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흐름 읽기] 동양의 재발견 … 그곳엔 인간의 품격 완성하는 보석, 인문주의가 있다

    [흐름 읽기] 동양의 재발견 … 그곳엔 인간의 품격 완성하는 보석, 인문주의가 있다

    중국의 품격 러우위리에 지음 황종원 옮김, 에버리치홀딩스 367쪽, 1만8000원 “전통론자들이 알아야 할 것이 있다. 근대화는 전통의 기억을 지운 원형이지만, 그 기억을 되살리

    중앙일보

    2011.03.12 00:29

  • [행복한책읽기Review] 격언·속담으로 배우는 십이지 동물의 ‘열두 가지 지혜’

    [행복한책읽기Review] 격언·속담으로 배우는 십이지 동물의 ‘열두 가지 지혜’

    십이지 이야기 모로하시 데쓰지 지음 최수빈 옮김, 바오 336쪽, 1만6000원 깊이와 재미를 함께 갖추기 어렵다. 대부분의 책이 그렇다. 진지하다 싶으면 딱딱하고 술술 읽히면 남

    중앙일보

    2009.01.03 00:52

  • [도올 고함(孤喊)] 미션 임파서블 『한한대사전』

    [도올 고함(孤喊)] 미션 임파서블 『한한대사전』

    껍데기는 가라4월도 알맹이만 남고껍데기는 가라…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껍데기는 가라…껍데기는 가라한라에서 백두까지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항상 가슴을

    중앙일보

    2008.12.24 01:46

  • “사전 지적소유권, 사회와 공유 가능”

    “사전 지적소유권, 사회와 공유 가능”

    세계 최대 한자사전(16권)의 완간을 이끈 장충식 단국대 명예총장은 “사전은 민족을 대표하는 사업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단국대는 28일 『한한대사전』 완간 출판 기념회를

    중앙일보

    2008.10.24 01:27

  • 단국대, 세계 최대 한자사전 30년 만에 완간

    단국대, 세계 최대 한자사전 30년 만에 완간

    세계 최대 규모의 한자사전이 국내에서 완간된다.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소장 윤내현)가 1978년 8월 시작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편찬 사업이 30년 만에 마침표를 찍는다.

    중앙일보

    2008.10.02 16:11

  • 동양학 주요 용어 10만개 총정리

    동양학 주요 용어 10만개 총정리

    청주대 한문교육과의 임종욱(44.사진) 교수가 '동양학 대사전'(경인문화사.전4권.권당 12만원)을 펴냈다. 동아시아 한자문명권의 옛 문헌(문학.역사.철학.종교 방면)에 나오는

    중앙일보

    2006.06.06 20:50

  • 중국 고전의 숲서 건진 명언 4800개

    중국 고전의 숲서 건진 명언 4800개

    일본이 자랑하는 동양학 연구자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1883~1982)가 펴낸 '중국 고전 명언 사전(事典)'(김동민.원용준 옮김, 솔출판사, 6만8000원)이 번역 출간됐다

    중앙일보

    2004.06.02 18:09

  • [사람 사람] 춘천 전인계발연구센터 양현수 연구원

    "사전은 모든 학문의 길라잡이죠. 또 한 나라의 문화와 출판 역량의 결정체이기도 합니다." 세계 각국의 어학 및 백과사전과 각종 교양도서 2천5백여권을 전시하고 있는 춘천 전인계발

    중앙일보

    2003.11.24 17:45

  • [기획] '공자 노자 석가(개역본)'

    공자 노자 석가(개역본)/모로하시 데쓰지 지음/심우성 올김, 동아시아, 1만2천원 '공자 노자 석가' 초판이 나온 한달여 뒤 출판사 측은 웬 낯선 소포더미를 받았다. 보낸이는 부산

    중앙일보

    2003.01.17 16:40

  • 노학자의 동양학 입문서 '공자·노자·석가'

    신간의 소개에 앞서 저자 모로하시 데쓰지(1883~1982)의 평생의 역작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전은 한국은 물론 동양학의 원조인 중국에서도

    중앙일보

    2001.02.10 11:03

  • [신간 리뷰] '공자 노자 석가'

    신간의 소개에 앞서 저자 모로하시 데쓰지(1883~1982)의 평생의 역작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전은 한국은 물론 동양학의 원조인 중국에서도

    중앙일보

    2001.02.10 00:00

  • [분수대] 한몽사전

    "지난해에 나는 큰 일 한가지를 저질렀다. 말로만 듣고 벼르던 모로하시 데쓰지의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을 뒤늦게 들여놓은 것이다. 책값이 금강산 구경을 몇차례 다녀올 만한 거액이었

    중앙일보

    2000.09.17 00:00

  • 세계 최대규모 한자사전 발간한 단국대 김상배 소장

    세계 최대 규모의 한자사전이 국내에서 발간됐다.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소장 金相培)가 지난 77년 편찬사업에 돌입, 권당 1천3백쪽짜리 15권 전질로 2006년 완간할 '한한대사전

    중앙일보

    1999.04.16 00:00

  • '쇠뿔'은 '소의뿔'로 보는 것이 타당

    2월13일자 독자페이지 송옥란씨의'쇠뿔도 단김에 뽑는다'는 속담에 관한 글을 재미있게 읽었다.“위 속담의 '쇠'는 대장간에서 쇠를 달구는 작업에서 비롯되었으므로'쇠(금)'로 보는

    중앙일보

    1997.02.20 00:00

  • 일왕 「통석의 염」 해석 구구/일왕 사죄문안 어떤 뜻인가

    ◎일어로 “매우 애석” 뉘앙스 큰 차/한국요구 거세 그나마 얻은셈/일왕 『우리나라(일본)에 의해 초래된 이 불행했던 시기에 귀국 국민들이 겪었던 고통을 생각하고 본인은 통석의 염을

    중앙일보

    1990.05.25 00:00

  • 「건달」 안중근

    「장사」는 똑같은 한자라도 현해탄을 사이에 두고 뜻이 다르다. 우리말은 「장사」라면 기개와 체격이 우람한 역사를 말한다. 『장사 나면 용마 난다』는 속담도 있다. 그러나 일본에선

    중앙일보

    1986.06.07 00:00

  • 조선조와 식민시대의 「언론」

    |언론의 최근 「개폐」국가의 흥망좌우 "모두좋다" 식배격…직언·중의 대변|「순지거부」정신 이어받아야> 목정균교수는 「조선 중종조제도언론」 을 연구함으로써 풍미하는 서구이론의 와증에

    중앙일보

    1985.04.01 00:00

  • 『계림유사』명초본으로 전면 새 해석-8년 동안 대만서 고려어 연구하고 온 진태하 교수

    고려 때의 우리나라 말을 해명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인 『계림유사』의 명초본이 발견됨과 동시에 옛 음운의 연구가 이루어져 이제까지 반세기에 걸쳐 연구돼온 그 풀이와 음운표기를 전면적

    중앙일보

    1975.01.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