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7.주석권한 실질적 행사

    北韓의 최고 통수권자인 수령은 어디까지나 金日成이지만 金正日이 통치영역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하며 사실상 수령역할을 하고 있음은 이제 공공연한 일이다. 金正日은 지난 3월8일에

    중앙일보

    1993.10.19 00:00

  • 월북 화가 이석호 작품 국보로

    대표적인 월북 화가 이석호의 작품 30여점이 「국보」로 지정돼 「조선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보」로 지정된 이석호의 작품은 모두 동양화의 변종인 「조선화」로

    중앙일보

    1993.08.19 00:00

  • 남북 미술교류 물꼬튼다

    올해는 남북 미술 교류의 물꼬가 트일 것인가-. 최근 여러 창구와 방법을 통한 남북 미술의 만남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일본·중국 등 제3국가에서 남북의 미술 작품을 한자리에 선

    중앙일보

    1992.03.12 00:00

  • 김정일 형상 미술품 대량 제작

    북한은 최근 김정일을 군 최고사령관에 추대(12·24)한 이후 김정일의 군 지도자로서의 위상확립과 이미지 제고를 목적으로 금을 형상한 미술작품을 대거 제작해내고 있다고 북한방송이

    중앙일보

    1992.01.09 00:00

  • 대동강변서 첫 개인 미전

    ○…평양 대동강변에 위치한 「조선미술박물관」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례적으로 개인미전이 일리고 있다고 북한의 중앙방송이 2일 보도했다. 이 미전은 유영관이란 화가의 개인미전인데

    중앙일보

    1991.10.04 00:00

  • (5)미술|예술성 보다「주체 사상」이 우선|【평양=김경희 기자】

    폭 80m의 지하철역 쪽무이(모자이크) 벽화, 높이 1백70m의 주체탑, 폭 52.5m, 높이 60m의 개선문…. 북한의「주체미술」은 거대한 벽화·조각·건축물 등 소위「대 기념비

    중앙일보

    1990.11.01 00:00

  • 김일성 교시로 미술활동 「만수대 창작사」(북녘의 문화ㆍ예술:1)

    ◎작가 천여명… 문신부ㆍ임양 흉상도/월북 미술인 일부 아직 활동 확인 「조선화에 근본을 둔 사회주의적 사실화」. 지난 17일 북한미술의 총본산이랄 수 있는 평양의 만수대 창작사를

    중앙일보

    1990.10.25 00:00

  • 고구려 벽화 훼손 부분 "창작 모사"|『월간 미술』 7월호, 「월북 화가 정현웅의 생애와 작품」 특집

    화가 정현웅( 1911∼76년). 지금은 함께 활동했던 몇몇 원로 화가들이나 그를 어렴풋이 기억할 뿐 미술계에서는 잊혀져 가는 「월북 화가」다. 그는 일제시대인 27년, 불과 16

    중앙일보

    1990.07.03 00:00

  • 월북 비화가 이석호 개인전

    ○…월북화가 이석호의 개인전이 최근 평양의 국제 문화회관에서 열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석호는 경기도 안성군에서 출생, 6·25동란 중에 월북했으며 71년 사망했다. 이석호는 특히

    중앙일보

    1989.12.25 00:00

  • 조총련과 합영사업 40여개 운영

    ○…북한의 합영사업은 「합영법」이 제정된지 5년이 지난 현재 조총련과의 합영을 중심으로 40여개 정도가 운영되고 있다고 합영 관계 간부가 최근 밝혔다. 북한 합영 공업부 금성환부

    중앙일보

    1989.08.30 00:00

  • 연변화단의 대부 임천 화백|5일부터 그로리치 화랑서 개인전|"연변동포 생활상 화폭에 담아와

    겨우 다섯자(척)를 넘길수 있을까 싶은 단구의 그는 까슬하게 마른 얼굴에 그윽히 눈부터 웃는 모습이 여간 선량해뵈지 않는다. 정성들여 걸친 잔(세)체크무늬의 양복이 조금은 겉도는

    중앙일보

    1989.08.08 00:00

  • 헝가리에서의 첫 한국화전|「동방의 빛」을 마치고…김병종(한국화가·서울대교수)

    한국회화 사상 초유로 지난 7월 4일까지 두 달에 걸쳐 헝가리와 독일에서는 대규모의 한국화 전람회인 「동방의 빛」전이 열렸다. 그곳 화랑의 초청으로 기획된 이 전람회에 50대 초반

    중앙일보

    1989.08.04 00:00

  • 조선화 또 하나의 「제도권 미술」

    북한에서는 예술을 곧 현실을 파악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며 혁명의 완성을 위해 투쟁하는 인민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사상적 무기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 역시 혁명성과 계급적

    중앙일보

    1989.05.09 00:00

  • 해금 화가 정종여의 2녀 혜지씨

    50년 9월북으로 간 것으로 알려진 동양화가 정종여는 부인 안교희씨와 1남 3녀를 남쪽에 남겨놓았다. 그중 부인 안씨는 그보다 2년 앞서 지난 82년 별세했고 아들 상진씨(41)는

    중앙일보

    1988.10.27 00:00

  • 월-입북 미술인 연구 활발『계간미술』겨울호·『현대』창간호서 특집

    정지용·김기림 등 납북문인들을 중심으로 연구서 간행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미술계에서도 납북·월북미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단계적 해금과 사회적 수용을 요청하는 의견이 대두되고

    중앙일보

    1988.01.14 00:00

  • "「김일성찬양」일색의 북한미술"

    국토통일원주최의『북한의 미술』에 관한「세미나」가 27일 하오1시 이 통일원천지관에서 열렸다. 작년의『북한의 문학』『북한의 음악』에 이어 열린 이번「세미나」에는 30여점의 북한미술작

    중앙일보

    1979.04.27 00:00

  • "묵념 올려주세요" 못들은 척-현충사 관광

    서울에 온지 3일째 맞은 북적 대표단 일행은 14일 상오 10시10분 예정보다 늦게 숙소인 「타워·호텔」을 출발, 경부고속도로를 거쳐 온양 현충사를 구경했다. 이들은 이범석 수석

    중앙일보

    1972.09.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