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평생 우리말 지킨 마지막 선비|일석 이희승 박사 일대기

    우리말을 갈고 닦는데 평생을 몸바쳐온 일석 이희승 선생은 국어학의 태두이자 우리 시대 마지막 선비였다. 1896년 경기도 개풍에서 선비의 아들로 태어난 일석은 한성 외국어학교·양정

    중앙일보

    1989.11.28 00:00

  • 「조선어학회사건」 발단된 「여학생 일기장」의 주인공 박영희 여사

    「어쩌면 그렇게 뻔뻔스러울수가…. 여기 이렇게 증인이있는데….』 「조선어학회사건」의 발단이 됐던 「여학생 일기장」의 주인공 박영희여사(58·서울연희동436의9). 그녀는 일본교과서

    중앙일보

    1982.08.02 00:00

  • (636)제29화 조선어학회 사건

    홍원경찰은 l943년4월 중순에 한글학자에 대한 고문과 학대로 꾸며진 조서를 겨우 끝냈다. 1월 하순부터 쓰기 시작한 조서가 만 3개월이나 걸린 것이다. 홍원경찰서는 조서결과 이

    중앙일보

    1972.12.15 00:00

  • (635) |조선어학회 사건|정인승

    한글의 맞춤법 통일안·표준어·외래어 표기법 등 사전 편찬의 기초 작업은 모두 완성되었으나 실제의 사전 편찬 업무는 참으로 험난한 길이었다. 1929년10월31일 서울 수표동 「조

    중앙일보

    1972.12.14 00:00

  • (634) |조선어학회 사건 (19)|정인승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제정으로 우리말의 올바른 표기법은 결정되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사람들의 공통어가 될 표준말의 확립이 무엇보다도 필요함을 느낀 조선어학회는 1935년1월

    중앙일보

    1972.12.13 00:00

  • (633)제29화 조선어 학회 사건(18)

    홍원경찰이 조선어학회 동지 33인에 대한 조서를 꾸미면서 무엇보다도 중요시한 것은 역시 조선어 사전을 편찬하고 있는 일이었다. 경찰은 사전을 편찬하게 된 동기서부터 사전 편찬회를

    중앙일보

    1972.12.12 00:00

  • (630)제29화 조선어학회 사건(15)

    일제경찰은 또 조선어학회의 자매기관인 조선기념도서출판관과 양사원의 설립에 대해서도꼬투리를 잡았다. 조선기념도서출판관이란 1935년 조선어학회가 부설로 설치한 기관으로 돈 많은 유

    중앙일보

    1972.12.08 00:00

  • (627)-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12)

    우리 세명 담배동지들의 담배도둑질은 귀신같았다. 홍원경찰은 예심조서를 꾸미기 시작하면서 다시 우리들을 바삐 끌어 내어다가는 볶아대었다. 그리하여 담배동지 세명은 하루에도 한 두

    중앙일보

    1972.12.05 00:00

  • (626)-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

    설날이라고 생색을 내면서 우리를 골탕먹인 일본경찰은 언제나 그렇게 음식에 있어 우리에게 후한 것은 절대로 아니었다. 우리 한글학자 일행29명의 집은 대부분이 서울에 있어 가난한

    중앙일보

    1972.12.04 00:00

  • (625)-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10)

    한해가 가고 새해가 왔다. 1943년1월1일. 아침나절에는 새해첫날이라 그런지 한사람의 동지도 끌려나가지 않았다. 오늘은 웬일이라고 편히 보내게 하려는가하고 숨을 돌리고있는데 간

    중앙일보

    1972.12.02 00:00

  • (624) 조선어학회 사건|정인승

    홍원경찰서에 끌려온 지도 석달이 넘고있었다. 밖에는 흰눈이 내리 쌓이고 찬바람이 스며들어 유치장 벽에 몸이 닿으면 아리도록 추웠다. 석달간을 취조했으나 이렇다할 범죄사실을 밝혀내지

    중앙일보

    1972.12.01 00:00

  • (621)조선어학회 사건(6)정인승

    내가 들어간 제3감방에는 김윤경·이희승·이석린 등이 있었다. 모두 그 동안 심한 고문을 당한 모양, 허탈상태에 빠져 있었다. 이극노는 제4감방에 갇혔다. 제4감방은 겨우 두 사람

    중앙일보

    1972.11.28 00:00

  • (617)조선어 학회사건(2)|정인승

    『주인이시오?』 앉아있던 양복장이중 한사람이 퉁명스럽게 물었다. 『그렇소.』 나는 어떨결에 대꾸하는 수밖에 없었다. 『종로서에서 왔소. 주인 없는 집에 들어와 미안하오.』 그 사

    중앙일보

    1972.11.23 00:00

  • 외솔의 생애

    최현배 박사가 세상을 떠났다. 그분의 호는「외솔」이다. 한글 학자들의 호가 첫마디에 「외」니「한」니「ㅡ」로 시작되는 것은 우연인지 모르겠다.「한흰샘」(주시경),「한결」 (김윤경),

    중앙일보

    1970.03.24 00:00

  • 김윤경박사 사회장 엄수

    한결 김윤경박사영결식이 9일하오1시 한양대학교대강당에서 사회장으로 베풀어졌다. 기독교의식으로 진행된이날 장례식에는 이희승, 최현배씨등 한글학계인사들과 정당 사회단체대표등 2천여명의

    중앙일보

    1969.02.10 00:00

  • (2)문법 통일

    일제에서 벗어나자 우리는 비로소 마음놓고 나라말과 글을 쓸 수 있음을 진정 기뻐하고 다행하게 여겼다. 말과 글은 민족의 긍지. 빼앗겼던 그것을 되찾은 기쁨에서 한글을 창제하신 선인

    중앙일보

    1966.08.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