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生굴 즐기면 췌장염 걸릴수도-서울醫大 학계 보고

    자연산 굴에 서식하는 기생충인 참굴큰입흡충이 급성췌장염.당뇨등 췌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대의대 기생충학교실은 최근 굴을 즐겨 먹다 복통을 일으켜서울대병원에서

    중앙일보

    1995.04.08 00:00

  • 사라졌던 말라리아환자 발행-국내서 모기에 물려 8명 발병

    더위가 가신뒤「아폴로 눈병」이 전국에서 유행하는 가운데 70년대말 국내에서 사라졌던「토착 말라리아」환자가 최근 경기도 일원에서 8명이나 발생한 것으로 확인돼 방역당국과 의료계에 비

    중앙일보

    1994.09.12 00:00

  • 회충감염률 70년대 60%서 0.02%로 기생충 사라진다

    기생충이 사라져가고 있다. 담임선생님이 대변검사후 기생충에 감염된 학생명단을 발표하면 수십명의 학생들이 겸연쩍은 얼굴로 우르르 나가 구충약을 타 먹곤 하던 국민학교풍경도 이젠 옛말

    중앙일보

    1994.01.14 00:00

  • 남-북 의학 용어|이질감 심하다

    남북한 의학용어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통일 후를 대비,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고려대 의대 김형규 교수(내과)는『임상의학 용어부분에서 북한은 가급적 쉬

    중앙일보

    1993.06.30 00:00

  • 여름철 횟감「생선 살」로만

    생선회나 굴 등 어패류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여름철은 항상 고민이다.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는 것이 디스토마 등 각종 기생충 감염은 물론 비브리오 패혈증과 같이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

    중앙일보

    1993.06.09 00:00

  • 세탁도 자격증 갖춰야|국가기술자격 36개 분야 추가

    앞으로 물고기 병 예방·세탁·승강기보수 등의 직업도 자격증을 갖춰야 한다. 산업사회의 변화에 따라 자격종목을 선정해 추가하고 있는 노동부는 새로 36개 분야(표 참조)를 국가기술자

    중앙일보

    1992.06.16 00:00

  • ◇임한종 고려대교수(기생충학) 는 회갑을 맞아 19일 오후6시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후학들로부터 회갑기념논문집을 증정받는다.

    중앙일보

    1991.12.16 00:00

  • ◇김유혁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장은 15일 동서울 터미널빌딩 6층 영지하이테크회의실에서 학술발표회를 개최. 「지역 균형발전의 과제」「환경보전과 지역사회」 등을 주제로 한 이 발표회의

    중앙일보

    1991.11.15 00:00

  • 웅담등 각종 보신제 생식자/50%가 기생충에 감염

    ◎사슴피는 20% 이상 결핵균 오염 우리나라 기생충 감염자의 50%가 곰쓸개즙·사슴피·뱀·지렁이·굼벵이 등 이른바 「혐오 보신제」를 생식해 기생충에 감염됐으며 사슴피는 20%이상이

    중앙일보

    1991.08.03 00:00

  • 서병설 박사 별세

    우리 나라 기생충학의 원로며 학술원회원인 서병설 박사가 11일 오전 4시 서울 서교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70세. 서 박사는 서울대의대를 졸업하고 국내 처음으로 서울대의대

    중앙일보

    1991.06.12 00:00

  • 아나고회 기생충 감염에 "무방비"

    각종 기생충 감염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던 붕장어(일명 아나고)가 실제로는 상당수 기생충에 감염돼 있는 것으로 표본조사결과 밝혀졌다. 부산대 의대 송수복 교수(기생충학

    중앙일보

    1991.05.07 00:00

  • 어패류·애완 동물에 기생충 많다|대한기생충학회 학술대회서 실태 밝혀져

    생선회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민물고기는 물론 바다 어패류에도 국민건강을 크게 좀 먹는 기생충이 우글거리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최근 열린 대한기생

    중앙일보

    1990.11.01 00:00

  • 애완 동물 기생균 "요주의〃

    인체에 거의 무해한 것으로 그동안 알려졌던 몇몇 기생균들이 최근 생명까지 위협하는 원인균으로 재등장하고 있다. 특히 이들 기생균은 고양이·개 등 애완 동물들이 주 감염원으로 밝혀지

    중앙일보

    1990.09.20 00:00

  • 해외여행자 전염·풍토병 감영 "비상"|출국 전 예방 접종을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른 관광·연수·취업 등을 목적으로 한 해외여행이 부쩍 늘어나면서 이들이 현지의 희귀한 풍토병과 여러 질환에 감염된 채로 국내에 들어오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어

    중앙일보

    1990.09.13 00:00

  • 유럽의 영재 교육두뇌자원 조기 발굴 국가가 도맡아 육성

    현대는 두뇌의 시대다. 로킷·컴퓨터·생명공학 등 첨단과학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고도화·집약화 되면서 고급두뇌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제 2류급 인물 10명이 1류급 인

    중앙일보

    1990.02.13 00:00

  • 민물고기, 바다생선 새 기생충감염원 ˝요주의˝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기생충의 패턴이 크게 바뀌는 추세다. 특히 최근 생선회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 아니사키스(고래회충)·간디스토마(간흡충)등이 문제되고 있다. 서울대의대 채종일교수

    중앙일보

    1990.01.11 00:00

  • 가톨릭의료단 남미파견

    한국가톨릭의사회는 최근 의료봉사단을 남미 에콰도르에 파견했다. 가톨릭의대 박성학(내과)·중앙대의대 조승렬(기생충학) 교수등 4명으로 구성된 봉사단은 28일까지 현지주민들에 대한 진

    중앙일보

    1989.08.14 00:00

  • 기초 의학 교수가 적다

    우리 나라 의료 대학의 기초 분야 교수는 기준수에 크게 부족한 대신 임상 분야 교수는 오히려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균형 있는 의학 교육 발전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일부

    중앙일보

    1987.03.27 00:00

  • 퇴임기념 강연회 가져

    서병설 교수(전 서울대의대학장·기생충학) 는 3일 하오4시 서울대병원강당에서 퇴임기념강연회를 갖는다. 서 교수는 지난달 25일 서울대교수직을 사임하고 현재는 인하대의대 학장으로 있

    중앙일보

    1986.04.02 00:00

  • 연세대서 정년퇴임

    소진탁 교수(연세대 의대)가 오는 28일로 정년 퇴임한다. 소 교수는 지난 41년 세브란스의전을 졸업, 53년부터 모교에 재직하면서『한국인의 기생충 병』등을 저작하는 등 국내기생충

    중앙일보

    1986.02.15 00:00

  • 기초의학교수 부족

    의과대학의 증설로 학생수는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교수요원, 특히 기초교수의 충원은 이에따르지 못해 의학교육에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있다. 의협에 의하면 의대의기초의학교수충원율은 기

    중앙일보

    1985.11.26 00:00

  • 담관암발병 선행요인 낙동강하구 간흡충증

    낙동강하구지역에 만연되어 있는 간흡충증(간디스토마)이 담관암의 발병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화여대의대 민홍기교수(기생충학)는 이러한 현상은 간흡충중이 단독으로는 담

    중앙일보

    1985.06.04 00:00

  • 열대병 환자가 늘고 있다|「해외건설 근노자 건강관리」세미나

    근로자들의 해외취업 증가와 함께 해외여행자가 늘어나면서 열대병의 유입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연세대 열대의학연구소는 이 문제에 대한 관심 제고를 위해 24일 『해외건설

    중앙일보

    1984.05.26 00:00

  • 유한의학본상에 홍철씨

    서울시 의사회와 유한양행 공동제정의 제16회 유한의학저작상 본상(상금 1백만원)수상자로 홍철교수(한양대 의대 안과)가 선정됐다. 이밖에 공로상(상금 50만원)에는 조두영교수(서울대

    중앙일보

    1983.04.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