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작고작가 10인 작품전

    가나화랑 (대표 이호재)이 전시장을 종로구관훈동 192의18 성화빌딩1층으로 이전하고 이전기념으로 작고작가 10인 전을 마련했다. (734-4093) 31일부터 11월7일까지 열리

    중앙일보

    1987.10.29 00:00

  • 관람인파 폭발·「전시중지」로 얼룩

    86년은 서울에서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해-. 미술계도 아시안게임에 맞는 전시문화행사 문제로 부산한 한해가 될것 같다. 과천에 새로 짓는 국립현대미술관은 개관기념전으로 아시안게임에

    중앙일보

    1985.12.30 00:00

  • "겸손한 화법…보석중의 보석"

    중앙일보사가 창간 20주년기념으로 호암미술관과 함께 마련한 「한국양화 70년전」은 참으로 뜻깊은 전람회다. 올해가 우리나라에 양화가 들어온지 7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지만 우리미술

    중앙일보

    1985.08.31 00:00

  • 미술애호가협 12일발족

    미술의 생활화를 내걸고 12일 발족한 한국미술애호가협회(회장 서영훈)는 1백만원의 입회비만 내면 3개월마다 가정에서 작품을 교환, 감상할수있도록 미술품을 공급해주는 「미술은행」 구

    중앙일보

    1985.03.13 00:00

  • 작품활동 예술인 10만명중 인기작가는 고작 10여명선

    한국에서 작품활동을 하는 미술인은 줄잡아 10만명-.미술가가 되겠다고 공부하는 미술대(대학원) 재학생은 3만4천명. 미협에 등록된 회원만도 3천5백명이다. 이들중 애호가의 사랑을

    중앙일보

    1984.05.24 00:00

  • "불경기"에도 화랑이 는다

    올 봄 들어 서울에 신설화랑이 계속해 문을 열고 있다. 지난 3월 새로이 화랑가가 형성되고 있는 강남구 신사동에 「강화랑」이 들어서 「예화랑」「박여숙화랑」「조파화랑」과 함께 현대

    중앙일보

    1984.04.19 00:00

  • (3366)|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85)|본격 상업화랑

    미국에서 돌아온지 몇개월 되지 않아 우연히 반도호텔 앞을 지나다 반도화랑에 들렀다. 한쪽 구석에 세워놓은 의재(허백련)선생의 두폭가리개가 눈에 번쩍 띄었다. 한쪽에는 하경, 한쪽에

    중앙일보

    1982.03.18 00:00

  • 샘터화랑 이전 기념

    샘터화랑은 인사동 이전기념으로 「어제와 오늘의 수작전」을 열고 있다.(26일까지) .이 전시회에는 「어제의 작가」로 이중섭·박수근·김환기씨등 11명의 작품이, 「오늘의 작가」로 오

    중앙일보

    1981.10.24 00:00

  • 가람화랑 이전기념|작고 대가들 작품전

    가람화랑은 서울 인사동 이전기념으로 속·서양화 작고 대가 전을 3일부터 10일까지 갖는다. 이상범 변관직 노수현(이장 동양화) 도상봉 박수근(이상 서양화)씨 등의 작품이 출품된다.

    중앙일보

    1981.09.02 00:00

  • 서양화 원로 중진작가선전

    「롯데」화랑은 개관1주년기념으로 지난번 동양화 원로 중진작가선전에 이어 서양화 원로 중진작가선전을 마련, 31일까지 전시한다. 김환기, 구본웅, 도상봉, 박수근, 이인성, 이중섭씨

    중앙일보

    1980.12.17 00:00

  • 불황으로 인한 침체서 벗어나 첫 행사는 정은영씨 동양화전

    불황으로 인한 침체기 속에서 몇몇 화랑들만이 조심스럽게 전시「스케줄」을 짜놓고 있다. 지난해 기획전을 전혀 열지 않았던 동산방화랑은 동양화가 정은영씨 초대전을 올 봄의 첫 전시회로

    중앙일보

    1980.03.03 00:00

  • 미술계 일지

    ▲국전개혁=70년 19회 국전부터 잡음을 없애기 위해 운영위원회 제도를 만들어 운영위원들에게 심사위원 선정권을 주었다. 또 구상과 비구상을 분리 , 심사를 따로 하기 시작. ▲한국

    중앙일보

    1979.11.21 00:00

  • 서민화가 박수근 기념비 제막

    작고한 유화가 박수근씨의『서민화가 박수근 기념비』제막식이 13주기를 맞는 5일 그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포천 동신교회 묘지에서 열린다. 이 기념비는 그의 유작전을 가졌던 문화화랑(

    중앙일보

    1978.05.03 00:00

  • 이제창·나혜석·이인성씨 등 유작정리

    1920∼30년대의 우리나라 양화초기에는 작가가 워낙 숫적으로 적었지만 현존작품은 더욱 희귀하다. 당시엔 작품활동이 부진했던 것도 사실이지만 동란을 겪으면서 작품이 모두 일산 소멸

    중앙일보

    1978.03.28 00:00

  • 박수근 유작전

    박수근화백은 우리나라 근대화 60년을 통해 한국적인 작가의 한사람으로 두드러지는 유화가. 그의 10주기를 맞아 생애와 전작을 정리해보는 유작전이 다시 마련되었다. 박화백의 유작전은

    중앙일보

    1975.10.09 00:00

  • 한일 화랑 개설 양화 구작전

    작금년 사설 화랑이 꽤 많아졌는데 이에 따라 화상가의 체질도 조금씩 바뀌어지며 정리될 것 같다. 5월 들어 문을 연 한일화랑(대표 한용구)은 관훈동 거리의 중심부 구 현대화랑 자리

    중앙일보

    1975.05.03 00:00

  • 국립미술관, 작품구입 착수|한눈에 볼 현대미술사

    국립현대미술관은 내년에 덕수궁 석조전으로의 청사이전을 앞두고 우리 나라 현대미술 작품의 구입에 나섰다. 문을 연지 3년만에 비로소 착수한 현대미술관의 작품매입은 작고한 작가인 이중

    중앙일보

    1971.12.27 00:00

  • 영문 『한국현대화집』발간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1일 우리 나라의 대표적 현대회화를 집약하는 『한국현대화집』(Modern Korean Painting)을 내놓았다. 유네스코 창설 25주년과 한위의 영문판 잡지

    중앙일보

    1971.06.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