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차기 지도자, 사드 도입 찬성한다면 중국 잠재울 '역사적 사드' 제시해야"

    "차기 지도자, 사드 도입 찬성한다면 중국 잠재울 '역사적 사드' 제시해야"

    장편소설 『강화도』를 출간하며 소설가로 데뷔한 서울대 사회학과 송호근 교수. 5일 출간간담회 모습. [사진 나남]  1978년 이맘때, 서울대 사회학과 4학년생이던 송호근은 국문

    중앙일보

    2017.04.05 18:33

  • 기차여행족 “강진이 남도답사 1번지”

    기차여행족 “강진이 남도답사 1번지”

    ‘내일러’들이 강진 석문공원 구름다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3일 용산역에서 ‘2017 강진 방문의 해’를 홍보한 뒤 강진 투어에 참여했다. [사진 강진군]“남도답

    중앙일보

    2017.02.15 01:16

  • [부고] 노동수씨 外

    ▶노동수씨(전 광명특수인쇄 대표이사 사장) 별세, 노신영씨(롯데그룹 총괄고문·전 국무총리) 아들상, 노경수(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철수씨(아미커스그룹 회장) 동생상, 정숙영(가교

    중앙일보

    2017.02.13 01:00

  • 시흥, 텅 빈 부지 흉물 방치

    시흥, 텅 빈 부지 흉물 방치

     ━ 대학 이전 홍역 현장 가보니 서울대 시흥캠퍼스가 들어설 경기도 시흥의 배곧신도시 예정부지 전경. 왼쪽 원 안은 서울대 캠퍼스, 오른쪽은 서울대병원 부지. 이전이 지연되면서 부

    중앙일보

    2017.02.10 01:16

  • [사랑방]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外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은 14일 오후 4시 서울 평창30길 가나아트센터 아카데미홀에서 ‘혜곡 최순우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전-조선공예의 아름다움’ 연계 행사로 ‘전시품의

    중앙일보

    2017.01.13 01:05

  • [사랑방] 삼성꿈장학재단 外

    ◆삼성꿈장학재단(이사장 송석구)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념식 및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삼성그룹이 2006년 세운 이 재단은 지난 10년간 총 2955억

    중앙일보

    2016.10.14 00:59

  • 먼지 한 톨 없는 안정효 책장부터 시간 멈춘 김열규 서재까지

    먼지 한 톨 없는 안정효 책장부터 시간 멈춘 김열규 서재까지

    책장은 사진작가 임수식(42)씨가 10년을 따라다닌 피사체다. 2007년부터 370여 명의 책장을 찍었고, 그 중 150여 점을 책장 사진 연작 ‘책가도’ 로 만들었다. 그동안 국

    중앙일보

    2016.08.16 01:34

  •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外

    ◆문화체육관광부▶체육실장 김재원▶관광정책실 관광정책관 김태훈▶〃 국제관광정책관 이우성▶해외문화홍보원장 김갑수▶관광정책관실 관광정책과장 강정원▶〃 관광산업과장 강석원▶〃 관광개발과장

    중앙일보

    2016.04.06 01:47

  • 팔순의 김윤식 “지금도 하루 4~5시간 읽고 쓴다”

    팔순의 김윤식 “지금도 하루 4~5시간 읽고 쓴다”

    올해 팔순인 원로 문학평론가 김윤식 서울대 명예 교수. 140권이 넘는 단행본, 공저·번역서까지 합치면 200권 가량의 책을 썼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선생이 읽지 않은 소설은

    중앙일보

    2015.11.06 01:34

  • 남의 글 비평만 250권 … 이제 내 글, 나를 위해 쓰고 싶다

    남의 글 비평만 250권 … 이제 내 글, 나를 위해 쓰고 싶다

    서울 이촌로 자택 서재의 김윤식씨. 김씨는 책상에 조그만 변화도 용납하지 않을 만큼 집중력 있게 작업하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신문지를 전등갓 삼아 씌운 이유도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중앙일보

    2014.10.27 00:33

  • [사랑방] 제45회 전국교육자료전 外

    ◆이승휴 선생의 정신을 기리는 ‘제36회 이승휴 제왕운기 문화제’를 맞아 3일 강원 삼척시 미로면 천은사에서 동안 이승휴 선생 추모 제714주기 동안대제가 열렸다. 동안이승휴사상선

    중앙일보

    2014.10.06 00:38

  • 진성규·신봉승·김윤식·푸르메재단 … 이승휴문화상 첫 수상 영예

    진성규·신봉승·김윤식·푸르메재단 … 이승휴문화상 첫 수상 영예

    고려시대의 역사가·문학가·외교관·관료로 활동했던 동안 이승휴(1224~1300) 선생의 정신을 널리 알리기 위해 삼척시의 지원을 받아 제정한 이승휴문화상의 제1회 수상자가 나왔다.

    중앙일보

    2014.09.16 01:08

  • [직격 인터뷰] 송호근 묻고 김용구 답하다

    [직격 인터뷰] 송호근 묻고 김용구 답하다

    김용구 한림과학원장(오른쪽)은 OECD 국가 중 외교문서를 발간 않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19세기 이후 우리 정신세계가 ‘변경(邊境) 사고’에 머물러 있기 때

    중앙일보

    2014.06.18 00:21

  • [6·4 지방선거] 3952명 선출 … 투표 용지 7장에 7번 투표합니다

    [6·4 지방선거] 3952명 선출 … 투표 용지 7장에 7번 투표합니다

    <표 보는 법> ◆ 후보자 표기는 중앙선관위서 제공한 순서. ◆ 투표용지는 모두 7장입니다.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교육감, 광역의원, 기초의원, 광역비례대표의원, 기초비례대표

    중앙일보

    2014.05.17 02:21

  • 김현의 날 선 비판, 나에 대한 애정이 아닐까

    김현의 날 선 비판, 나에 대한 애정이 아닐까

    라이벌-. 애증이 엇갈리는 묘한 관계다. 일합을 겨룰 수 있을 만큼 강력한 라이벌은 부담스럽긴 해도 스스로를 성장하게 하는 동력이 된다. 한국문학도 수많은 작가와 학자들의 라이벌

    중앙일보

    2013.09.05 00:23

  • 꽁꽁 박힌 못, 내 시로 뽑아봐야죠

    꽁꽁 박힌 못, 내 시로 뽑아봐야죠

    시인 김종철은 신작 시집 『못의 사회학』에서 거멀못·무두정·족임질못 등 다양한 못에 대한 작품을 실었다. 그는 “사람마다 개성이 다르듯, 못은 생김새와 쓰임이 제각각이다. 우리의

    중앙일보

    2013.03.04 00:38

  • “박완서는 경이로움 그 자체” 평론가 김윤식의 각별한 추억

    “박완서는 경이로움 그 자체” 평론가 김윤식의 각별한 추억

    고(故) 박완서 작가와 문학평론가 김윤식 교수는 좋은 길동무였다. 1994년 동료 문인들과 함께 중국 여행에 나선 두 사람이 구이린(桂林) 시내의 동굴에서 함께한 모습. [사진 문

    중앙일보

    2013.01.22 00:07

  • [인사] 중앙일보 보임 [편집국] 섹션&디자인부장 안충기 外

    중앙일보 ◆보임 [편집국] ▶섹션&디자인부장 안충기 ▶편집부장 임흥택 ▶키즈팀장(겸 논설위원) 강홍준 ▶메트로G팀장 안혜리 ▶Magazine M팀장 이후남 [기획조정 담당] ▶커뮤

    중앙일보

    2012.12.31 00:08

  • [권근영의 그림 속 얼굴] 창공의 별

    [권근영의 그림 속 얼굴] 창공의 별

    최재은, Finitude, 8시간, 비디오 설치, 2012 [사진 국제갤러리] “별이 총총한 하늘이 갈 수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들의 지도인 시대, 별빛이 그 길들을 훤히 밝혀주

    중앙일보

    2012.11.08 00:05

  • [책과 지식] 이광수를 다시 만난 곳, 일본이었다

    [책과 지식] 이광수를 다시 만난 곳, 일본이었다

    내가 읽고 만난 일본 김윤식 지음, 그린비 808쪽, 3만2000원 한 사람의 지적 호기심에서 시작된 연구는 종종 여행에 비유된다. 낯선 세계를 발견한 데서 오는 흥분과 동시에 밀

    중앙일보

    2012.09.15 00:37

  • 평론가 김윤식, 소설가 김이설 제 1회 소나기마을문학상

    평론가 김윤식, 소설가 김이설 제 1회 소나기마을문학상

    김윤식(左), 김이설(右)황순원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제1회 ‘소나기마을문학상’ 수상자로 문학평론가 김윤식 서울대 명예교수와 소설가 김이설씨가 선정됐다. 소나기마을문학상은 소설가 황

    중앙일보

    2012.08.31 00:26

  • [송호근 칼럼] 죽도에 대나무는 없다

    [송호근 칼럼] 죽도에 대나무는 없다

    송호근서울대 교수·사회학 올여름은 유난히 덥고 소란스럽다. 불볕더위가 물러가고, 유난했던 올림픽도 끝나고, 이젠 좀 그윽하게 앉아 가을을 기다려 볼까 했더니 땅 문제로 극동 삼국이

    중앙일보

    2012.08.21 00:26

  • 서울청년회 ‘3단계 공세’ 돌입, 사회운동 주도권 잡다

    서울청년회 ‘3단계 공세’ 돌입, 사회운동 주도권 잡다

    서울 견지동 청년회관 터. 현재는 서울중앙교회가 들어서 있다. 서울청년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세력은 1920년대 초반 민족개량주의 세력을 공격해 사회운동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중앙선데이

    2012.05.05 23:24

  • [인사] 모철민 예술의전당 사장 外

    모철민 예술의전당 사장 모철민(54) 전 문화부 1차관이 3년 임기의 예술의전당 사장에 13일 임명됐다. 신임 모 사장은 1981년 행시 25회 출신으로 프랑스 한국문화원 원장,

    중앙일보

    2012.04.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