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선데이 칼럼] 나만 잘하면 돼!

    [선데이 칼럼] 나만 잘하면 돼!

    이훈범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대기자/중앙콘텐트랩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루타르코스는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린 『영웅전』 말고도 많은 글을 썼다. 그중 남아있는 78편을 모아놓은 게

    중앙선데이

    2021.05.22 00:30

  • [이상언의 시시각각] ‘미친 시대’를 견디는 법

    [이상언의 시시각각] ‘미친 시대’를 견디는 법

    이상언 논설위원 주입식 교육 덕분에 몽테뉴라는 유럽인이 『수상록』이라는 책을 냈고 그 안에 실린 글들이 수필의 효시(嚆矢)가 됐다는 단편적 상식은 있었는데, 그것이 그와 그 책에

    중앙일보

    2020.07.02 00:41

  • [열려라 공부] 교육 신간

    [열려라 공부] 교육 신간

     ━  『인문고전 공부법』    쉬번 지음, 중앙북스 452쪽   『인문고전 공부법』은 인문학적 소양을 쌓고 싶은 사람을 위한 일종의 ‘인문고전 안내서’다. 미국 대학에서 20여

    중앙일보

    2018.04.18 00:02

  • [열려라 공부] 교육 신간

    [열려라 공부] 교육 신간

     ━  『인문고전 공부법』    쉬번 지음, 중앙북스 452쪽, 1만8500원   『인문고전 공부법』은 인문학적 소양을 쌓고 싶은 사람을 위한 일종의 ‘인문고전 안내서’다. 미국

    중앙일보

    2018.04.18 00:02

  • 부자가 되면 문제가 사라지는 게 아니라 문제의 종류가 바뀐다

    부자가 되면 문제가 사라지는 게 아니라 문제의 종류가 바뀐다

    ‘죽은 백인 남자들(dead white men)’은 호메로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셰익스피어·보카치오·단테 등 서부 유럽과 미국 문명의 기틀을 다진 사람들이다. 20세기 전반까지만

    온라인 중앙일보

    2016.03.06 00:01

  • [BOOK&TALK] 프랑스 문학은 낭만적이지 않다

    [BOOK&TALK] 프랑스 문학은 낭만적이지 않다

    황현산(70) 고려대 명예교수는 평생 프랑스 문학을 연구했다. 그는 지난 10월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새로 번역해 출간했다. 지난달에는 한국 시를 다룬 『우물에서 하늘 보기

    중앙일보

    2015.12.02 00:10

  • 아내와 딸에게 들려주고픈 ‘성형의 진실’

    국내에서 시행되는 성형 시술의 종류는 15개 신체부위 130여 개가 넘는다. 지난 8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전국 160개 병원 홈페이지 정보를 바탕으로 집계해 발표한 결과다. 가장

    온라인 중앙일보

    2014.10.03 00:15

  • [직격 인터뷰] 이문열 묻고 안경환 답하다

    [직격 인터뷰] 이문열 묻고 안경환 답하다

    이문열(이하 이):한국 사회가 불화한 모습이 울적한 심정이 될 지경으로 제게는 강하게 다가옵니다. 그 불화가 분노와 분열로 치닫는 상황이라 더 걱정인데요. 사회공동체가 이런 상태

    중앙일보

    2014.09.12 00:55

  • “젊은이여, Mission 세웠으면 Passion 다하라”

    “젊은이여, Mission 세웠으면 Passion 다하라”

    하워드 고(가운데) 미국 보건복지부 차관보가 19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한인커뮤니티재단(KACF) 연례만찬에서 어머니 전혜성씨(왼쪽), 윤경복 KACF 사무총장(오른쪽

    중앙일보

    2011.10.21 00:38

  • 하룻밤 네 번이 적다니…

    예전 같으면 망측하다고 할 정도로 입 밖에 발설하기조차 어려운 불평이 지금은 만인들이 다 듣는 자리에서 여인의 육성으로 그대로 표출되는 솔직한 세상이 되었다. 다름 아닌 부부 간의

    중앙일보

    2010.06.12 09:36

  • [그때 오늘] 분열의 시대에 더욱 빛난 지성, 몽테뉴 태어나다

    [그때 오늘] 분열의 시대에 더욱 빛난 지성, 몽테뉴 태어나다

    몽테뉴(1533~92)는 종교 분열로 인한 극한 대립으로 프랑스가 골육상잔의 비극에 휘말렸던 시기에 활동했다. ‘권위의 위기’와 더불어 보편적 진리의 토대가 무너진 시기에 그가 한

    중앙일보

    2010.02.22 20:30

  • [삶과 추억] 김태길 전 학술원 회장 별세

    [삶과 추억] 김태길 전 학술원 회장 별세

     대한민국학술원 회장을 지낸 한국 윤리학의 대가 김태길(金泰吉·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27일 오후 11시 별세했다. 88세. 충북 청주 출생인 고인은 청주고보, 일본 제3고를 거

    중앙일보

    2009.05.29 00:58

  • [새로나온 책] 철학, 인간을 읽다 外

    [새로나온 책] 철학, 인간을 읽다 外

    인문·사회 ◆철학, 인간을 읽다(플라톤 외 지음, 아서 미·J.A.해머튼 엮음, 정명진 옮김, 부글북스, 356쪽, 1만5000원)=플라톤의 『국가』,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

    중앙일보

    2009.04.18 01:12

  • 새로운 휴머니즘을 위하여 '우리 시대의 상식론'

    2005을 보내며, 우리 사회는 커다란 홍역을 치르고 있다. 연말연시를 강타하고 있는 황우석 파동, 여야간 끝없는 정쟁과 갈등을 불러온 사학법 문제, 그리고 우리 사회 곳곳에서 들

    중앙일보

    2006.01.05 15:04

  • [클릭 이 한줄] '역사란 무엇인가' 外

    [클릭 이 한줄] '역사란 무엇인가' 外

    (E. H. 카는) 공무원들처럼 정책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에만 관심이 있었다. 또한 사건을 주도할 만한 권력이나 조직이 없고 교육도 받지 못한 사람들, 즉 대다수 과거 사람

    중앙일보

    2005.04.01 16:43

  • '국제 철학 올림피아드' 19일부터 서울서 열려

    '국제 철학 올림피아드' 19일부터 서울서 열려

    제12회 '국제 철학 올림피아드'(IPO.International philosophy Olympiad)가 19일부터 2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다. IPO는 지구촌 시대의 공동주제를

    중앙일보

    2004.05.17 18:30

  • 35년 교직생활 담은 수상록 펴내

    35년 교직생활 담은 수상록 펴내

    '눈부신 젊은 혼이 목숨을 바쳐/독재를 물리치고 나라 건졌네….' 해마다 4.19혁명 기념식 때 울려퍼지는 '4.19의 노래'를 작사한 원로 교육자 강태욱(姜太旭.80.사진)씨가

    중앙일보

    2004.05.14 20:57

  • [정보광장] 대덕연구단지 外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http://www.science.go.kr)은 오는 22일 오후 5시부터 초등학교 1학년 이상 학생과 가족 5백여명이 참가하는 ‘주말 별자리

    중앙일보

    2003.02.04 19:02

  • [200주기 맞아 '개혁군주' 재조명 활발]

    1800년 음력 6월 28일. 조선 제 22대 임금 정조(正祖)의 기일(忌日)이다. 올해 오늘은 꼭 2백번째 기일. 어린 시절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을 목도하는 비극을 겪고, 재위

    중앙일보

    2000.07.29 00:00

  • 김원본 광주시교육감 교단 40년 수상록 펴내

    "40여년간 교직에 몸담으면서 미흡했던 점을 되돌아 보고 아쉽게 생각했던 문제에 대해 얘기하고 싶었어요. " '무슨 재미로 학교를 다니는가' (인동출판사)라는 책을 펴낸 김원본(金

    중앙일보

    1999.11.09 00:00

  • [고홍주 美국무부 인권차관보 집안은…]

    빌 클린턴 미 대통령은 지난 9월 미 국무부의 민주주의.인권 및 노동담당 차관보에 해럴드 고 (한국명 高洪柱) 예일대 법대 석좌교수를 지명했다. 이후 한달 만인 이달 22일 상원

    중앙일보

    1998.11.02 00:00

  • [월요인터뷰]고홍주 美국무부 인권차관보

    그는 끝내 정장차림으로 사진을 찍었다. 자연스런 모습을 위해 양복 윗옷을 벗고 찍자고 했더니 웃으며 대번에 손을 내저었다. "아버님께선 항상 몸가짐을 근엄히 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중앙일보

    1998.11.02 00:00

  • [화제의 책] 영화이야기로 푼 몸과 문화의 관계 '몸으로 생각한다'

    문화평론가 김용호의 '몸으로 생각한다' 는 현대인들이 변화되는 세상의 모든 조건들을 극복하고 지혜롭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과 논리를 설명한 일종의 철학적 수상록이다 (민음사刊) .

    중앙일보

    1997.09.14 00:00

  • 집주인 벽보훼손 잦아 골머리(12·18 고지)

    ◎투표소 멀어 폭설 대책 등에 부심/가수 연사 열창 불구 유세장 한산 ○“허락없이 붙인 결과” ○…강원도선관위는 남의 집 담벼락에 허락없이 붙인 선거벽보를 훼손한 집주인 등이 잇따

    중앙일보

    1992.1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