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22회 국전-10월10일∼11월5일 덕수궁 국립 현대미술관|제14회 민속 예술 경연-26∼28일 청주 공설 운동장서|첫 인간문화재 공예전-5일∼30일 창덕궁

    「문화의 달」인 10월을 맞아 각종 문화 예술 행사가 집중적으로 전국 각지에서 열린다. 문공부는 지난해에 제정·공포된 문화 예술 진흥법에 따라 10월20일 「문화의 날」을 기해 전

    중앙일보

    1973.10.01 00:00

  • 대통령상에 「경주문화예술센터」(건축)

    문공부는 27일 제3회 대한민국 건축 및 사진전람회의 입선작 67점을 발표했다. 영예의 대통령상은 건축부문의 『경주 문화예술 「센터」』설계자인 송명규(서울 서대문구 홍제동267)

    중앙일보

    1973.08.27 00:00

  • 제8회 상공미전 개막

    제8회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가 1일 경복궁현대미술관에서 개막됐다. 15일까지 계속되고 6월 하순부터 전주·대전·대구·부산 등지로 이동전시 될 이번 전람회에는 모두 1천91점의 작품

    중앙일보

    1973.06.01 00:00

  • 「서울 현대 미술제」초대 작가 73명 선출

    오는 6월말에 처음 열리는「서울 현대 미술제」의 초대 작가 73명이 선정, 발표되었다. 이 미술제 사무국은 유준상·이 일 선정위원에 위촉, 재경 작가 41명, 부산 10명, 기타

    중앙일보

    1973.05.14 00:00

  • 전시의 문화인들 51년 창단,호양까지 종군

    한국류단은 49년10월 경복궁 미술관에서 제1회 대한민국 종합 미술전시회(국전)를 열고 제2회 전시회를 준비하다가 6·25를 당했지만 기가들은 다른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활발한 종군

    중앙일보

    1973.04.11 00:00

  • 문화재보호 범국민운동

    문공부는 26일 문화재 보호 범국민운동의 모태인 사단법인 한국문화재 보호협회에 사업전개에 관한 기본지침을 시달했다. 이 지침은 ⓛ한국 문화재보호협회의 도·시·군 지부조직과 회원 모

    중앙일보

    1972.07.28 00:00

  • 제7회 「상공미전」과 72년도 「포장대전」

    제7회 상공미전과 72년도 포장대전이 경복궁 안의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함께 열리고 있다. 17일에 개막, 30일까지의 서울전에 이어 5, 6월 중에는 대전·전주·대구·부산의 순회전도

    중앙일보

    1972.04.22 00:00

  • 동화의 세계와 낙원을 그리며…|고 이중섭 유작전 19일부터

    낙원을 그리며 역경을 헤매다가 숨진 한 뛰어난 화가가 그가 남긴 숱한 낙원도를 통해 따스한 체온으로 되살아나고 있다. 우리 나라 현대미술사의「천재」혹은「기재」로 첫 손꼽히는 그는

    중앙일보

    1972.03.18 00:00

  • 해외단신

    호주화가 「앨버트.터컨」씨는 호주대사관 주관 문공부 후원으로30일∼8월 15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8월17일 ~ 22일 부산시공보관에서 작품전을 갖는다. 첫 호주화가 작품의 한국

    중앙일보

    1971.07.31 00:00

  • 호 화가「터커」미전

    「오스트레일리아」의 화가 「앨버트·터커」유화전이 7·8 두 달 동안 서울(국립현대미술관)에 이어 부산(시립공보관)에서 열린다. 한호 문화협정에 따라 처음 소개되는 「오스트레일리아」

    중앙일보

    1971.06.28 00:00

  • 「워싱턴」서 한국 농어촌 생활전

    한국의 현대 농어촌 생활에 관한 대규모 전시회가 워싱턴에 있는 미 국립박물관 「스미드소니언·인스티튜션」에 의해 오는 3월 열린다. 이 박물관의 아시아 인류학 전문가인 부 관장 「유

    중앙일보

    1971.02.08 00:00

  • (7)재정비 서두른 미술계

    미술계는 금년 전에 없이 무엇인가 전진을 꾀하려는 몇 가지 움직임을 보였다. 국전 제도의 개혁을 비롯하여 야전과 국제 전의 창설 및 발표 장으로서의 화랑「붐」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중앙일보

    1970.12.21 00:00

  • 「유럽」에 한국문화를 심은|20년대 한국학의 증인

    유럽에서 한국학 연구의 중심지가 되고 있는 파리대학에 한국학과를 설치케 한 공로자 「샤를·아그노에르」박사가 70노구를 이끌고 7년만에 한국을 다시 찾았다. 문교부 초청으로 지난 2

    중앙일보

    1970.09.03 00:00

  • (1) 동경|세계1주의 도상에서 - 우규승 통신원

    건설부도시·지역개발연구소의 도시설계가 우규승씨(27세)는 도시문제를 시찰하기 위해 세계1주의 도상에 있다. 「아시아」재단의 후원으로 7월에 출발, 지금 「그리스」의 「아테네」에 있

    중앙일보

    1967.08.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