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평판도는 서울대, 교수 연구는 경희대 1위

    평판도는 서울대, 교수 연구는 경희대 1위

     물리학과 평가에서 평판도는 서울대, 학생 성과는 포스텍(POSTECH·옛 포항공대), 교육 여건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각각 수위를 차지했다. 물리학과 평가는 1995년과

    중앙일보

    2007.10.01 05:13

  • [미래산업10大 물결 ②] 생활혁명 이끌 ‘창조의 엔진’

    모든 신기술은 나노에서-. 이 말에 이의를 제기할 현대 과학자는 많지 않다. 그만큼 나노 과학이 미치는 파괴력은 크다. 바이오·에너지·환경 등 흔히 미래를 이끌 신산업으로 일컬어

    중앙일보

    2007.06.13 15:22

  • "얼짱 만드는 비법 찾아라"

    "얼짱 만드는 비법 찾아라"

    경기도 신갈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 연구센터. 화장품은 물론 건강식품과 제약 관련 연구개발(R&D)이 이뤄지는 곳이다. 이 가운데 화장품 연구를 총괄하는 강학희 상무는 눈 밑에 반창

    중앙일보

    2007.05.03 19:37

  • ‘첨단 공해’ 나노 新기술 규제책 만든다

    ‘첨단 공해’ 나노 新기술 규제책 만든다

    인체 안에서 병균을 공격하는 나노 로봇의 상상도 ‘꿈의 기술’로 각광받는 나노가 규제 도마에 올랐다.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영역에서 미세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나노 신기

    중앙선데이

    2007.04.30 01:08

  • [CoverStory] 싸게 더 싸게 '한국 포위작전'

    [CoverStory] 싸게 더 싸게 '한국 포위작전'

    대만의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TSMC의 300mm 웨이퍼 공장 전경.[TSMC 홈페이지] 대만의 중부과학공업지구. 이 지역이 최근 하이테크 제조업의 집적지로 세계

    중앙일보

    2007.03.26 18:45

  • 이명박 "국제 과학 비즈니스 도시 건설"

    한나라당 대선주자 중 한 명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22일 과학국가 건설을 위한 구상을 밝혔다. 핵심은 '국제 과학비즈니스 도시'의 건설이고 이를 위한 '기초과학의 획기적 발전'

    중앙일보

    2007.01.23 04:54

  • [이덕환의화학이야기] 나노기술이 곧 화학이다

    과학에도 유행이 있는 모양이다. 과학 자체가 변해 그런 게 아니라 과학지식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생각이 시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요즘은 '나노'가 유행하고 있다. 나노기술(

    중앙일보

    2006.04.06 21:05

  • "물방울 속 나노입자를 나노 트랜지스터로 활용"

    "물방울 속 나노입자를 나노 트랜지스터로 활용"

    오팔이라는 보석은 보는 각도에 따라 영롱한 색을 다양하게 나타낸다. 오팔은 모래알보다 훨씬 작은 유리구슬이 뭉쳐서 만들어졌는데, 이 유리구슬의 크기가 제각각이라서 저마다 반사시키

    중앙일보

    2006.02.02 22:35

  • 세포 속 약물 침투 훤히 본다

    세포 속 약물 침투 훤히 본다

    ▶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에서 이온빔 가속기로 유물을 감정하고 있다. 호주 멜버른대 연구팀은 2000년 에이즈 치료용 코발트와 텅스텐 등 중금속이 세포 속으로 어떻게 침투해 들어가는지

    중앙일보

    2005.07.01 05:40

  • [권영빈 칼럼] 흐름을 보면 변화를 안다

    2001년 12월,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90세 생일을 맞은 노과학자 첸쉐썬(錢學森)박사를 찾아 건강을 걱정하고 그의 학문적 위업을 칭송했다. 첸 박사는 1935년 상하이

    중앙일보

    2004.02.26 18:28

  • 나노가 품질을 바꾼다

    LG전자는 지난 8월 직경 2백~5백nm(1nm는 10억분의 1m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크기의 탄소입자를 내부 용기에 담은 프리미엄급 김치냉장고를 내놨다. 자체 실험에

    중앙일보

    2003.11.19 16:02

  • 생명공학 실험실이 칩 속으로 쏙~'랩온어칩' 각광

    머리카락의 10분의1~20분의1 정도의 가는 실을 무 자르듯 토막으로 자른 것이 보통 세포의 크기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고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살아 있는 이런 세포의

    중앙일보

    2003.08.27 15:48

  • '10억분의 1' 반란…고개 드는 나노기술 재앙론

    실력있는 미국의 과학자 줄리아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자이모스'사에서 나노로봇을 개발 중이다. 자동으로 어디든지 돌아다닐 수 있고 병정개미들처럼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첨

    중앙일보

    2003.08.20 16:05

  • '실리카 나노분말' 우리 손 개발

    '실리카 나노분말' 우리 손 개발

    고무와 페인트 등에 첨가돼 강도를 높여주고 점도와 탄성을 올려주는 물질이 '실리카 나노분말'이다. 반도체 제작에 사용되는 웨이퍼에 얇게 발라 연마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첨단산업 소재

    중앙일보

    2003.06.11 14:22

  • 나노테크의 꽃 '원자현미경'

    기네스북이 공인한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글씨는 우리나라 조각가 김대환(69)씨의 것이다. 그는 쌀 한톨에 반야심경의 한자 2백83자를 새겨 넣어 1990년 '가장 미세한 조각품'분

    중앙일보

    2002.03.28 00:00

  • [극미 세 기술 '나노테크 대전'] '손목 노트북' 누가 먼저 만드나

    미 공군은 카멜레온처럼 주변 환경에 맞춰 색깔이 변하는 비행기를 개발 중이다.비행기 겉에 극미세 입자인 '나노분말'로 만든 페인트를 칠함으로써 스스로 보호색을 만들게 하자는 구상이

    중앙일보

    2001.11.05 09:25

  • [극미 세 기술 '나노테크 대전'] '손목 노트북' 누가 먼저 만드나

    미 공군은 카멜레온처럼 주변 환경에 맞춰 색깔이 변하는 비행기를 개발 중이다.비행기 겉에 극미세 입자인 '나노분말'로 만든 페인트를 칠함으로써 스스로 보호색을 만들게 하자는 구상이

    중앙일보

    2001.11.05 00:00

  • [대덕밸리]나노닉스, 분무형 나노입자 기술 개발

    대덕밸리 벤처기업 나노닉스(대표 최관영, http://www.nanonix.com)는 10마이크로미터에서 10나노미터 크기의 금속(니켈, 구리) 및 세라믹(Sio₂,Tio₂)분말입

    중앙일보

    2001.10.04 12:52

  • 극미세 나노물질 합성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원장 홍창선) 천진우(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와 정보저장 매체로 응용할 수 있는 극미세 나노물질 합성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단

    중앙일보

    2001.06.12 11:46

  • 극미세 나노물질 합성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원장 홍창선) 천진우(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와 정보저장 매체로 응용할 수 있는 극미세 나노물질 합성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단

    중앙일보

    2001.06.12 11:10

  • 수박만한 초미니위성 띄운다- 대덕연구단지 '나노'팀

    "무게는 줄여야하는데 붐 (boom) 을 달기도 곤란하고 아무래도 자세제어가 문제겠지. " "맞아요. 정밀제어는 쉽지 않을 것 같군요. 하지만 필요한 동력은 최소한 위성의 한쪽 면

    중앙일보

    1999.03.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