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간 리뷰] '태극기의 정체'

    "태극기는 주체성이 결여된 반민족적인 국기일 수 있다." 민족의 상징물인 태극기에 대해 독설을 퍼붓는 신간 『태극기의 정체』 의 저자 김상섭(48)씨는 국립대만대학에서 주역(周易)

    중앙일보

    2001.10.13 00:00

  • [대만 대선 현지 르포] "바꿔" 분위기 확산

    선거가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대만에는 '불가전론(不可戰論)' '불가훼론(不可毁論)' 이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불가전론' 은 "누가 당선돼도 결코 전쟁은 없다" 는 게 골자

    중앙일보

    2000.03.18 00:00

  • 리덩후이 미사일공격 발언 파문

    [홍콩〓진세근 특파원]한동안 잠잠했던 '양국론(兩國論.양안관계를 '국가대 국가' 로 규정한 주장)파동' 이 재연될 조짐이다. 이번에도 장본인은 리덩후이(李登輝)대만 총통이다. 李총

    중앙일보

    1999.11.23 00:00

  • [21세기 리더] 대만 청소년선도위 리지주 주임

    '정계 대미인(政壇大美人)' -. 대만 언론들은 미혼의 리지주(李紀珠.39)대만 행정원 청소년선도위원회 주임을 이렇게 부른다. ▶국립대만대학내 최연소여성 경제학박사(26세 박사학위

    중앙일보

    1999.11.22 00:00

  • '국민당 군대는 강도' 대만 만화교재 파문

    초.중학교 교재로 발간된 '만화로 보는 대만역사 (漫畵 臺灣史)' 가 대만 사회에 파문을 던지고 있다. 그동안 정식 역사과목에서 생략됐거나 간략하게 서술됐던 '역사적 금기' 를 건

    중앙일보

    1999.04.21 00:00

  • [마잉주 타이베이 시장 당선자]차세대 총통감

    마잉주 타이베이 시장 당선자는 출중한 외모로 대만 젊은이들에겐 우상같은 존재다. 학벌도 좋고 관운 (官運) 도 화려해 장래 총통감으로 꼽힌다. 대만 최고의 명문인 국립대만대 법대

    중앙일보

    1998.12.07 00:00

  • [모임]국립 대만대 한국총동창회 창립대회

    국립대만대학 한국총동창회 창립대회 및 천웨이자오 (陳維昭) 총장 방한 환영대회가 24일 오후7시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됐다. 국립대만대학 한국총동창회 (창립준비위원장金學主 서울

    중앙일보

    1998.06.25 00:00

  • [인물동정]김학주 서울대교수

    국립臺灣大 한국동창회 창립대회 ◇金學主국립대만대 한국총동창회 창립준비위원장 (서울대교수) 은 24일 오후7시 서울 코리아나호텔 7층에서 국립대만대 한국총동창회 창립대회 및 천웨이자

    중앙일보

    1998.06.24 00:00

  • 대만, 내년부터 대학내 군사훈련 폐지

    40년동안 강제 실시돼온 대만대학내 군사훈련이 내년에 폐지된다. 대만 대법원은 27일 지난 58년 대학생들에게 군사훈련을 실시키 위해 제정된 '대학내 군사훈련실 설치 및 군사훈련실

    중앙일보

    1998.03.29 00:00

  • 실리콘밸리 아시아係 네트워크 - 독자行步 대만기업들 자본.기술만은 공유

    버클리대학의 애너리 색스니언 교수(도시.지역개발학과)는 최근 흥미로운 연구를 새로 시작했다.주제는 '실리콘밸리의 외국이민 기업인들과 기업의 형성.변천'.“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전

    중앙일보

    1997.05.12 00:00

  • 대만-국가 정보화사업 차원서 추진

    대만의 학교정보화운동 「중등학교에 인터넷 전자우편을」은 정부의 국가정보화 기반구축 17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모든 초.중등.대학의 인터넷 연결▶중등학교부터

    중앙일보

    1996.10.01 00:00

  • 李登輝 총통

    절대권력 또는 권위주의체제 아래에서 제2인자는 유명무실(有名無實)한 존재가 되기 십상이다.고개와 목소리를 항상 낮추며 몸조심하다 「과도(過渡)적 지도자」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앙일보

    1996.03.27 00:00

  • 대만 신임행정원장 연전/미국서 공부한 학자출신

    신임 행정원장에 지명된 롄잔(연전) 대만성주석은 1936년 중국 샨시에서 태어난 본토출신이나 원적을 대만에 둔 내성인. 국립대만대학을 졸업하고 도미,시카고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취

    중앙일보

    1993.02.10 00:00

  • 멕시코시티 “숨쉬기가 겁난다”/세계 제1의 공해도시 “오명”

    ◎겨울들어 스모그 심화 햇빛보기 어려워/심할땐 공장운휴·학교 휴업령 내려 대처/고지대 위치 산소량 적어 더 곤욕… 두통 등에 시달려 멕시코의 수도 멕시코시티가 겨울에 들어서면서 스

    중앙일보

    1992.12.28 00:00

  • 대만 자매대학 등 방문

    서주실 부산대총장은 대만 타이베이시에서 열리는 태평양 연안국 대학총장회의에 참석하고 자매대학인 국립대만대를 방문하기 위해 2일 출국했다.

    중앙일보

    1990.12.05 00:00

  • 체신부 올해 업무보고(요지)

    ◎우체국 백10곳 증설… 전국 온라인망 완성/통신공사 민영화… 정부 보유주 25% 매각 ◇우체국의 종합봉사기능 확대=농어촌과 신도시개발지역등에 우체국 1백10개소를 증설하고 수도권

    중앙일보

    1990.02.13 00:00

  • 이등휘 자유중국 총통|학생 때 공산주의활동

    ■…이등휘 자유중국 신임총통 겸 집권 국민당 주석 서리는 2차대전의 종식으로 일본의 경도제대에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 국립대만대학에서 공부를 계속했을 때 얼마간 대만공산주의활동에

    중앙일보

    1988.02.03 00:00

  • 이등휘 신임 총통 대만출신 농업경제 전문가

    자유중국의 이등휘 신임총통은 자유중국의 농촌개발에 박차를 가해온 농업경제 전문가로 대부분의 자유중국국민들에게는 비교적 비정치적인 인물로 비쳐지고 있다. 15일로 만65세가 되는 이

    중앙일보

    1988.01.14 00:00

  • 동북아 석조예술은 백제가 원류

    백제문화의 국제적 위치를 가늠하는 첫 국제학술회의가 1∼3일 이리 원광대에서 열렸다. 원광대마한·백제문화연구소(소장 김삼룡)가 주최한 제8회 마한·백제문화 국제학술회의. 「동북아시

    중앙일보

    1985.11.04 00:00

  • 남은 돈과 아낀 돈

    『한 알의 도토리가 떡갈나무 된다』는 영국 시인의 시구가 있었다. 영국 속담엔 『쌓아두어야 가질 것이 생긴다』고 했다. 모두 저축의 미덕을 기린 얘기들이다. 19세기 영국이 세계

    중앙일보

    1985.04.04 00:00

  • 동물 질병도 침으로 치료|대만대 린젠수교수

    ■…국립대만대학 축산과「린·젠·수」교수가 대북에서 침술로 동물의 질병 고치는 방법을 실습해 보이고있다 (사진) 그는 호흡기나 생시기질환에 걸린 가축에 침으로 시술한 결과 70%의

    중앙일보

    1984.12.27 00:00

  • 대만대 객원교수로

    ◇문병진교수(중앙대)가 국립대만대 객원교수로 초청을 받아 20일 출국한다. 문교수는 최근 일본 쓰꾸바(축파)대 객원교수를 마치고 돌아왔다.

    중앙일보

    1984.12.14 00:00

  • (39)-평해 구씨

    구씨의 원조는 중국의 강태공-. 「중국구씨사기」에 따르면 강태공의 후손들이 분파해 강, 여, 구, 정, 제, 환, 최, 노씨 등 8개 성이 되었으며 그중 구씨는 산동성 창악현에 위

    중앙일보

    1982.11.06 00:00

  • 아태미술교련 이사에

    ◇이대원 홍익대 총장은 6일 대북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지역미술교육연맹 (APCAE) 창립총회에서 이사로 선출됐다. 한국과 자유중국·미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각 국의 미술교육관

    중앙일보

    1981.08.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