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포커스] 김정은·푸틴 회담의 다섯 가지 시사점
마이클 그린 호주 시드니대 미국학센터 소장·미 CSIS 키신저 석좌 성대하게 환대받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은 우크라이나와 동북아 평화 및 안정을 저해하는 사건이다
-
푸틴, 포탄 좀 얻자고…자신들이 만든 유엔헌장·NPT 뒤흔든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4년 5개월 만에 다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유엔
-
"로켓 추력은?" 김정은 질문하며 열공…푸틴 "北위성 돕겠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 정상회담을 통해 국제안보 질서를 위협할 수 있는 군사 협력을 현실화했다. 푸틴은 이날 정상회담이 열린 러시아
-
국뽕 영화 본 중국군 기막혔다, 시진핑 “정의의 전쟁”의 궤변 유료 전용
「 제3부: 시진핑의 중국 어디로 가나 」 ━ 제6장: 시진핑은 왜 6·25 전쟁을 “정의의 전쟁”이라 말하나 한국 전선으로 향하는 중국군이 군악대의 연주 속에 압록강을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독립 첫 선언…일본이 점령한 동남아는 왜 빠졌나
━ 카이로선언 80주년을 맞으며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올해 역사학계와 정치학계의 화두는 정전협정 70주년, 한미동맹 70주년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계속되
-
[아이랑GO] 160여 년 732만 재외동포 발자취로 한눈에 보는 한국 근현대사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이번
-
[소년중앙]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인 이유, 지리·역사·국제법적으로 풀어볼까요
“독도는 우리 땅~!” 어릴 때부터 많이 듣고 많이 부른 노래의 후렴구로 글자만 봐도 절로 흥얼거리게 되는 가사죠. 동해의 화산섬 독도는 우리나라 동쪽 끝에 있어 가장 먼저 해가
-
[월간중앙] 특별 인터뷰 | 라종일 교수가 분석한 ‘한국전쟁의 비밀스러운 구조’
━ [특별 인터뷰] 라종일 교수가 분석한 ‘한국전쟁의 비밀스러운 구조’ ━ ‘양안(兩岸)(중국·대만) 긴장’은 6·25 기획한 스탈린 유산 ■“스탈린, 강대국 부상
-
'항미원조' 띄우는 중국 “조선 전장 달려가자” [신경진의 차이나는 차이나]
신경진 베이징총국장 지난 15일 단둥(丹東)시에서 북한 신의주가 내려다보이는 잉화산(英華山)을 올랐다. 정상에 덩샤오핑(鄧小平) 필체로 ‘항미원조(抗美援朝, 미국에 대항해 북
-
김여정, 美·유엔 싸잡아 비난…"우리 건드린 대가 가볍지 않아"
지난해 8월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공개 연설을 통해 "남측에 의해 코로나가 유입됐다"고 주장하며 강력한 보복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
"문제는 '北 베팅' 시진핑"…박철언 전 장관이 본 '중국의 착각' [월간중앙]
━ [긴급 인터뷰] 한·중 수교 주역 박철언 전 장관 “문제는 북한에 ‘베팅’하는 시진핑” ■“덩샤오핑의 겸허함 상실한 중국 지도부, 세계 리더 자격 의심 받아”
-
[강혜명의 파시오네] 예술로 다시 일어서는 제주
강혜명 성악가·소프라노 6월 초여름에 접어들었다. 이달 제주에서는 평화와 예술을 되돌아보는 국제 규모의 행사가 잇따라 열렸다. 올해 18회를 맞이한 제주포럼(5월 31일~6월 2
-
우크라 접경 러 본토 동시다발 공격…푸틴 "모든 것 다해 막아야"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댄 러시아 본토를 향한 공격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인 사상자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러시아 남서부 벨고로드주 셰베키노 마을에
-
국·공내전 연전연패 장제스 “공비들보다 우리가 10배 앞서”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77〉 항일전쟁시절 중공근거지 옌안 가는 길은 험했다. 웨이리황의 옌안 방문은 마오에게 감동을 주기 충분했다. 임지로 돌아온
-
김여정, '北 정권 종말' 언급 바이든에 "늙은이 망언" 막말 비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해 8월에 열린 비상방역총화회의에서 토론자로 나서 연설하는 모습.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9일 입장문을 내고 지난 26일 한·미 정상이
-
[LIVE] 방미 귀국 尹, "한미동맹은 미래에 넘길 값진 유산"...바이든 "공통의 신념"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5박 7일간의 방미 일정을 위해 24일 출국, 30일 귀국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번 국빈 방문은 한국 대통령으로선
-
윤 대통령 “대량학살 땐…” 우크라 무기지원 시사
윤석열 대통령은 러시아 침공으로 시작한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만약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라든지, 국제사회에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이라든지 전쟁법을 중대하게
-
尹 "초고성능 무기 개발 중…우크라, 인도 지원만 고집 어렵다"
윤석열 대통령은 19일 커지는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확장억제도 있지만 초고성능, 고위력 무기들을 개발해서 준비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영국 로
-
尹 "민간인 대규모 공격땐 우크라 인도 지원에만 머물수 없어"
윤석열 대통령.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련해 "만약에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라든지, 국제사회에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이라든지, 전
-
[시론] 한·일 관계, 미국이 움직여야 뚫린다
이창위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 지 한 달이 지났지만 한·일 관계 개선은 당초 기대에 못 미친다. 윤 대통령은
-
尹, 美상하원 연설 초청에 "한미동맹 70주년…역사적 연설 기뻐"
윤석열 대통령이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으로부터 국빈 방미 시 의회 연설을 공식 요청받았다고 5일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
-
美 "러 핵상황 감시 중"…푸틴 빗댄 '핵공유' 나토는 반박했다
미국이 러시아의 전술핵무기 벨라루스 배치와 관련한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핵무기를 사용하면 중대한 선을 넘는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재차 경고에 나섰다. 전날 블라디미르 푸틴
-
[소년중앙] 1902년 첫 공식 이민부터 123개국 732만 명…사는 땅·국적 달라도 한민족
빈곤·사회불안 피해 나라 떠나도 '한국인' 재외동포 발자취에 어린 아픈 근현대사 외교부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재외동포 수는 약 732만 명(2021년 기준)에 이릅니다
-
바이든 노선 따라서 우크라 갔다…G7 존재감 키우는 기시다
우크라이나와 폴란드를 전격 방문하고 23일 귀국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하루라도 빨리 끝낼 수 있도록 일본이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