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식품안전처, 장애인 날 맞이해 점자 의약품 사용집 발간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4월 20일 제33회 장애인의 날을 맞이해 시각장애인이 읽고 들을 수 있는 점자와 음성출력코드가 삽입된 ‘의약품 안전사용 정보집(III)’을 발간․배포한다고

    온라인 중앙일보

    2013.04.25 09:12

  • [행복을 주는 약] 가래·기침약

    [행복을 주는 약] 가래·기침약

    뮤코펙트는 가래를 묽게 만들어 기침이 심해지는 것을 막는다. [사진 베링거인겔하임]자동차 영업사원 장현웅(35·서울 강동구)씨는 기침이 최대의 적이다. 시도 때도 없이 찾아오는

    중앙일보

    2013.02.27 04:00

  • 어린이 해열 응급조치 방법

    어린이 해열 응급조치 방법

    멀쩡해 보이던 아이가 갑자기 열이 끓을 때 엄마는 그야말로 ‘멘붕’ 상태에 빠지게 된다온 몸이 뜨거운 아이를 안고도 당황하지 않는 현명한 엄마가 돼야 한다. 아이가 열이 나는 원인

    중앙일보

    2013.02.05 10:50

  • 새해부터 달라지는 가주 주요 법안

    새해부터 달라지는 가주 주요 법안

    한 경찰이 자동차 카시트 설치법을 설명하고 있다. 내년부터 캘리포니아주는 8살 미만 어린이에게도 카시트 이용을 의무화시켰다. 또 임대 건물주들은 입주자들을 위해 분리수거 서비스를

    미주중앙

    2011.12.31 04:12

  • 어린이 응급상황별 대처법

    어린이 응급상황별 대처법

    휴양지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나 질환은 대부분 부모의 부주의에서 비롯된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예측을 못해 문제가 생겼을 때도 침착하게

    중앙일보

    2011.07.18 05:03

  • [e칼럼] 집에서 만드는 까페음식 (2) 딸기팬케이크와 딸기차

    [e칼럼] 집에서 만드는 까페음식 (2) 딸기팬케이크와 딸기차

    바람이 차다. 30년 만의 폭설로 도시가 꽁꽁 얼어 붙었고 뚝 떨어진 기온 탓에 주위엔 감기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필자 역시 2010년을 맞이함과 동시에 감기를 얻어 며칠간 기침과

    중앙일보

    2010.01.15 14:11

  • 영·유아 신종 플루 예방 어떻게

    영·유아는 신종 인플루엔자에 취약한 고위험군이지만 6개월 미만은 백신 접종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유아에게 발열이나 기침 등의 호흡기 증세가 나타나면 조

    중앙일보

    2009.10.12 03:14

  • 유아용 감기약 또 다시 도마위에 오르다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에페드린 Ephedrine' 등이 함유된 감기약에 대해 미 FDA가 더 많은 추가자료를 요구하고 나섰다. FDA 신약부장 존 젠킨스박사

    중앙일보

    2008.10.06 08:44

  • 감기 걸렸다 싶으면 藥부터 찾나요?

    감기 걸렸다 싶으면 藥부터 찾나요?

    중앙포토 “얼마 전 뉴스를 보니 감기약 때문에 죽은 사람도 있었던 모양인데…. 감기약도 그렇게 위험한 걸까?”봄의 어귀에서 큰 일교차 탓에 감기에 걸린 이들이 부쩍 늘었다. 가까

    중앙선데이

    2008.03.15 22:42

  • "중국산 치약 쓰지 말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일 소비자들에게 중국산 치약을 쓰지 말라고 경고했다. 또 독성 화학물질 '디에틸렌 글리콜(DEG)'이 들어 있는 중국산 치약의 반입을 막기 위해 긴급

    중앙일보

    2007.06.04 05:04

  • 괴로운 알레르기

    괴로운 알레르기

    취업시험을 한 달 여 앞둔 염지은(23)씨는 요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어릴때 부터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있었던 그는 주책없이 쏟아지는 콧물과 재채기 때문에 휴지를 손에 달고

    중앙일보

    2006.04.25 10:27

  • 시럽형 기침·감기약 복용후 이 닦아야

    어린이들이 시럽형 기침.감기약을 복용한 후에는 치아 부식을 막기위해 이를 닦아야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라질의 산타 카타리나 연방대학 카롤리나 코볼로 다 코스타 박사 연구팀은

    중앙일보

    2006.01.19 09:58

  • [Family] 향기 맡으며 훈기 마신다 … 추위 이기는 약차들

    [Family] 향기 맡으며 훈기 마신다 … 추위 이기는 약차들

    '밥이 보약'이라지만 추운 겨울엔 차(茶)만한 보약이 없다. 몸에 훈기를 전해주는 은은한 향기에 혀 끝을 감싸는 맛, 게다가 건강까지 챙겨주니 말이다. 약이 없던 과거는 물론이고

    중앙일보

    2005.12.13 21:18

  • 기침약은 효능 없다

    상당수 기침약에 들어간 두 가지 주요 성분은 기침을 가라앉히는데 이렇다할 효능이 없는 것으로 미국 연구원들이 밝혀냈다고 BBC 인터넷판이 6일 보도했다. 한밤중에 기침을 가라앉히고

    중앙일보

    2004.07.07 11:39

  • [응급처치] 상비약을 잘 사용하는 법

    [응급처치] 상비약을 잘 사용하는 법

    좀 우습게 들리겠지만 상비약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잘 사용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만큼 가족이 아프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니까. 즉 상비약은 반드시 사용하기 위해서라기보다 앞에서

    중앙일보

    2003.06.17 18:24

  • 어린이藥에 항생제 너무 쓴다

    '델타코테프 정(스테로이드), 코푸 시럽S.암브록솔정(기침약)'. 지난해 9월 경기도 부천시 모 소아과가 金모(4)양에게 처방한 약이다. 金양의 질병은 감기의 일종인 급성인두염.

    중앙일보

    2003.05.06 14:10

  • 어린이藥에 항생제 너무 쓴다

    '델타코테프 정(스테로이드), 코푸 시럽S.암브록솔정(기침약)'. 지난해 9월 경기도 부천시 모 소아과가 金모(4)양에게 처방한 약이다. 金양의 질병은 감기의 일종인 급성인두염.

    중앙일보

    2003.05.04 20:59

  • 처방전 같은데 다른 약 줘

    아이가 생후 7개월인데 기침을 해서 병원에 갔다. 원래 처방전을 석장 발행해 병원·환자·약국이 하나씩 가져야 한다지만 대개의 병원들은 환자에게 처방전 한장만 덜렁 준다. 약국에

    중앙일보

    2002.07.30 00:00

  • 알레르기성 비염 & 소아천식, 가볍게 뛰어 넘기

    딱히 치료약도 없고, 완치되기도 어렵다는 알레르기성 질환인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 감기보다 심한 증상쯤으로 방관하기엔 너무 괴로운 병이다. 재발 또는 유발될 확률이 높은 건조한

    중앙일보

    2002.01.09 14:14

  • [소설] 555. 아라리난장

    제12장 새로운 행상 (33) 하지만 수감생활을 하고 있는 그에게 달려가 하소연을 한들 뾰족한 방도가 나설 리 만무일 것이고 오히려 심사만 흔들어 놓기 십상이었다. 승희도 자취를

    중앙일보

    1999.11.01 00:00

  • 가정 상비약.의료비품 준비.관리 요령

    아이가 놀다가 다쳐 갑자기 피를 흘리거나 한밤중에 열이 펄펄 날 땐 가까운 병원 가는 일도 쉽지 않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 각 가정에서 갖추고 있어야 할 가정상비약과 의료비품을

    중앙일보

    1999.06.09 09:39

  • 술도 담그고 茶도 만들고-제철맞은 모과 맛.향기 즐기는법

    늦가을부터 제철을 맞은 모과가.과일전 자랑'을 톡톡히 하고 있다. 새콤달콤한 향과 푸른 빛이 도는 노란색의 울퉁불퉁한 모양으로 개성있는 장식소품으로도 인기.시장이나 백화점 청과매장

    중앙일보

    1996.11.27 00:00

  • 중·고생/환각 약물복용 경험 2.9%

    ◎주로 약국·디스코장·문방구점서 구입/동기는 호기심·쾌락순/소보원 2천2백59명 대상 조사 중고생들이 환각 목적으로 가장 많이 찾는 의약품은 각성제인 T정이고 환각행위의 가장 큰

    중앙일보

    1992.12.29 00:00

  • (275)소아기 질환-기침 이물 쫓는 반사현상(3)

    우리 몸에 병이 났을 때 열이 난다거나 소화가 안되었을 때 설사를 하게 되는 것이 어떤 점에서는 우리 몸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합목적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앞서 말하였거니와 「기침」도

    중앙일보

    1982.08.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