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상렬의 시시각각] 대통령은 아직도 소통을 모른다

    [이상렬의 시시각각] 대통령은 아직도 소통을 모른다

    이상렬 수석논설위원 관전자 입장에서 보면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양자회담의 승자는 이 대표다. 이 대표는 퇴장하는 취재진을 붙잡아 두고 15분간에 걸쳐 하

    중앙일보

    2024.05.02 00:38

  • 박 대통령 “청년고용 돕기 저부터” 펀드 1호 기부 예정

    박 대통령 “청년고용 돕기 저부터” 펀드 1호 기부 예정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노사정 대타협과 관련해 “시대적 소명에 부응해 결단을 내려주신 노사 지도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왼쪽은 황교안 국무

    중앙일보

    2015.09.16 03:13

  • 정의화 의장, 제헌절 경축사 "개헌 논의 지금부터 시작해야"

    정의화 국회의장은 17일 제67주년 제헌절 경축사에서 “실제로 개헌이 이루어지는 것은 20대 국회 이후의 일이 되더라도 개헌에 대한 논의는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중앙일보

    2015.07.17 10:23

  • 여야 대표 2시간 붙든 이병기

    17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회동 후 새누리당 김무성·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시간을 더 청와대에 머물렀다. ‘100분’(정확히 103분)의 회동 시간보다 더 길었다.  여야 대

    중앙일보

    2015.03.19 00:45

  • 바이든 "베팅" vs 왕이 "선택" … 한국엔 압박이자 기회

    바이든 "베팅" vs 왕이 "선택" … 한국엔 압박이자 기회

    정원엽정치국제부문 기자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을 처음 본 건 지난해 7월 브루나이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때였다. 북·중 양자회의를 마치고 ARF 회의장으로 들어오

    중앙일보

    2014.05.28 02:27

  • 태권도 올림픽에서 빠지나

    “싱가포르 총회 투표에서 태권도는 겨우 2표 차로 살아남았다.” 국제태권도연맹(ITF·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소속 한국태권도협회의 유완영

    중앙일보

    2007.06.13 14:18

  • "북한 핵 폐기 2년 내 이뤄져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우리가 대북 직접송전을 준비하는 데 3년 정도를 잡았지만 기간이 더 당겨져야 한다"며 "핵 폐기에 필요한 시간이 2년이 될 수도

    중앙일보

    2005.07.15 05:19

  • [91-2000]

    1991년 1. 3 : 최의웅(군사정전위 북한측 수석위원), 유엔군측 수석위원을 한국군장성으로 교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담화 발표. 1.28 : 김영남(부총리 겸 외교부장), 알렉산

    중앙일보

    2004.10.25 14:04

  • [81-90]

    1981년 2. 5 : 허담(외교부), 비동맹외상회의 참석차 뉴델리에 체류 중 성명 발표, 「세계비동맹운동이 제국주의자들의 침략 및 전쟁정책에 대항, 더욱 회원국들간의 단결을 시위

    중앙일보

    2004.10.25 13:30

  • [플루토늄 추출 파문] 북핵 6자회담 '후폭풍'에 촉각

    [플루토늄 추출 파문] 북핵 6자회담 '후폭풍'에 촉각

    ▶ 오명 과기부 장관(右)이 9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위가 끝난 뒤 의원들과 인사하자 한나라당 김희정 의원(左)이 질문도 못하고 산회했다며 불만스러운 표정을 하고 있다. 조용철

    중앙일보

    2004.09.09 18:38

  • 미 "북핵, 깜짝 놀랄 대가" 나오기까지…한·미 긴박했던 두달

    미 "북핵, 깜짝 놀랄 대가" 나오기까지…한·미 긴박했던 두달

    지난 9일 오후 6시 외교부 청사.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면 얼마나 많은 것이 가능할지 깜짝 놀랄 것이다." 당일치기로 방한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반

    중앙일보

    2004.07.12 06:12

  • ④[표] 남북대화일지

    ▲1953. 7.27 = 정전협정 정식조인 10.28 = 판문점 정치 예비회담 ▲1954. 4.26~6.15 = 제네바회담(한국, 6.25참전 15개국,북한,중공.소련) ▲1963

    중앙일보

    2003.07.15 11:18

  • 남북, 회담성격 싸고 입장차

    북한 핵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북한.미국.중국 간 회담을 두고 정부는 예비회담 성격이라고 설명했으나 북한은 본회담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전해져 큰 견해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

    2003.04.17 10:36

  • 남북, 회담성격 싸고 입장차

    북한 핵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북한.미국.중국 간 회담을 두고 정부는 예비회담 성격이라고 설명했으나 북한은 본회담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전해져 큰 견해차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일보

    2003.04.17 06:27

  • [이산가족 현대사] 上. 굴곡의 역사가 남긴 50년 한

    도쿄(東京)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둔 1964년 10월 9일 도쿄 조선회관. 북한 육상선수로 출전한 신금단(辛今丹.당시 26세)씨와 딸을 만나기 위해 서울에서 온 아버지 신문준(辛文

    중앙일보

    2000.08.11 00:00

  • 남북국회도 상봉 예감

    이만섭(李萬燮)국회의장은 17일 북한측에 남북 국회회담을 공식 제의하면서 "이번 국회는 민족화합과 통일시대를 여는 책무를 갖고 있으며, 남북의 대의(代議)기구 대표들이 민족의 장래

    중앙일보

    2000.07.18 00:00

  • [남북대화 일지]

    72.7.4 남북 공동성명 발표 72.8~73.7 남북 적십자 본회담 (7차례) 73.12~75.3 남북 조절위 부위원장 회의 (10차례) 84.11~85.11 남북 경제회담 (

    중앙일보

    1999.06.21 00:00

  • [주간 정국기상도] 파업방향 '정국 나침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노동계 파업 문제가 정국에도 상당한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또 김종필 총리의 "내각제 문제를 야당 수뇌부와도 협의할 것" 이란 국회 답변과 한나라당 신경식 사

    중앙일보

    1999.04.26 00:00

  • [주간 정국기상도] '고관집털이' 태풍의 눈

    '고관집 털이 사건' 을 둘러싼 정치공방이 이번주의 정국을 뒤덮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이 현 정권의 도덕성에 큰 흠집을 낼 수 있는 이 '호재 (好材)' 를 최대한 증폭시킬

    중앙일보

    1999.04.19 00:00

  • [남북대화 일지]

    ▶72.7.4=남북공동성명발표 ▶72.8.29~73.7.13=남북적십자 본회담 (총7차) ▶73.12.5~75.3.14=남북조절위원회 부위원장 회의 (총10회) ▶84.11.15~

    중앙일보

    1998.04.10 00:00

  • 박건우 주미대사 "미국 쇠고기 수입금지도 검토"

    [워싱턴 = 김수길 특파원]박건우 (朴健雨) 주미대사는 7일 (현지시간) 국회 통일외무위의 주미대사관 국정감사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O - 157 대장균 파동과 관련, "병원균 오염

    중앙일보

    1997.10.09 00:00

  • 중앙일보 일본총국 긴급진단-본궤도 오른 北.日수교 교섭

    대한(對韓)관계를 고려해 대북한 수교 문제에 대해 혼네(本音.속마음)와 다테마에(建前.공식 입장)사이를 줄타기하던 일본 정부가 4자회담에 대한 북한 반응을 봐가며 연내 교섭을 재개

    중앙일보

    1996.05.14 00:00

  • 계획에그쳤던 교류가시화/경제·비경제 교류·협력(남북 화해시대:3)

    ◎연락사무소가 중추적 기구/정부간 상설창구로서 역할확대 기대 5차 고위급회담에서 합의서가 도출됨으로써 제한되거나 간접적 수준에 그쳤던 남북간의 교류가 본격화되는 시대를 맞게 됐다.

    중앙일보

    1991.12.16 00:00

  • 분단장벽 허물고 통일 첫걸음(남북화해시대:1)

    ◎「합의서」 서명 의의와 전망/46년간의 「비정상」 역사적 청산/상호실체 인정… 교류·군축 “물꼬” 13일로 세계지도에서 유일하게 남은 냉전지역이 사라지게 됐다. 분단이후 처음으로

    중앙일보

    1991.12.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