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BOOK책갈피] '인간은 유전자의 꼭두각시 맞습디다'

    [BOOK책갈피] '인간은 유전자의 꼭두각시 맞습디다'

    리처드 도킨스 - 우리의 사고를 바꾼 과학자 앨런 그래펀, 이한음 옮김, 을유문화사, 384쪽, 1만5000원 한 명의 인간이, 한 권의 책이 한 세대를 온통 매료시켰다. 의견이

    중앙일보

    2007.03.30 19:43

  • "난 고정된 사고를 하는 사람과 충돌할 뿐"

    "난 고정된 사고를 하는 사람과 충돌할 뿐"

    "나는 고정된 사고를 하는 사람들과 충돌할 뿐입니다." 도올 김용옥(59) 세명대 석좌교수가 다시 논쟁의 한복판에 섰다. 이번엔 '기독교의 권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요한복음

    중앙일보

    2007.03.23 05:18

  • [열려라!논술] '독서와 토론' 훈련 이를수록 좋다

    [열려라!논술] '독서와 토론' 훈련 이를수록 좋다

    서울대 '논술 교육을 위한 중등교사 연수회'에 참석한 교사들이 지도 교수의 지시에 따라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서울대가 전국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

    중앙일보

    2007.02.06 15:40

  • [행복한책읽기Review] 혹시 당신이 고른 책도?

    [행복한책읽기Review] 혹시 당신이 고른 책도?

    2006년 출판계와 지식사회는 어떤 책으로 독자와 만나고 소통했을까요. 중앙일보는 '2006 올해의 책'을 선정해 한 해 동안의 '책농사'를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출판

    중앙일보

    2006.12.15 20:50

  • 대학입시, '논술이 당락을 결정한다'

    2007 대입 수능이 끝났다. 수능 점수로 대학을 들어가는 마지막 세대의 입시가 끝난것. 앞으로의 대학입시는 내신과 수능이 9등급제로 되고, 논술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형태가 될

    중앙일보

    2006.11.22 10:44

  • [깊이읽기] 지금은 빙하기 … 얼어붙을 인류의 미래

    [깊이읽기] 지금은 빙하기 … 얼어붙을 인류의 미래

    빙하기 존 그리빈·메리 그리빈 지음, 김웅서 옮김 사이언스북스, 150쪽, 9800원 우리는 현재 빙하기에 살고 있다. 이렇게 말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고개를 갸우뚱하며 "도대체 무

    중앙일보

    2006.02.03 21:35

  • [깊이읽기] "유일신과 권력에 눌린 인류가 할 일은 …"

    "이 시대 지성인에게 주어진 과제는 세례자 요한처럼 영혼의 요르단강가에 서서 장차 닥쳐올 혁명이 어떤 것일지를 예측하는 일이다." 나카자와 신이치는 '카이에 소바주'시리즈를 시작

    중앙일보

    2005.11.25 22:20

  • 5천년 과학역사, 한눈에 그림으로 읽는다!

    5천년 과학역사, 한눈에 그림으로 읽는다!

    기존 과학사 책들은 단편적인 과학지식만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과학의 역사가 역사 전체와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과학의 변천 내지 진보가 그때그때

    중앙일보

    2005.10.17 09:34

  • [깊이보기 :미국서 논란 뜨거운 '지적설계론'] 미국서 어떤 논란 거쳤나

    물리학과 생물학의 차이는 논리적 완결성이다. 물리학은 거의 완성된 학문이다. 뉴턴을 거쳐 아인슈타인에 이르는 과정에서 운동의 여러 법칙이 거의 명백하게 증명돼 이론의 여지가 별로

    중앙일보

    2005.09.08 21:00

  • [행복한 책읽기] 문화가 인간만의 것이더냐

    [행복한 책읽기] 문화가 인간만의 것이더냐

    ▶ 70여년 전 포도주를 앞에 둔 채 침팬지에게 테이블 매너를 전수하고 있는 동물원 사육사. 저명한 동물학자 제인 구달이 40여년 전 출판사에 원고를 넘겼을 때였다. 침팬지를 사람

    중앙일보

    2005.07.22 20:28

  •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과 국가 앞에는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여야 할 무거운 과업이 나선다.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기 위하여서는 사회주의제도가 선 다음에도 혁명을 계속

    중앙일보

    2004.10.25 14:17

  • [틴틴] '난 몇 퍼센트 한국인일까' 外

    난 몇 퍼센트 한국인일까 강정인 외 지음,책세상,274쪽,1만5000원 “영어회화의 세계에서 묘사되는 ‘미국’이라는 나라는 실제로 존재하는 미국이 아니라 미국인 영어 선생들이 희구

    중앙일보

    2004.10.23 10:06

  • 98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사상과 령도를 구현한 주체의 사회주의 조국이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창건자이시며 사회주의조선의 시조이

    중앙일보

    2004.10.22 14:39

  • 92년헌법

    제1장 정 치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국가이다. 제2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 침략자들을 반대하며 조국의 광복과 인

    중앙일보

    2004.10.22 14:33

  • [신간] '철학에서 이야기로-우리 시대의 노장(老莊) 읽기'

    철학에서 이야기로-우리 시대의 노장(老莊) 읽기 김시천 지음, 책세상, 5900원 사유하는 도덕경 김형효 지음, 소나무, 2만5000원 두 신간은 노장사상을 노래하는 소리꾼과 고수

    중앙일보

    2004.06.19 09:03

  • [화제의 신간을 찾아서]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

    세상에 나쁜 벌레는 없다/제 The Voice of the Infinite in the Small 조앤 엘리자베스 록 지음, 조응주 옮김 민들레, 376쪽, 1만2000원 가장 혐

    중앙일보

    2004.06.05 09:07

  • [과학으로 세상보기] 기초과학 왜 중요한가

    올해는 전자공학 100주년이다. 영국의 과학자 존 앰브로즈 플레밍이 2극 진공관을 발명한 것이 1904년인데, 이것은 곧 정류.증폭.발진이 가능한 3극 진공관으로, 3극 진공관은

    중앙일보

    2004.03.18 18:32

  • "과학의 눈으로 종교를 보세요"

    "부시 대통령은 기독교 근본주의자입니다. 성서의 말씀을 자신이 실천한다고 믿죠. 하지만 그건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기존 기독교의 가르침만으론 현대의 산적한 문제를 풀 수 없습니

    중앙일보

    2003.11.21 17:38

  • '반지의 제왕:반지원정대' DVD확장판 나와

    '반지의 제왕:두 개의 탑'이 개봉하면서 전편인 '반지 원정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영화관에서 '두 개의 탑'을 본 관객들이 1년 전에 봤던 전편의 줄거리를 확인하고 싶어

    중앙일보

    2003.01.14 15:47

  • 생명은 '우연'에 의해 진화했나

    과거 생물학은 물리학이나 화학에 비추어 학문적으로 주변적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생명공학의 비약적 발달로 이제 생명과학은 기업계·정계 및 학계에서 가장 관심을

    중앙일보

    2002.11.02 00:00

  • 갈릴레오

    "우주는 수학문자(數學文字)로 쓰인 책"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가속도 운동에 관해''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의 2대 세계체계에 관한 대화' 등 주로 세

    중앙일보

    2002.04.01 00:00

  • 이인제 "노무현은…"

    "새 집을 지을 설계도도, 능력도 없이 헌 집을 부수려고만 한다." 이인제 후보측이 제기하는 노무현 후보에 대한 공격과 비난의 핵심이다. 李후보측의 윤재걸(尹在杰)특보는 "盧후보

    중앙일보

    2002.03.21 00:00

  • '종교와 과학 워크숍' 서울교육문화회관서 열려

    종교와 과학은 역사적으로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해왔다. 이탈리아 천문학자 갈릴레이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옹호하며 교회 권위에 맞섰던 것도 그 한 예일 뿐이다. 지금도 인간복제와

    중앙일보

    2002.01.18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가까운 미래의 지적 풍토

    근년에 과학과 기술이 아주 빠르게 발전하면서, 특히 생명과학과 정보기술이 큰 성과를 거두면서, 생명의 본질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생명을 정의하는 일은 무척 어렵지만

    중앙일보

    2001.11.29 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