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함께 사는 세상|박갑성 교수

    주위의 한사람이 심한 화상으로 불행한 일을 당했다. 다리의 상처가 깊어 가는 것을 그대로 두었다가 목숨까지 잃느니 차라리 다리를 절단해버리고 생명을 건지는 일이 옳다고 생각되어 수

    중앙일보

    1977.01.29 00:00

  • 공해 속의 동물원

    「비닐」주머니·담배「필터」·「볼펜」껍질·유리조각·쇠못·「크레용」·담뱃갑·「플라스틱」장난감·「콜라」병마개·껌 껍질·신발 한짝·자갈·양말 한짝·「비닐」우산…. 지금 쓰레기통을 뒤지고

    중앙일보

    1976.06.29 00:00

  • 국토 넓히기의 실천⑦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 바다의 개척은 바로 국토를 넓히는 길이고 바다의 이용은 식량부족을 타개하는 첩경이다. 예부터 우리의 바다 개척은 자연생성 된 어패류를 잡는 「잡는 어

    중앙일보

    1976.04.22 00:00

  • 식량수급 전망과 해결방향|김동희씨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지난15년 동안 90% 수준에서 70%선으로 크게 떨어졌으며 그 동안 밀과 옥수수 등 수입량이 3백만t에 이르렀다. 이 결과 식생활「패턴」은 분식이 늘고 축산물

    중앙일보

    1975.11.28 00:00

  • 야생 동·식물의 낙원 오대산

    소금강으로 불려 온 오대산(해발1, 563m)이 덕유산과 함께 지난1일 건설부에 의해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훌륭한 관광자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설악산에 눌려 빛을 보지 못한 오대

    중앙일보

    1975.03.06 00:00

  • 정유공장에 대한 공해배상판결

    서울 민사지법 합의11부가 호남정유회사에 대하여 3억8천만원의 공해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것은 우리 나라 공해재판사상 획기적인 판례다. 정유공장에 의한 연안오염피해에 대한 첫

    중앙일보

    1975.02.10 00:00

  • (412)관악 기슭에 지성과 낭만의 새 터전|서울대학교 종합 캠퍼스

    서울대학교 관악 새 「캠퍼스」가 오는 20일 문을 열어 영재 교육의 새로운 터전이 된다. 1926년 경성 제대로 문을 연 동숭동 「캠퍼스」는 50년의 역사와 「마로니에」를 낙산

    중앙일보

    1975.01.18 00:00

  • (373)다람쥐 수출대열에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인간의 심리는 야생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통해서일까?. 꿩·사슴 등 야생동물을 사육하고 꿩박 제품 같은 것은 날개가 돋친 듯 팔려나간다. 여기에 한 몫 끼는

    중앙일보

    1973.09.08 00:00

  • 꿈의 동산 어린이대공원 ㅇ토 안내|18개노선 버스운항 … 번호 500이상

    어린이들의 꿈의동산「어린이대공원」의 문이 5일 활짝 열렸다. 정문에 들어서면서부터 갖가지 놀이터를 골고루 구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3시간. 서울시는 어린이 대공원 이용객을 위해

    중앙일보

    1973.05.05 00:00

  • (355)새싹들의 푸른 꿈이 나래 펼 「동심의 궁전」 어린이 대공원

    내일의 새싹들이 높고 푸른 꿈의 나래(날개)를 마음껏 펼 「어린이대공원」이 오는 5월5일 「어린이날」에 문을 연다. 오랫동안 서울 「컨트리·클럽」으로 다듬고 가꾸어진 넓고 고운

    중앙일보

    1973.04.21 00:00

  • "위인들의 동상 세우고 이름난 고목 옮겨 보호"

    김종필 국무총리는 19일하오 성동구능동 어린이대공원공사장을 시찰, 계탁식 서울시장으로부터 공사현황을 보고 받았다. 김 총리는 이날『새싹들에게 꿈의 터전이 마련되도록 대공원안에 어린

    중앙일보

    1973.02.20 00:00

  • 사업별로 본 '73 시정|공원

    서울시의 올해 공원사업비는 6억9천92만3천원. 이중 6억1천4백69만4천원으로 어린이대공원을 비롯한 8개공원과 31개어린이 놀이터를 보수· 정비하고 5개 어린이놀이터를 신설한다.

    중앙일보

    1973.01.10 00:00

  • 푸른 동심이 나래 펼 꿈의 궁전|어린이 대공원의「마스터·플랜」을 본다

    서울 성동구 능동 산3의2 소재 전 서울「컨트리·클럽」자리 12만6천평에「어린이대공원」의 설립계획을 확정한 서울시는 9개 부문 55개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작업에 들어갔다.

    중앙일보

    1972.11.02 00:00

  • 백만 어린이의 『자연교실』

    서울시가 1일 건설계획을 확정 발표한 어린이대공원은 시내 80만 국교 생들과 1백만 어린이는 물론 전국어린이들이 이용할 건전한 놀이터이자 자연교실로서 자못 의의가 크다. 성동구 능

    중앙일보

    1972.11.01 00:00

  • 존폐의 기로에 선 홍릉 임업시험장

    국내 최대의 식물원인 서울 청량리 소재 임업시험장이 정부의 과학「센터」건립계획으로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지난 14일 과학기술처장관이 산림청장에게 보낸 임업시험장의 관리이관요청 공

    중앙일보

    1971.01.28 00:00

  • 동굴속의 『퍼스트·레이디』

    대통령 부인 육영수여사는 지난10일 한국동굴협회 탐험대원들의 안내를 받아 강원도 삼척군 도계면 대이리에있는 관음굴이라는 동굴을 탐험했다. 연락이 깁작스러웠고「헬러곱터」의 좌석이 제

    중앙일보

    1969.05.17 00:00

  • (106) 새아침의 꽃사슴|희망을 찾아‥‥

    어디서 무슨 소리가 들릴까. 사슴들은 쫑긋 귀를 새운다. 새 순처럼 귀엽다. 눈마다 반짝인다. 둥실 해가 솟는다. 경이로운 눈빛으로 그들은 아침을 맞는다. 솔바람이 파도소리처럼 밀

    중앙일보

    1968.01.06 00:00

  • 버려 둔 천고의 신비|한국의 동굴|일의 다각도 이용과는 대조적

    우리의 동굴을 더 잘 알기 위하여 일본과 중국의 동굴을 알아야하는 것은 한반도가 육교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지사가 동굴사와 형태와 내부의 생물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중앙일보

    1967.05.17 00:00

  • 버려 둔 천고의 신비|한국의 동굴|일의 다각도 이용과는 대조적

    우리의 동굴을 더 잘 알기 위하여 일본과 중국의 동굴을 알아야하는 것은 한반도가 육교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지사가 동굴사와 형태와 내부의 생물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중앙일보

    1967.05.11 00:00

  • 시설「제로」지대/이어린이들에게 밝은 내일을

    남산꼬마사건을 해결하고 난 경찰은 조양을 신병인수중 한 장으로 아동보호소에 넘기고 손을 툭톡털어 버렸다. 경찰로서는 더할일이 없다는둣이. 조양은 35명의 미아 기아 고아 부랑아가

    중앙일보

    1966.06.03 00:00

  • 과학적으로 본 산림 보호

    독일 삼림학의 석학 「막스·로버트·프레스러」는『경제림이란 자연의 값싼 선물인 원시림이 아니다. 그것은 자본과 노동력의 결정체이다』라고 말한 일이 있다. 이러한 지도자의 말을 좇아

    중앙일보

    1966.04.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