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5)방송통신고 학생

    김모군(18)은 방송통신고의 중간탈락자. 중학교만 졸업한 채 고향인 경기도 여주에서 상경, 영등포의 한 공예점 점원으로 취직했다. 방송통신고를 들어간 것은 작년. 배워두면 나중에

    중앙일보

    1981.07.02 00:00

  • (13)중고생 37%가 잘 때 이외는 공부 "쉴 틈이 없다"

    며칠전 서울구노구시흥동의 어느 조그마한 전자오락실앞. 중2년생 금모군 (14) 이 어머니에게 덜미를 잡혀 길거리에서 매를 맞고있었다.『너 간장사오라니까 여기서 뭐니? 그 돈으로 놀

    중앙일보

    1981.05.13 00:00

  • FM의 "새 메뉴" 입체드라마 등장

    FM방송을 즐기는 팬들이 부쩍 늘어났다. 방송국도 서울(2) 부산(1)이 고작이던 것이 이제는 서울(3) 부산(2) 대구(2) 마산(1) 등으로 청취지역이 넓어졌다. 또 KBS가

    중앙일보

    1981.04.20 00:00

  • 중고교생 남녀공학 시·도별로 찬반 맞서

    전국 시·도 교육위원회마다 중·고등학교남녀공학에 대한 기본정책이 서로 달라 중등교육이 지역 간의 균형과 일관성을 잃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지역마다 학교시설과 지역실정 등 여건이

    중앙일보

    1981.03.03 00:00

  • 10대 폭력

    당국의 계속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범죄는 줄어들고 있는 것 같지 않다. 사소한 일로 시비 끝에 편싸움을 벌이고 예사로 칼·몽둥이 등 흉기를 휘두르는가하면 범죄도 성인화해서 탈

    중앙일보

    1981.02.24 00:00

  • 독감 전국이 앓고 있다. 학생 10%이상 신음…백19개교 휴교중

    전국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방콕」A형 독감으로 21일 현재 전국 초·중·고교생 중 약 10%인 94만 7천 4백여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문교부는 이날 현재 전체 국교생

    중앙일보

    1981.02.21 00:00

  • 비평준화지역 고교생 서울대에 대거 진출|고교별 합격자분포 판명

    서울대학교의 81학년도 신입생의 출신고교별 합격자수가 본사조사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평준화지역보다는 비평준화지역 고교가 역시 무더기 합격자를 냈고 평준화 지역 안에서도 일부 신

    중앙일보

    1981.01.29 00:00

  • 고교생 우세 격차 더 벌어져

    고교생들의 평균학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우·열 격차도 날로 두드러지고있다. 이와 함께 지역간의 격차는 여전히 넓어지고 있다(도표 참조). 이는 81학년도 대학 입학 예비고사 응시자들

    중앙일보

    1981.01.08 00:00

  • 대입 내신성적반영 높아지자 도시 고입경쟁 낮아져

    대학입시에서 고교내신성적 반영률이 높아지자 고교평준화 지역의 입시경쟁률이 낮아지고 있다. 문교부가 18일 전국 20개 평준화지역의 81학년도 입시경쟁률을 분석한 것에 따르면 81학

    중앙일보

    1980.12.18 00:00

  • 항일운동에도 한몫

    토착문화와 외래종교의 접합을 시도한 악공회의 포용성을 담고있는 강화성당은 최초의 유치원(1923년)을 부설하고 수녀원·중학교등을 설립, 신문화를 보급했다. 특히 성담건립과 함께 갖

    중앙일보

    1980.11.27 00:00

  • 잘되면 "술석잔값"이수백만원|정보수집·정리·중매 분업화된 부유층상대 「마담·뚜」들

    『잘되면 술이 석잔, 못되면 뺨세대』라던 중매장이 「사례(사비)」 도 이제는 옛말. 최근에는 『잘되면 기백만원, 못되도 기십만원』이다. 특수·부유층을 상대로 한직업적인 중매장이(마

    중앙일보

    1980.10.30 00:00

  • 전국체전 내일 개막

    【전주=체전취재반】새시대 개막후 처음으로 열리는 제6l회 전국체육대희가 8일상오10시 건지산기슭 유서깊은 덕진공원에 자리잡은 전주공설운동장「메인·스타디움」에서 재일·재미·재독등 5

    중앙일보

    1980.10.07 00:00

  • 9월부터 달라지는 것들

    9월1일부터 우리 생활 주변에는 달라지는 것이 많다. 시중의 일부 약품 값이 최고 50%까지 내리고 국민학교 학생들에 대한 우유 공급 가격도 35% 할인된다. 또 중·고교의 보충

    중앙일보

    1980.08.30 00:00

  • 키다리 중고생 전국에 780명

    전국 중·고교생 가운데 신장1백80㎝이상의 키다리 남학생이 7백59명, 1백75㎝이상인 여학생이 21명등 모두7백80명에 이르는 것으로 문교부 조사결과 밝혀졌다. 문교부는 이들 장

    중앙일보

    1980.08.28 00:00

  • 중·고 수업료 3등급으로 축소조성

    문교부는 16일 지금까지 전국을 5등급으로 나눠 수업료에 차등을 두었던 국·공·사립 중·고교의 수업료 적용지구를 3등급으로 축소 조정, 2학기부터 시행토록 했다. 이 같은 조치는

    중앙일보

    1980.08.16 00:00

  • “내 고장 부조리 뿌리뽑자”

    『정의로운 새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결의대회가 전국에 번지고있다. 서울에서는 상오10시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정희택 서울시 지역정화추진위원의 위원장(61·변호사)과 정상천 서울

    중앙일보

    1980.08.12 00:00

  • 국보위의 「교육개혁」결단을 보고|좌담

    교육계에 비상히 걸렸다. 일부에서는 교육 혁명이라고 까지 부르고 있다. 고질 이였던 교육부조리가 드디어 수술대 위에 오른 것이다. 국가보위비상대책위상임위의 「교육 정상화 및 과열과

    중앙일보

    1980.07.31 00:00

  • (2)입시제도

    「교육의 평가절하」에 「국영수 시대」라는 말까지 생겼다. 해마다 「컴퓨터」 아닌 「인간암기기계」도 양산돼 왔다. 대학입시에 내신성적이 반영되면서 한때 사라졌던 「치맛바람」이 고교

    중앙일보

    1980.07.26 00:00

  • 전체의 29% 8만5천명이 13만5천명 취학시켜 재학생의 3.4%차지|지역별로는 충북이 41%로 최고... 4명의 취학자녀 둔 경우도 3백80명

    대한교련(회장 정범석)은 중·고등학교 취학자녀를 둔 중·고등학교 교원들의 입학금 및 수업료면제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최초로 중·고등학교교원들의 자녀취학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중앙일보

    1980.06.06 00:00

  • 「소풍장소」다양해졌으면…|전국 국민학교 어린이들 소풍실태|해마다 같은곳만…"볼것없다"실망|도보원칙에 묶여 한곳에 7∼8개교 모이기도|음식장만 대접·「봉투」걷기등 성행

    국민학교 소풍철이 시작됐다. 이달중순들어 전국 각국민학교에서는 봄소풍을 실시, 학교 생활에 지친 어린이들에게 야외 나들이를 시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학교들이 소풍장소를 매

    중앙일보

    1980.04.29 00:00

  • 학교수부족·특정지역 편재부터 해결해야

    서울시교위가 확정, 발표한 고교신입생배정 골자는 공동학군제 폐지와 거주지중심에 의한 근거리학교 배정이다. 공동학군은 74년 고교평준화제도 실시때▲일반학군으로 분할할 경우 학생 수용

    중앙일보

    1980.02.19 00:00

  • 80년 세계복음화대성회 준비위

    ○…80년 세계복음화대성회준비위원회는 오는 8월 여의도대회를 앞두고 2월부터 본격적인 예비집회를 개최, 민족복음화운동의「붐」을 조성하고 있다. 고교생 20만명을 대성회 행동요원으로

    중앙일보

    1980.02.16 00:00

  • 평준화의 결과

    올해대학입시결과는 몇가지 흥미있는 현장을 보여주고 있다. 세칭 명문대의 합격률에서 그것은 더욱 두드러 진다. 첫째 자유경쟁의 장점. 서울변방의 U고교는 그 지역적인 특수성 때문에

    중앙일보

    1980.01.26 00:00

  • 새로운「명문고교」가 생겼다

    고등학교 평준화 시책에도 불구하고 학교차는 여전해 새로운 명문고교가 생겨나고 있다. 문교부는 과열된 입시경쟁과 학교차를 없애기 위해 74년부터 서울등 대도시에 고교평준화제도를실시해

    중앙일보

    1980.0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