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렁주렁…「황금」을 거두는 함안 감단지

    마을이 붉게 탄다. 가지마다 찢어질 듯 영근 감이 탐스럽다. 곶감을 빚기 위해 밤새워 칼을 놀리는 아낙네들, 싸리나무를 깎아 감곶이에 끼워 감 타래를 만드는 농부들…. 추수를 끝

    중앙일보

    1978.11.23 00:00

  • 박대통령 선영찾아 성묘…주민과 환담

    박정희 대통령은 20일 경북구미시상모동 향리선영을 찾아 성묘하고 금오산관광「호텔」에서 1박한후 21일 구미시청에 들러 시경보고를 받고 돌아오는 길에 충북 옥천에 있는 빙부·빙모 묘

    중앙일보

    1978.09.22 00:00

  • (85)나무를 심자 식수준비(1)

    산과 들에 파릇한 새순이 돋는 나무심기 철을 맞았다. 정성껏 식목준비를 해 강산을 푸르게 가꿔야겠다. 나무는 올바르게 심어야 무럭무럭 잘 자란다. 조림준비-얼었던 땅이 풀리는 대로

    중앙일보

    1977.03.24 00:00

  • 가난한 고향 마을 일깨워 유실수단지 조성|경북 의성군「상록수교사」신칠원씨의 집념

    경북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국민교 신칠원 교사(46)는 주민들과 학부모들로부터「상록수 교사」로 불리고 있다. 가난한 고향마을을 일깨워 유실수 마을로 만든 것이다. 안동사범을 나와 2

    중앙일보

    1976.11.26 00:00

  • 농촌은 바쁘다

    장마와 함께 본격적인 무더위의 계절. 도회지에서는 「레저」니 「바캉스」니 행락의 꿈에 들뜨게 마련이지만 가뭄속에 모내기 철을 겨우넘긴 농어민들은 바쁜 일손에 쫓겨 쉴새가 없다. 농

    중앙일보

    1976.07.13 00:00

  • 짝잃은 황새 알4개낳아

    【음성=김경렬기자】몰지각한 사냥꾼의 총질에 짝(수놈)을 잃고 충북음성군생극면관성리윤흥우씨(30)집 뒤뜰 1백여년생 감나무에 홀로 서식하고 있는 보호조 어미황새(천연기념물199호)가

    중앙일보

    1974.05.13 00:00

  • (386)근면·자조·협동으로 다진「새마을」3년 소득증대로 살찌는 우리살림

    「근면·자조·협동」의 기치아래 전국의 곳곳에서 새마을 운동이 메아리진지 3년. 산이 깎여 밭이 되고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직선대로가 되고 수백년래의 초가지붕들이 산뜻한 기와집·「슬레

    중앙일보

    1973.12.08 00:00

  • (380)고유한 미각의 상등 과일-곶감

    상강이 지나 찬 서리가 내릴 무렵, 곶감은 사라지는 가을의 마지막 빛을 온몸으로 불사른다. 마치 다가오는 겨울에 반항이라도 하듯. 그러나 사계의 위엄에 짓눌린 가을의 여운은 곶감

    중앙일보

    1973.10.27 00:00

  • (14)전남 금산사→무악산-조필대

    이왕이면 명승지를 포함한 등산이 더욱 좋다. 실은 금산사는 호남선 김제역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수시로 차를 탈수 있는 점에서 전주의 금산사처럼 제목을 내세워봤다. 해가 짧

    중앙일보

    1973.10.10 00:00

  • (13)|고려신사 59대 궁하 고려징웅씨|자랑스런 「귀화인」의 후예들

    고려신사와 승악사 앞 고려천이 흐르는 언저리 좌우에는 옹기종기 구릉지대가 펼쳐져 있다. 약광의 지도로 고구려유민들이 생업으로 삼던 뽕나무밭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 싱그러운 뽕잎이 하

    중앙일보

    1973.09.11 00:00

  • 명산·특산의 고장(1)|고산 곶감

    풍요한 수확을 거두는 계절-. 한해동안 땀 흘려 가꾼 산과 들에서 싱그럽고도 풍성한 보람을 거둔다. 가을의 이름난 명산지뿐만 아니라 요 몇해 사이 새로운 특산단지로 성장한 수확의

    중앙일보

    1972.11.06 00:00

  • 단양군 영춘면 수해현장 르포|토사더미… 흔적 잃은 한 마을 1백70호|단양 수해현장=김재봉·조원환·이을윤 기자>

    탁류에 휘말려 고립됐던 단양군 일대에 대한 집중적인 구호가 지난 26일부터 진행되고 있으나 남한강 물길이 할퀸 상처는 좀처럼 아물지 않는다. 현지 주민들에 의하면 지난 20일부터

    중앙일보

    1972.08.28 00:00

  • 표준사업별로 그 현장을 가다|전남 화순군 남면 절산리

    장마때면 1년에도 으레 서너차례씩 물난리를 치르던 전남화순군남면절산리. 지금은 새마을사업으로 마을 앞 냇가에 제방을 쌓아 이제 큰 걱정을 덜게됐다. 절산리는 화순읍에서 동남쪽으로

    중앙일보

    1972.04.04 00:00

  • (2) 표준 사업별로 본 우수 마을 그 현장을 가다|주택 환경 개선|양주군 화도면 묵현리

    서울에서 경춘가도를 33km쯤 달려 마치 고개에 오르면 북쪽 천마산 기슭에 초가가 옹기종기 자리잡은 마을이 한눈에 들어온다.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 묵현리 시범 취락 건설 부락으로

    중앙일보

    1972.03.23 00:00

  • 농촌에 시범부락 건설

    내무부는 8일 농촌부락의 근대화를 위한 시범취락(중낙) 건설 4개년 계획을 마련, 1차 연도인 올해에는 2억6천만 원의 예산으로 전북 김제군 금산면 용호리 용반부락 등 10개 부락

    중앙일보

    1972.03.08 00:00

  • 〈미각풍류〉(14) 임실수시

    마을 앞 감나무는 몇 백년이 되었을까? 두 어 아름이나 되는 나무등걸, 해가 바뀔수록 속은 비어 가지마다 앙상하다. 그래도 그 끝에 매달린 신록의 무리에는 감꽃이 새롭다. 임실군

    중앙일보

    1966.06.18 00:00

  • (7)-고산곶감

    경기도 이남의 어느 마을에 가든지 이 감나무 없는 곳은 거의 없다. 그 중에서 고산 곶감은 예로부터 이름이 높다. 고산 곶감의 주산지는 완주군 동상면 일대인데 「고산곶감」으로 이름

    중앙일보

    1966.04.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