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구려는 살아있다] 5. 동북아 상생(相生)의 길

    [고구려는 살아있다] 5. 동북아 상생(相生)의 길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는 세계화 시대에 '민족적 관점'과 '국제적 시각'을 조화시켜나가는 하나의 시금석이자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중화민족주의적 역사 왜곡에 대해서도 양면 전

    중앙일보

    2004.01.26 18:09

  • [고구려는 살아있다] 고구려史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할까

    지난 17일 '중국변강사지(史地)연구중심'에 들러 책임자인 리성(聲) 주임에게서 그 기구의 성격과 연구 방향 등에 대해 들었다. 우리가 관심 갖는 동북공정은 신장 등 6개 연구 영

    중앙일보

    2004.01.26 18:07

  •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는 살아있다] 4. 중국의 입장과 의도

    고구려사에 대한 중국 학계의 입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중국 동북지역 역사연구의 권위자인 쑨진지(孫進己) 선양(瀋陽) 동아(東亞)연구센터 주임이 본지에 기고문을 보내왔다. 孫주

    중앙일보

    2004.01.25 16:06

  • 네티즌 '고구려 지킴이 운동' 빛본다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에 포함하려는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프로젝트에 대항한 네티즌들의 '고구려 지킴이 운동'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2

    중앙일보

    2004.01.25 11:15

  • [고구려는 살아있다] 脫민족주의서 바라보면…

    [고구려는 살아있다] 脫민족주의서 바라보면…

    고구려사는 당연히 한국사인가? 고구려 시대에는 한국이 없었다. 마치 유럽 중세사에서 프랑스와 독일이 없었던 것처럼. 여기서 유럽이란 자연적인 지리적 공동체라기보다는 인위적이고 정

    중앙일보

    2004.01.19 18:26

  • 북한·중국땅 고구려 유적들 세계문화유산 지정될 듯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 16일 북한과 중국이 각각 신청한 고구려 유적을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도록 권고키로 결정했다.

    중앙일보

    2004.01.19 08:51

  • 북한·중국땅 고구려 유적들 세계문화유산 지정될 듯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 16일 북한과 중국이 각각 신청한 고구려 유적을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도록 권고키로 결정했다.

    중앙일보

    2004.01.18 18:28

  • [취재일기] 흥분보다 대응논리를

    민족혼이 숨쉬고 있는 고구려사를 지키려는 국민의 열정이 이역만리 프랑스 파리에서까지 느껴질 정도로 후끈하다. 고구려를 자기들 역사 속에 끼워넣으려는 중국의 '동북공정'사업은 우리

    중앙일보

    2004.01.18 18:19

  • [고구려는 살아있다] 1. 세계문화유산과 동북공정

    [고구려는 살아있다] 1. 세계문화유산과 동북공정

    북한과 중국내 고구려 유적이 오는 6월에 나란히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편에선 중국의 ‘동북공정’과 이에 맞서는 국내 학계·일반시민들의 목소리가 드높다. ‘

    중앙일보

    2004.01.18 18:18

  • [시민 칼럼] '고구려史' 대응책 세우자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알려지면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현재의 주요 관심은 북한과 중국의 고구려 유적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부를 최종 심사하게 되는 '제28차 세계유산위

    중앙일보

    2004.01.15 18:18

  • Ψ 고구려史 우리가 지킨다

    Ψ 고구려史 우리가 지킨다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포함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독도문제로 불거진 국민감정에 불을 지르고 있다. 중국은 고구려와 발해가 자국의 영토안에 있었기 때문에 이를 중국사의

    중앙일보

    2004.01.14 18:33

  • "지키자 고구려" 광개토대왕 우표 등 추진

    중국이 최근 '고구려는 중국의 일개 지방정권'이라고 왜곡 주장한 데 맞서 서울시와 구리.남양주시, 고려대 등이 고구려사 왜곡 저지를 위한 다양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경기도 구리.

    중앙일보

    2004.01.12 18:08

  • [2004 내가 연다] 6. 학술 임기환

    [2004 내가 연다] 6. 학술 임기환

    "1천5백년 동안 우리 역사였던 고구려사를 중국이 요 몇 년 사이 자국사의 일부라고 주장한다고 해서 중국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임기환(47.한신대 학술원 연구원) 박사는 중

    중앙일보

    2004.01.11 18:20

  • [사설] 고구려 역사 지키기

    최근 중국 정부가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대형 프로젝트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역사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의 자기인식

    중앙일보

    2004.01.09 18:20

  • [2004 내가 연다] 4. 종교 조성택 교수

    7일 오전 방학을 맞은 고려대 교정에는 토익.토플 특강을 알리는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있었다. 캠퍼스의 '영어완전정복' 열기가 그대로 느껴졌다. 그 중 색다른 현수막 하나가 들어왔다

    중앙일보

    2004.01.07 19:43

  • [마이너리티의 소리 ] 문화다양성 운동과 고대사 분쟁

    최근 중국은 고구려를 자국 역사로 편입시키기 위한 작업인 소위 동북공정(東北工程)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태도는 당시 고구려가 고대 중국민족 가운데 하나의 소수민족이라

    중앙일보

    2003.12.17 18:44

  • [문화노트] 고구려史 빼앗길 판에 '밥그릇 싸움'

    "정문연의 과욕인가, 생존전략인가." 최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하 정문연)이 '동북아 고대사연구소'(가칭)를 세우려는 것에 대해 역사학자들이 보인 냉소적 반응이다. 지난 7월 15

    중앙일보

    2003.12.14 17:28

  • "고구려는 우리 역사"

    정부는 중국이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 적극 대처키로 하고 실태파악 등에 착수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주(駐)중국 대사관이 고구려사

    중앙일보

    2003.12.12 18:29

  • [알림] 고구려 유적 탐방 떠납니다

    월간중앙 역사탐험과 고구려연구회가 공동으로 중국에 있는 고구려 유적 탐방에 나섭니다. 중국은 최근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고구려사를 자신의 역사로 편입시키려고 합

    중앙일보

    2003.12.10 19:01

  • "中 고구려사 왜곡은 패권주의 역사관"

    우리의 17개 역사 연구단체가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 중지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고구려(BC 37년~AD 668년) 등을 중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중국의 '동북공정(東

    중앙일보

    2003.12.09 17:36

  •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집중 토론] 중국의 고구려史 왜곡 막으려면

    *** 참석자 ▶崔 光 植 고려대 교수.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장 ▶安 秉 佑 한신대 교수.교과서 운동본부 교과서 위원장 ▶尹 輝 鐸 동아대 연구교수.한.중.일 역사교재위원

    중앙일보

    2003.12.03 18:51

  • ‘동북공정’ 제1차년도 프로젝트 일람표

    1. 번역과제 1) 《朝鮮韓國史學系的古朝鮮, 夫餘硏究論著選編》, 孫啓林 2) 《朝韓學界高句麗的硏究文獻》, 權赫秀 3) 《國外渤海史硏究資料彙編》, 鄭永振 4) 《朝文相關重要著作和資料

    중앙일보

    2003.08.05 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