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내 고장 화제] 밀양시 문화재 CCTV 설치

    [내 고장 화제] 밀양시 문화재 CCTV 설치

    여름철만 되면 얼음이 얼었다 가을이 되면 녹는 얼음골, 국가 위기상황이나 주요 전환기때 '땀'을 흘리는 것으로 알려진 표충비 등 경남 밀양의 신비한 현상을 안방에서 볼 수 있게된다

    중앙일보

    2004.11.18 20:26

  • 천제연폭포, 천연기념물 된다

    문화재청은 15일 서귀포 천제연폭포와 중문.대포해안의 주상절리대, 북제주군의 기생화산 '거문오름'의 천연기념물 지정을 예고했다. 천제연폭포는 무태장어 서식이 확인돼 천지연폭포와 함

    중앙일보

    2004.11.15 21:16

  • 울주 가지산에 500세 철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해야

    키 5.5m에 밑둥치 둘레가 3.5m나 되는 500세 먹은 나무를 비롯해 150세이상의 거목만 740여 그루가 모여서 자라고 있는 철쭉나무 군락지. 봄이면 30여만평에 22만여 그

    중앙일보

    2004.10.10 20:40

  • 개발로 삶터 잃고…모피로 쓰이고…수달이 불쌍해

    개발로 삶터 잃고…모피로 쓰이고…수달이 불쌍해

    ▶ 태어난 지 100일이 지난 부산 아쿠아리움의 새끼 수달 세 마리(上). 동물구조대 대원이 구조한 수달에게 음식을 주고 있다(下). [연합] "수달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는 것은 모

    중앙일보

    2004.09.23 17:28

  • 450살 전주 '곰솔' 나무 죽어도 천연기념물 된다

    450살 전주 '곰솔' 나무 죽어도 천연기념물 된다

    ▶ 전주 곰솔=곰솔은 해안가에서 자라는 소나무의 일종으로 해송(海松)으로도 불린다. 재래종 소나무보다 잎이 길고 굵으며 줄기가 검은색을 띠고 있다. 전주 곰솔은 높이 10m, 가지

    중앙일보

    2004.08.31 18:40

  • [인사] 문화재청 外

    ◇문화재청▶기획관리관 이춘근 ▶문화재정책국장 송인범▶사적명승국장 김종혁▶천연기념물과장 차순대▶근대문화재과장 이상필▶혁신인사담당관 엄승용▶기획예산법무담당관 김종진▶문화재교류과장 최종

    중앙일보

    2004.06.03 17:54

  • [week& cover story] 토요일엔 창덕궁

    [week& cover story] 토요일엔 창덕궁

    맨 얼굴 드러낸 '명품 정원' … 딱따구리도 "어서 오세요" 창덕궁은 다른 궁궐처럼 아무 때나 들어갈 수도, 아무 데나 돌아다닐 수도 없다. 문화재 보호를 위해서다. 왜 창덕궁만

    중앙일보

    2004.04.29 15:39

  • "명실상부한 독도 포털 만들것"

    "명실상부한 독도 포털 만들것"

    ▶ 박기수 지점장 “아이구, 지점장님, 승진 축하합니다.” 지난 1일 대구은행 본점 구내식당 앞에서 만난 한 동료의 인사에 그는 멋적게 웃음 짓고 말았다. 정식 발령을 받은 지

    중앙일보

    2004.04.04 09:22

  • "옥계굴 천연기념물級"

    강원대 지질학과 우경식 교수는 "강릉시에 산재한 석회 동굴 45곳을 조사한 결과 옥계.서대.임곡굴이 천연기념물로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에

    중앙일보

    2004.03.25 20:33

  • "불평등한 어업협정 보고 독도문제 관심가져"

    "불평등한 어업협정 보고 독도문제 관심가져"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00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 인터뷰 약속을 위해 그의 휴대전화 번호를 누르자 낯익은 노래가 들려왔다. ‘독도는 우리땅’. 그렇지. ‘독

    중앙일보

    2004.03.20 09:55

  • [환경] '생태 오아시스' 砂丘를 살려라

    [환경] '생태 오아시스' 砂丘를 살려라

    ▶하늘과 바다의 경계를 알 수 없는 곳에 광활하게 펼쳐진 사막과 초원. 생명을 품은 모래 언덕을 이룬 신두리 해안사구의 이국적 풍경이다. [한국 내셔널 트러스트 제공] 건축자재용

    중앙일보

    2004.03.04 17:43

  • [문화노트] 섣부른 '발자국' 발표에 갈팡질팡

    지난 6일 제주도에서 사람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는 발표가 나온 서울 덕수궁 미술관 브리핑실. 내용의 중요성을 감안해 화석 발견자와 함께 문화재청 고위 간부들과 천연기념물분과 위원

    중앙일보

    2004.02.10 17:52

  • [5만년전 제주에 누가 살았나] 발크기 21~25㎝ … 키 165㎝ 추정

    [5만년전 제주에 누가 살았나] 발크기 21~25㎝ … 키 165㎝ 추정

    제주도에서 발견된 화석지대는 흡사 '발자국 박물관'을 연상케 한다.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사람과 동식물의 화석이 이처럼 집단으로 나타난 것은 유례가 없기 때문이다. 이번 발견으로

    중앙일보

    2004.02.06 18:36

  • "달마그림 제대로 그리세요"

    선화가(禪畵家)인 석주(石舟)이종철(李鐘喆.60)씨가 최근 대전시 서구 갈마동에 달마연구원(선화사랑)을 개설했다. 달마연구원(20여평)에서는 李화백이 직접 달마에 대한 이론과 달마

    중앙일보

    2004.02.01 20:24

  • 민통선 철새들 "배고파"

    강원도 철원군 민간인 출입 통제선 지역이 겨울 철새와 이들을 보기 위해 몰려든 탐조객들로 북적대고 있다. 조류독감으로 국내 최대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의 탐조활동이 중단되자 탐조객들

    중앙일보

    2004.01.09 18:32

  • 한반도 상공 수놓은 '겨울 진객' 독수리떼

    한반도 상공 수놓은 '겨울 진객' 독수리떼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보내기 위해 매년 10월 하순부터 몽골 초원에서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겨울 진객' 독수리. 문화재청은 지난달 21~22일 이틀간 독수리수를 전국 동시 조사한 결

    중앙일보

    2004.01.08 17:45

  • 황새 짝짓기 급한데 日서 수컷 못들여와

    "새해고 뭐고 없었죠. 한 마리만 잘못돼도 1996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이 완전 망가질 판인데…." 충북 청원군 한국교원대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의 박시룡 소장은 23마리 황새 중 행

    중앙일보

    2004.01.04 17:53

  • [사람 풍경] 철원 조류보호協 이시우 회장

    [사람 풍경] 철원 조류보호協 이시우 회장

    가을걷이를 끝낸 들녘은 칙칙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오대쌀'로 유명한 강원도 철원평야는 늘 예외다. '한 추위'하는 곳이라 겨울도 빨리 찾아오건만 겨울 빛이 깔리기가 무섭게 오히려

    중앙일보

    2003.12.11 16:01

  • "만장굴 길이 7.4㎞ 세계 최장 아니다"

    '세계 최장' 화산동굴 여부를 놓고 논란을 빚어 온 제주 만장굴(천연기념물 98호)의 실제 길이는 7.4㎞로, 세계 10위권 밖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손인석 제주도동굴연구소장(

    중앙일보

    2003.11.10 20:42

  • '原告 도롱뇽' 인정될까

    도롱뇽이 터널공사를 막기 위한 소송에 나선다. 고속철도 천성산 관통 반대 대책위원회는 13일 경남 양산시 천성산 계곡에 서식하는 도롱뇽을 원고로 내세워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을 상대로

    중앙일보

    2003.10.13 18:12

  • [인사] 법무부 外

    ◇법무부▶법무연수원 교정연수부장 박청효▶대전지방교정청장 강봉학 ◇산업자원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경식 ◇문화재청▶총무과 이원준▶건조물국 문화재정책과 김원기▶문화유산국 매장문화재과 조

    중앙일보

    2003.09.15 17:49

  • 문화재청, 사진·조류 박제 순회전시회

    문화재청(www.ocp.go.kr.042-481-4731)은 사단법인 한국조류보호협회와 함께 8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 광주.경남 하동.충남 서산 등 전국 5개 지역을 돌며

    중앙일보

    2003.07.30 20:56

  • '진돗개 괴담' 심장 사상충 잘 걸려

    진돗개(천연기념물 제53호)의 심장 사상충 감염이 늘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8일 전남 진도군 진돗개시험연구소에 따르면 모기에 의해 주로 개나 고양이에 감염되는 심장

    중앙일보

    2003.07.28 18:25

  • 천연기념물 白松 고사 위기

    충북 보은에는 잘 알려진 정이품송(正二品松.천연기념물 103호) 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또 한그루의 소나무가 있다. 보은읍 어암리 산16에 있는 백송(白松)이 그것이다. 1962

    중앙일보

    2003.07.17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