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사] 외교부 外

    ◆외교부◆담당관▶해외언론 조성관▶재외공관 강형식▶외교사절 조기중◆과장▶동북아1 오진희▶서남아태평양 김동배▶아세안협력 정의혜▶중남미협력 고문희▶중유럽 서빈▶인권사회 이경아▶국제안보

    중앙일보

    2014.07.17 00:21

  • [인사] 농림축산식품부 外

    ◆농림축산식품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산지관리과장 이수열▶〃 충북지원장 홍만의▶〃 전북지원장 류평식▶국립종자원 서기관 김일환 ◆산업통상자원부▶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과장 박형건▶

    중앙일보

    2014.07.02 00:21

  • [인사] 중앙일보·JTBC 外

    ◆중앙일보·JTBC<보임>▶광주총국장 장대석▶부산총국장 황선윤 ◆산업통상자원부<과장급 파견>▶미래창조과학부 중앙전파관리소 전파관리과장 정경회▶중소기업청 기업혁신지원과장 나성화 ◆보

    중앙일보

    2014.03.12 00:46

  • [인사] 대법원 外

    ◆대법원<고법 부장판사>▶수석재판연구관 홍승면▶선임재판연구관 유해용▶사법연수원 수석교수 김시철▶서울고법 김주현(수석) 한승 강영수 김상환 한창훈 김대웅 박정화 이은애 이창형 배광국

    중앙일보

    2014.02.05 00:26

  • 다중빔 쏘고 음파 탐지 … 명량 앞바다서 보물 찾았다

    다중빔 쏘고 음파 탐지 … 명량 앞바다서 보물 찾았다

    문화재청 나선화 청장(사진 가운데)은 도기 전문가다. 고려청자 265점이 발굴된 전남 진도 오류리(명량대첩로) 유물에 대한 23일 브리핑을 직접 했다. 나 청장이 장구 모양의 도기

    중앙일보

    2014.01.24 00:14

  • [팝업] 고려시대 화물선 복원한다 '마도 1호' 분석 보고서 나와

    [팝업] 고려시대 화물선 복원한다 '마도 1호' 분석 보고서 나와

    마도 1호의 복원도. 선체 길이는 약 15m, 돛대를 포함한 높이는 약 16m다. [사진 문화재청]고려시대 화물선에는 원통형의 통나무가 사용됐다. 판판한 널빤지를 이어 붙인 조선시

    중앙일보

    2013.12.31 01:15

  • 강순형 국립문화재연구소장

    강순형 국립문화재연구소장

    국립문화재연구소장에 강순형(58·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장이 28일 임용됐다. 강 소장은 국립해양유물전시관장 등을 지냈다.

    중앙일보

    2013.11.29 00:30

  • 뱃전에 짧은 창검 꽂은 ‘과선’ 개발 … 거북선으로 진화

    뱃전에 짧은 창검 꽂은 ‘과선’ 개발 … 거북선으로 진화

    ‘황비창천(煌丕昌天:아주 화창한 하늘)’이 새겨진 고려 구리거울. 고려선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의 조선강국이다. 조선강국의 DNA를

    중앙선데이

    2013.10.06 02:24

  • [인사] 안전행정부 국제행정발전지원관 윤순구 外

    ◆안전행정부[고위공무원 임용]▶국제행정발전지원관 윤순구 ◆고용노동부[지청장급 전보]▶중부지방고용노동청 강릉지청장 김원식▶〃 태백지청장 강요원▶〃 영월출장소장 문기호▶대구지방고용노동

    중앙일보

    2013.05.21 00:55

  • 전설의 황룡사 대종, 감포 앞바다에 있을까

    전설의 황룡사 대종, 감포 앞바다에 있을까

    잠수경력 28년째인 베테랑 다이버 김기창(54·경북 포항시 문덕동)씨가 동해바다 깊은 곳에서 뭔가 심상치 않아 보이는 금속물체를 발견한 것은 1년쯤 전의 일이다. 분실된 어구를 찾

    중앙일보

    2013.05.03 02:08

  • [인사] 기획재정부 장관비서관 주환욱 外

    ◆기획재정부▶장관비서관 주환욱 ◆교육부[일반직·계약직 고위공무원]▶대변인 김문희▶감사관 박준모▶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정종철▶〃 국제협력관 강영순▶교육정책실 학교정책관 김영윤▶〃 학

    중앙일보

    2013.03.25 00:32

  • [팝업] 수중유물 발굴 전용선 떴다

    [팝업] 수중유물 발굴 전용선 떴다

    14일 전남 목포항에서 취항하는 ‘누리안호’.지난달 전남 진도 오류리 앞바다 해저에서 명량해전 당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총통(銃筒)과 고려청자 등이 발굴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중앙일보

    2012.12.11 00:59

  • 명량대첩 때 사용 추정 총통 3점 진도서 발굴

    명량대첩 때 사용 추정 총통 3점 진도서 발굴

    1597년(선조 30년),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수군이 단 13척의 배로 왜선 133척을 물리친 명량대첩. 이 전투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개인 화기(火器) ‘소소승자총통(小小

    중앙일보

    2012.11.29 01:00

  • [인사] 공정거래위원회 기획재정담당관 윤수현 外

    ◆공정거래위원회▶기획재정담당관 윤수현 ◆고용노동부▶기획조정실 기획재정담당관 김민석▶고용정책실 외국인력정책과장 윤영순▶〃 고용서비스정책과장 노길준▶노동정책실 산재보상정책과장 김경윤▶

    중앙일보

    2012.09.12 00:20

  • 바닷속 갯벌 1m씩 나눠 유물 찾기 … 중국·일본도 배우러 온다

    바닷속 갯벌 1m씩 나눠 유물 찾기 … 중국·일본도 배우러 온다

    한국 수중문화재 발굴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발굴팀이 태안 마도 해역에 침몰한 고려시대 선박에서 나온 도자기의 흙을 제거하고 있다. [사진 국립해양문화재

    중앙일보

    2012.06.20 00:35

  • 고려시대 난파선 의문의 막대기, 수량 표시하는 각기목이었다

    고려시대 난파선 의문의 막대기, 수량 표시하는 각기목이었다

    난파선 마도 2호선에서 발견된 각기목. 수량을 표시하는 가로줄이 그어져 있다. 윗부분의 홈에는 끈을 묶어 짐에 매달았다.2009년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인양된 고려시대 난파선 ‘마

    중앙일보

    2012.05.18 00:00

  • 한국폴리텍V대학 목포캠퍼스 ”희망의 황포 돛배 띄우다”

    한국폴리텍V대학 목포캠퍼스 ”희망의 황포 돛배 띄우다”

    한국폴리텍V대학 목포캠퍼스(학장 유병한)의 조선설계과 오준하 학생등 5명은 산학연계 프로젝트 작품으로 2달동안 우리의 전통문화인 황포 돛배를 만들었다. 이들은 (주)코리아나 마리타

    온라인 중앙일보

    2012.03.28 11:00

  • [인사] 국무총리실 外

    ◆국무총리실▶정무운영비서관 김태한 ◆방송통신위원회▶기획조정실장 최재유▶국방대학교 교육파견 송정수 ◆기획재정부▶장관비서관 박금철▶홍보담당관 유수영▶운영지원과장 강환덕▶정책관리담당관

    중앙일보

    2012.02.02 00:00

  • [인사] 기획재정부 外

    ◆기획재정부▶장기전략국장 최광해▶국제경제관리관 최종구▶민생경제정책관 이찬우▶정책조정기획관 장호현▶국제금융정책국장 은성수▶국제금융심의관 유광열▶국제금융정책국 외화자금과장 윤태식 ◆국

    중앙일보

    2012.01.31 00:00

  • [인사] 중앙일보 外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전문위원 안희창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이나리 ◆법무부▶국적·통합정책단장 김종호▶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장 최문식▶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장 성락승▶출입국기획과장

    중앙일보

    2012.01.19 00:00

  • [인사] 국무총리실 外

    ◆국무총리실▶농수산국토정책관 이창수▶교육훈련 파견 백일현▶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기획국장 정현용▶개발협력기획과장 강주홍 ◆문화재청▶문화재정책국장 강경환▶문화재보존국장 최종덕▶규제법무

    중앙일보

    2011.12.13 00:48

  • [사진] 1260년대 타임캡슐, 마도 3호선 발굴 성공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6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마도 3호선의 수중발굴조사에서 목간(木簡) 32점, 사슴뿔(녹용), 장기 돌, 선박의 이물(선수부위) 등 고

    중앙일보

    2011.10.07 00:55

  • 삼별초에 올리는 음식 가득 … 고려시대 ‘타임캡슐’ 열렸다

    삼별초에 올리는 음식 가득 … 고려시대 ‘타임캡슐’ 열렸다

    ‘안개가 짙어진다. 조금 전까지 장기를 두며 여유를 부리던 선원들이 잔뜩 긴장한 채 위치로 돌아간다. 배에는 여수에서 강화도에 올리는 곡식이며 젓갈 등 짐이 잔뜩 실려 있는 터다.

    중앙일보

    2011.10.07 00:09

  • ‘천년 만의 강진 귀향’ 고려청자 특별전시

    ‘천년 만의 강진 귀향’ 고려청자 특별전시

    도자기 역사는 토기에서 도기로, 도기에서 청자로, 청자에서 백자로 발전했다. 유약을 사용한 자기(磁器) 단계의 도자기는 청자부터다. 고려시대에 주로 만든 도자기가 청자였기에 ‘고려

    중앙일보

    2011.07.28 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