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예술] 인화지에 찍힌 시대의 음영
이주현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한가한 오후 삼청동을 걷다 보면 사진전문미술관인 뮤지엄한미에서 열리는 ‘한국사진사 인사이드 아웃’(4월 15일까지)전을 만날 수 있다. 정해창이 최
-
‘해바라기’서 ‘체르노빌’까지, 우크라 비극을 예견하다
━ 오동진의 시네마 역사 올해 6월 27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산업도시 크레멘 추크시의 쇼핑몰. 이날의 폭격으로 민간인 수십 명이 숨졌
-
박근혜 미술선생님의 화실, 지금은 아들이 그리는 자리 유료 전용
1 54년 된 화실 이 그림은 서울 종로구 낙원상가아파트 15층에서 그렸다. 서양화가 박재웅의 화실이다. 우연히 화실에 갈 일이 있었다. 현관문을 지나 왼쪽으로 몸을 트는 순
-
[이달의 예술] 분단 속 보통 사람들의 삶
이주현 미술사학자·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아르노 피셔(1927~2011)는 2차대전과 분단·통일로 이어지는 20세기 독일 역사를 몸소 겪고 이를 카메라에 담아낸 대표적 사진가다.
-
[책꽂이] 너 어떻게 살래 外
너 어떻게 살래 너 어떻게 살래(이어령 지음, 파람북)=유작이 된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 세 번째 책. 알파고가 안겨준 충격을 시작으로 인공지능과 인간을 연결하는 사유와 성찰을
-
[사설] 소통하는 용산 대통령 집무실 조성에 여야 협력하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
-
"용산 이전 탁월하고 매력적...굳이 이번 봄일 필요는 없어" [서현의 퍼스펙티브]
━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어떻게 봐야 할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고, 앞마당을 시민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
-
진중권 "설강화가 문제? 그럼 '쉰들러 리스트'는 나치 미화냐" [진중권 칼럼]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설강화’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드라마가 군부독재를 미화하고 민주화운동을 모독했다는 것이다. 누군가 청와대에 드라마의 방영중단을 요구하는
-
[최범의 문화탐색] 미술평론가 김윤수를 기억하며…
최범 디자인 평론가 지금이야 숨 한 번 안 돌리고도 두 시간 정도는 거뜬하게 강의할 수 있지만, 대학원을 갓 마친 그때는 한 시간 강의하는 것도 버거웠다. 학위증에 찍힌 도장이
-
거꾸로 선 그림 속 인물, 관습·고정관념 뒤집다
━ 독일 신표현주의 거장 바젤리츠 타데우스 로팍 서울점에 설치된 바젤리츠 신작 회화들. [사진 타데우스 로팍] ‘남과 달라야 한다’는 명제는 모든 예술가의 강박일 터다.
-
한 편의 시처럼 깊은 감성, 러시아에서 찾아온 이 그림들
미하일 쿠가츠, 먼 길, 카드보드에 유채, 71X101cm. 까르찌나갤러리 개관전에서 전시했으며 오는 30일부터 열리는 한전아트센터 전시에서도 선보인다. [사진 갤러리 까르찌나]
-
[이달의 예술] 케테 콜비츠 판화의 생명력
이주현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판화는 유일하게 복제가 가능한 미술 장르다. 그래서 선전과 계몽이 요구되는 역사적 혼란기마다 자신의 무한복제력을 발휘해 왔다. 16세기 종교개혁의
-
[이달의 예술] 케테 콜비츠 판화의 생명력
이주현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판화는 유일하게 복제가 가능한 미술 장르다. 그래서 선전과 계몽이 요구되는 역사적 혼란기마다 자신의 무한복제력을 발휘해 왔다. 16세기 종교개혁의
-
스위스 미술관에 남북한 미술작품 나란히 걸렸다
한국 조각가 김인배의 2007년 작 ‘델러 혼 데이니(Deller hon Dainy). [사진 Sigg Collection] 남북한 미술이 유럽의 한 미술관에서 함께 전시 중이다
-
스위스 미술관에 남북한 미술이 나란히...그러나
한국작가 이세현의 'Between Red33', 2007 Oil on canvas two parts, each 250 x 200 cm . [사진 Sigg Collection] 한
-
‘6·25 참상’ 묘사 피카소 그림, 자유·공산 진영 모두 불평
━ [영감의 원천] 피카소 ‘한국에서의 학살’ 피카소 ‘한국에서의 학살’(1951), ⓒ 2021-Succession Pablo Picasso-SACK (Korea). 파
-
[문화비평 - 음악] 쇼스타코비치, 패르트 그리고 삶의 현실
오희숙 서울대 음대 작곡과 교수 “음악이 삶과 너무나 동떨어진 듯하면서도 동시에 삶에 밀착되어 있다는 기묘한 현상”에 주목한 철학자는 루카치다. 그는 음악이 현실을 ‘반영’하는
-
[분수대] 샤갈과 말레비치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추상화는 정치·사회와 담쌓은 예술일 것 같다. 그러나 영국 테이트모던 미술관 상설전에는 ‘추상과 사회’ 섹션도 있다. 100년 전에는 추상화를 그
-
볼쇼이와 마린스키, 두 세계의 핵융합
━ 볼쇼이 발레단 내한공연 ‘백조의 호수’ 클래식 발레단에게 ‘호두까기 인형’이 12월의 효자상품이라면, ‘백조의 호수’는 시류를 타지 않는 스테디셀러다. 마법으로 백조
-
음악이 엇갈린 시간을 이어주길
━ WITH 樂: 북한의 클래식 연주가 2006년 신나라뮤직에서 나온 백고산 바이올린 솔로 음반 두어 해 전 일이다. 우연히 알게 된 분이 SNS 상에 연주 동영상을 하나
-
북한 소설이 몰려온다…이혼 소송 다룬 장편 『벗』 출간
이혼 소송을 소재로 한 북한의 베스트셀러 소설 『벗』. "그래, 순희 동무는 리혼 주장이 뭡니까?" "?…" 녀인은 판사의 말을 리해(이해) 못한 듯 잠시 의아쩍은 표정을 지었다
-
[책 속으로] 소설가 고리키 “바보도 슬기롭다”
가난한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막심 고리키 지음 오관기 옮김, 민음사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 작가로 꼽히는 러시아 문호 막심 고리키의 소설이다. 『가난한 사람들』에는 러시아의
-
막심 고리키의 가난한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막심 고리키 지음, 오관기 옮김, 민음사, 360쪽, 1만6000원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 작가
-
[박보균의 현장 속으로] 사다트의 역사 도전, 전쟁을 결심해야 평화를 얻는다
━ 리더십의 결정적 순간들 │ 1973년 10월 전쟁, 이집트의 이스라엘 기습 ‘10월 전쟁 파노라마 박물관’의 조각상. 고무보트를 탄 알사카 특수부대원들의 역동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