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부고] 김태정씨 外

    ▶김태정씨(한국야생화연구소장) 별세, 유영자씨 남편상, 김윤경·진경씨 부친상, 서성헌·김성환씨 장인상=16일 서울대병원, 발인 19일, 2072-2016   ▶박규일씨(학교법인

    중앙선데이

    2021.06.19 00:20

  • Special Knowledge 자녀 생태교육 어떻게할까

    Special Knowledge 자녀 생태교육 어떻게할까

    한국계 미국인 조너선 리(12)는 세계적인 환경 영웅입니다. 열 살 때 직접 그려 인터넷에 올린 환경과학 판타지 동화 『고그린맨(친환경맨)』으로 두 달 만에 방문객 10만 명을 불

    중앙일보

    2009.10.16 00:08

  • 58일 만에 공개한 김정일 사진 촬영 언제?

    58일 만에 공개한 김정일 사진 촬영 언제?

    북한은 11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 인민군 제821부대 산하 여성포중대를 시찰하는 사진을 공개했다. 김태정 한국야생화 연구소장 등 전문가들은 “사진 왼쪽의 족제비싸리나무의 잎으

    중앙일보

    2008.10.13 03:14

  • 대한민국 구석구석 생물학자 김태정의 금대봉 야생화

    대한민국 구석구석 생물학자 김태정의 금대봉 야생화

    태백고원을 대표하는 금대봉(1418m)은 천상의 화원이다. 함백산을 비롯해 태백산, 소백산, 응봉산, 대덕산, 청옥산, 백운산 등 백두대간 준령이 겹겹이 이어지는 태백고원은 5월

    중앙일보

    2008.05.22 15:38

  • [독도 그 섬엔…] 4. 우리 땅, 우리 꽃

    [독도 그 섬엔…] 4. 우리 땅, 우리 꽃

    독도 생태조사에서 가장 반가웠던 식물은 섬괴불나무였다. 1900년대 초 우리 식물 1000여 종에 이름을 붙이고 계통을 세운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는 섬괴불나무를 한국 울릉도에서만

    중앙일보

    2005.06.11 04:46

  • [독도 그 섬엔…] 3. 해양자원의 보고

    [독도 그 섬엔…] 3. 해양자원의 보고

    독도는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섬이다. 바닷속을 보면 겉모습을 무색하게 하는 또 다른 웅장함과 풍요로움이 있다. 바닷속 역시 물 위로 드러난 모습과 비슷하게 서도가 동도에

    중앙일보

    2005.06.10 05:35

  •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독도 그 섬엔…] 2. 새들의 고향

    ▶ 43년 만에 독도에서 발견된 한국뜸부기. 먼거리 이동으로 탈진한 이 새는 안타깝게도 사체로 발견됐다. 독도는 결코 외롭지 않다. 육지에서 200여km 떨어진 섬이지만 매년 반가

    중앙일보

    2005.06.09 05:23

  • [독도 그 섬엔…] 1. 풍광이 천연기념물

    [독도 그 섬엔…] 1. 풍광이 천연기념물

    독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작은 돌섬이다. 크기도 5만5000여 평에 불과하고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인간적'인 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중앙일보

    2005.06.08 05:42

  • 붉은머리멧새 등 조류 37종 독도서 첫 발견

    붉은머리멧새 등 조류 37종 독도서 첫 발견

    ▶ 독도 환경탐사대 해양탐사대원이 서도 앞바다에서 바닷속 생태계를 살피고 있다. 왼쪽 섬이 서도이고 오른쪽은 삼형제바위다. 독도특별취재팀 붉은머리멧새.북방쇠찌르레기 등 독도에서 3

    중앙일보

    2005.06.07 05:08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금강변 갈대밭

    세상사람들에게는 긴가민가한 아슴츠레한 기억들이 있다고 한다.꿈에서 보았는지 아니면 전생(前生) 에서나 보았을 듯한 환상(幻想) 같은 신비한 영상.알고 보면 대부분의 경우 그것이 아

    중앙일보

    2001.03.02 12:35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금강변 갈대밭

    세상사람들에게는 긴가민가한 아슴츠레한 기억들이 있다고 한다.꿈에서 보았는지 아니면 전생(前生)에서나 보았을 듯한 환상(幻想)같은 신비한 영상.알고 보면 대부분의 경우 그것이 아주

    중앙일보

    2001.02.28 00:00

  • 꽃말ㆍ전설 곁들인 친근한 도감

    꽃이 병아리처럼 귀엽다고 해서 병아리꽃이라고 부르는 제비꽃. '가장 먼저 봄 소식을 전해주는 전령사로 ' '나를 생각해주오' 란 예쁜 꽃말을 갖고 있다. 가련함.순진함을 상징하는

    중앙일보

    2000.06.23 10:17

  • [스테디셀러 다시보기] '…우리 꽃 백가지'

    꽃이 병아리처럼 귀엽다고 해서 병아리꽃이라고 부르는 제비꽃. '가장 먼저 봄 소식을 전해주는 전령사로 ' '나를 생각해주오' 란 예쁜 꽃말을 갖고 있다. 가련함.순진함을 상징하는

    중앙일보

    2000.06.23 00:00

  • 정규프로사이 짧게 방영 필러프로 상큼한 반응

    시간은 짧지만 효과는 만점. 필러 (Filler) 프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영어로는 '채운다' 는 뜻. 정규 프로 사이에 나가는 징검다리 프로다. 방영시간은 대개 1~5분 정도.

    중앙일보

    1999.05.21 00:00

  • 우리 꽃.숲 현장 식물도감 - '한국의 야생화' 12권 '숲으로 가는길'등 출간

    아파트 화단의 함빡 핀 목련과 하루가 다르게 파릇해지는 잔디.화창한 햇살과 촉촉한 비가 푸름을 더해주는 봄기운을 타고 풀과 나무를 주제로 한 책들이 잇따라 출간되고 있다. 한국야생

    중앙일보

    1997.04.11 00:00

  • 산을 노래한 시집"山吟歌"제3권발간 김은남 시인

    산을 노래한 시집 『산음가(山吟歌)』 제3권을 최근 발간한 金殷男(53)씨는 별난 시인이다.그는 매주 이 땅의 높고 낮은산을 오르면서 자신의 느낌을 시로 남긴다.조흥은행 본점 업무

    중앙일보

    1996.03.29 00:00

  • '깃대 種 살리기' 운동 자문위원단 발족

    중앙일보와 배달녹색연합이 벌이고 있는「깃대 종 살리기」 운동을 전문적.학술적.구체적으로 뒷받침하고 지원해 줄 자문위원단이발족됐습니다. 대학교수와 생태계 연구.보호및 문화인류학의 권

    중앙일보

    1996.03.18 00:00

  • 백두산경치와 꽃 종류 원색화보|『백두산의 우리 꽃』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시리스 중 네 번째로『우리 꽃 백가지』.『우민나비 백가지』『우리 태양계』에 이어 나왔다. 백두산에 피는 꽃 2백32종 전부와 산의 경치에 대한 1백76쪽의

    중앙일보

    1993.05.02 00:00

  • 야생화연구 집념과 역경 담아

    한국 야생화연구소소장이며 야생화연구회회장인 저자의 자전적 수필집. 감자깡 CM송, 영화음악 『전선의 밤』등의 작곡가로 활약했던 저자가 20년 노력 끝에 야생화 연구가로 이름을 얻기

    중앙일보

    1992.02.27 00:00

  • 국교중퇴가 야생화박사로-한국 야생화연구소 김태정 소장

    한국 야생화연구소의 김태정 소장(50)은 우리나라 야생식물연구의 독보적 존재로 꼽힌다. 지난 20년간 휴전선과 섬 지방을 포함해 남한의 모든 지역을 샅샅이 탐사해온 그의 머리 속에

    중앙일보

    1992.02.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