수) 오후 8시 2006호암아트홀 신년음악회에서 패기넘치는 연주와 섬세한 기교로 새해인사를 전한다. 피아니

    중앙일보

    2006.01.08 21:30

  • [week&클래식] 서혜경 外

    [week&클래식] 서혜경

    중앙일보

    2006.01.05 16:37

  • 근력·시력 떨어진 80세 노인처럼 "노령생활 체험해 보세요"

    근력·시력 떨어진 80세 노인처럼 "노령생활 체험해 보세요"

    노인의 시각.청각 등을 느껴볼 수 있는 체험실이 생겼다. 한림대 고령사회교육센터는 생애체험실을 만들어 11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생애체험실은 노인들의 신체와 감정 및 생활실태를

    중앙일보

    2005.03.10 20:15

  • 피아니스트 서혜경씨 10억 손가락 보험

    피아니스트인 서혜경 경희대 교수가 10억원의 손가락 보험을 들었다. 신동아화재는 8일 서혜경 교수가 손가락이나 손목.발목을 다쳐 피아노 연주에 지장을 받을 경우 최고 10억원의 보

    중앙일보

    2004.08.08 18:14

  • 공연 수익 2000만원 청계천 가꾸기에 내놔

    공연 수익 2000만원 청계천 가꾸기에 내놔

    세계적 피아니스트인 서혜경(44)씨가 24일 공연수익금 2000만원을 청계천 문화성금으로 서울문화재단에 기부했다. 서씨는 지난 2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2500여명의 관객이 지켜보는

    중앙일보

    2004.06.24 18:17

  • 경희대 예술계 교수들 제자 장학금 마련 공연

    경희대 예술계 교수들 제자 장학금 마련 공연

    경희대(총장 김병묵)는 13일 오후 7시 서울 휘경동 교내 크라운관 콘서트홀에서 '제자사랑.후배사랑, 교수.동문 예술제'를 연다. 예술계열을 전공한 동문 교수 11명이 가정형편이

    중앙일보

    2004.05.11 18:55

  • [week& cover story] 건강한 노년 5가지 도움말

    [week& cover story] 건강한 노년 5가지 도움말

    빈곤과 질병, 그리고 고독과 무위(無爲)를 노년의 네가지 고통이라고 한다. 중앙일보 week&팀은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에게 가장 절실한 다섯 가지 문제를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다

    중앙일보

    2004.04.15 15:12

  • [출판가 화제] 인권위, 동화책 2권 펴내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김창국)가 동화책을 냈다. 출판사도 아닌 인권위원회가 책을 낸 까닭은 지난해 기획사업으로 '요보호 어린이와 학대받는 노인의 인권보호'를 선정하고 관련사업을 진

    중앙일보

    2003.04.18 16:24

  • '동승'의 휴머니즘에 반했어요

    영화계에 또 하나의 ‘○사모’가 뛰고 있다. 오는 11일 개봉하는 ‘동승’(감독 주경중)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동사모’다. ‘박사모’(박하사탕), ‘파사모’(파이란), ‘번

    중앙일보

    2003.04.06 20:16

  • 목요일마다 기타 치는 '음악 병원장'

    목요일마다 기타 치는 '음악 병원장'

    부산시 금정구 구서1동에 있는 척추질환 전문병원 새우리신경외과 박권희(朴權熙.49)원장은 척추 전문가라는 본업보다 '음악 병원장'으로 더 유명하다. 지난해 1월부터 병원 건물 5층

    중앙일보

    2003.02.03 17:56

  • [사람 사람] 목요일마다 기타 치는 '음악 병원장'

    부산시 금정구 구서1동에 있는 척추질환 전문병원 새우리신경외과 박권희(朴權熙.49)원장은 척추 전문가라는 본업보다 '음악 병원장'으로 더 유명하다. 지난해 1월부터 병원 건물 5층

    중앙일보

    2003.01.30 17:19

  • 피아니스트 김미경씨 부조니 콩쿠르 심사위원

    피아니스트 김미경(金美京·41·서울대 강사)씨가 22~28일 이탈리아 볼자노에서 열리는 제54회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됐다. 한국인이 심사위원을 맡는 것은

    중앙일보

    2002.08.21 00:00

  • 장모와 사위

    '사위는 백년 손님''처가와 뒷간은 멀수록 좋다'는 건 옛말이 돼가고 있다.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경제활동이 늘면서 부부관계가 달라지고 있으며 달라진 부부 관계가 사위와

    중앙일보

    2002.05.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