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백가쟁명:하병준] 교육의 균부론(均富論)

    1978년 등소평(鄧小平)은 모택동(毛澤東)을 비롯한 혁명 1세대(물론 자신도 1세대에 속하지만)가 밀어붙였던 균부론적 경제성장 모델을 폐기하고 개혁개방 정책을 전면실시 하였다.

    중앙일보

    2010.02.11 10:45

  • 량수밍과 마오쩌둥

    량수밍과 마오쩌둥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량수밍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건강이 좋아졌다. 1986년 93세 때의 모습. 김명호 제공 중국의학원 설립자 위안훙서우(袁鴻壽)는 101세

    중앙선데이

    2010.02.08 11:02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량수밍과 마오쩌둥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량수밍과 마오쩌둥

    ▲량수밍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건강이 좋아졌다. 1986년 93세 때의 모습. 김명호 제공 중국의학원 설립자 위안훙서우(袁鴻壽)는 101세 생일에 제자들 앞에서 한마디 했다. “쑨

    중앙일보

    2010.02.07 22:28

  • 량수밍과 마오쩌둥

    량수밍과 마오쩌둥

    량수밍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건강이 좋아졌다. 1986년 93세 때의 모습. 김명호 제공 중국의학원 설립자 위안훙서우(袁鴻壽)는 101세 생일에 제자들 앞에서 한마디 했다. “쑨

    중앙선데이

    2010.02.07 21:00

  • [마음 산책] “자서전, 물고기 잡은 뒤의 통발 같지만 … ”

    몇 년 전에 난생 처음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을 때 그 당황스러움은 아직까지 기억에 생생하다. 해인사에서 오랫동안 관여했던 월간지에서 ‘전관(前官) 예우’를 한답시고 이루어진 인물

    중앙일보

    2010.01.09 00:40

  • 대구청년유림 30년 발자취 책으로

    대구청년유림 30년 발자취 책으로

    『대구청유30년사』 표지.올해로 창립 서른 한 돌을 맞은 대구청년유도회(大邱靑年儒道會, 회장 이창환)가 30년 발자취를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대구청년유도회는 19일 대구향교에서

    중앙일보

    2009.12.21 03:04

  • 논쟁 되살아난 ‘유교는 종교인가’

    논쟁 되살아난 ‘유교는 종교인가’

    4일 학술회의에서 황영례 박사가 ‘이승희와 송기식의 공교(孔敎) 운동의 상이성’이란 주제를 발표하고 있다.[한국유교학회 제공] 유교는 종교인가. 한국유교학회(회장 최영진 성균관대

    중앙일보

    2009.12.10 02:32

  • 도올 김용옥 “달걀 속에도 생명 꿈틀, 닭은 내게 진리의 동반자”

    도올 김용옥 “달걀 속에도 생명 꿈틀, 닭은 내게 진리의 동반자”

    도올 김용옥 전 고려대 교수는 자신과 닭과의 교감을 담은 『계림수필』을 펴냈다. [통나무출판사 제공]도올 김용옥(61) 전 고려대 교수가 닭 키우는 재미에 푹 빠졌다. 양계장을 차

    중앙일보

    2009.12.10 02:06

  • 호국유교로 항일 실천한 지식인의 삶

    호국유교로 항일 실천한 지식인의 삶

    국학연구소 황영례 박사가 무학산연구소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일제 강점기에 유교 정신으로 민족을 규합했던 독립지사의 뜻이 서거 60년 만에 재조명됐다. 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는

    중앙일보

    2009.11.18 02:52

  •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번뇌 없으면 깨달음도 없지요

    백성호 기자의 현문우답 번뇌 없으면 깨달음도 없지요

    #풍경1 : 고타마 싯다르타(부처)는 출생 1주일 만에 어머니를 잃었죠. 이모가 그를 키웠습니다. 싯다르타는 ‘나로 인해 엄마가 죽었다’는 자책감을 느낄 때도 있었겠죠. 어쩌면 인

    중앙일보

    2009.10.15 01:18

  • Special Knowledge 낯선 종교에 관한 짧은 이야기

    Special Knowledge 낯선 종교에 관한 짧은 이야기

    지구촌의 종교는 다양하다. 민족에 따라, 지역에 따라, 역사에 따라 믿는 종교도 다르다. 우리에겐 불교와 기독교, 유교와 민족종교 등이 익숙한 편이다. 그러나 지구촌에는 우리에게

    중앙일보

    2009.10.15 00:15

  • “공자는 성인이다” “아니다, 지식인일 뿐이다”

    “공자는 성인이다” “아니다, 지식인일 뿐이다”

    ▲지난달 17일 베이징의 전통식당 ‘황성식부’에서 천라이 교수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 말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인터뷰 후 저녁식사 자리에서 리링 교수가 공자에 대해 말하고 있

    중앙일보

    2009.10.12 09:34

  • “공자는 성인이다” “아니다, 지식인일 뿐이다”

    “공자는 성인이다” “아니다, 지식인일 뿐이다”

    지난달 17일 베이징의 전통식당 ‘황성식부’에서 천라이 교수가 중국 전통문화에 대해 말하고 있다. 지난달 15일 인터뷰 후 저녁식사 자리에서 리링 교수가 공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중앙선데이

    2009.10.10 22:12

  • 44년째 연경반 강의 …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44년째 연경반 강의 …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김흥호 목사는 청중에게 “여러분이 이렇게 날 찾아주니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며 “공자도 멀리서 친구가 찾아오면 그렇게 기뻐했다”고 말했다. [김태성 기자] 지난달 21일과 14일

    중앙일보

    2009.07.02 00:12

  • 폐암과 싸우며 ‘시편’ 강의,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폐암과 싸우며 ‘시편’ 강의,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21일 오전 9시 서울 대현동 이화여대의 대학교회 연경반(硏經班) 강의실. 올해 구순인 김흥호 목사의 ‘일요강연-시편’을 듣기 위해 150여 명이 자리를 꽉 메웠다. 청중 셋 중

    중앙일보

    2009.06.25 01:20

  • 학문의 길을 가며, 왜 권력을 곁눈질하는가

    학문의 길을 가며, 왜 권력을 곁눈질하는가

    1. 유학은 언필칭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외친다. 학문을 닦아 정치를 한다는 뜻에서 선비들을 사대부(士大夫)라 부른다. 그러나 선비들이 다 정치에 나섰던 것은 아니고, 또 그것을

    중앙선데이

    2009.05.02 19:53

  • [분수대] 아버님, 어머님

    [분수대] 아버님, 어머님

     어버이날이면 부르는 노래가 있다. “낳으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자식을 잉태한 어머니가 그를 낳아 기르는 과정에서의 고생스러움이 진하게 그려져 있는 곡이다. 노랫말의 상당

    중앙일보

    2009.04.02 00:48

  • 心經은 조선 선비의 마음을 해독하는 비밀 코드

    心經은 조선 선비의 마음을 해독하는 비밀 코드

    『심경(心經)』 이야기 ①1.『심경(心經)』이란 책 이름을 들어 보셨는지 모르겠다. 선비들의 책장 속에 꽂혀 있던 조선 유학의 가위 ‘교과서’였는데, 지금은 거의 기억하는 사람이

    중앙선데이

    2009.02.21 16:38

  • [도올 고함(孤喊)] 법의 원칙 넘어 그 까닭을 물어라

    [도올 고함(孤喊)] 법의 원칙 넘어 그 까닭을 물어라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는 유교의 왕국이라는 조선 사회가 떠받든 경전이었지만 실제로 조선 왕조의 사대부가 읽은 텍스트는 주자가 해석해 놓은 『논어』였다.    주변

    중앙일보

    2009.02.04 02:43

  • [Art] ‘짱구’ 공자는 재즈 아티스트

    [Art] ‘짱구’ 공자는 재즈 아티스트

    “조선왕조는 공자 때문에 망한 것이 아니라 논어를 제대로 읽지 않아서 망했다.” 동양철학자 도올 김용옥(61)씨가 『논어 한글역주』(전3권, 통나무)를 내놓으며 일갈했다. 권마다

    중앙일보

    2009.01.07 20:03

  • 대구청년유도회 창립 30돌

    대구청년유도회 창립 30돌

    대구청년유도회(大邱靑年儒道會)가 올해로 창립 서른 돌을 맞았다. 지방에서 가장 오랜 역사다. 대구청년유도회(회장 이창환)는 오는 13일 오후 4시 대구향교 유림회관에서 창립 30주

    중앙일보

    2008.12.09 01:34

  • “멜라민 분유 사죄 … 중국 도덕적 가치 지켜야”

    “멜라민 분유 사죄 … 중국 도덕적 가치 지켜야”

    “중국의 발전과 민족의 부흥이 세계적으로 영향을 주려면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가치에 의거해야 합니다. 하지만, ‘싼루(三鹿) 사건’이 발생해 한국에까지 영향을 줬습니다. 우리는 미안

    중앙일보

    2008.10.03 00:17

  • 베이징, 엄숙주의 문학 대세 … 상하이는 탈이데올로기 성향

    베이징, 엄숙주의 문학 대세 … 상하이는 탈이데올로기 성향

    중국은 전통적으로 황허(黃河)를 중심으로 한 북방과, 창장(長江)을 중심으로 한 남방의 구분이 있었다. 중국문학사의 첫 장을 여는 『시경(詩經)』과 『초사(楚辭)』는 각각 북방의

    중앙일보

    2008.02.29 01:24

  • 세계적 철학자 7명 릴레이 인터뷰 ② 탕이지에 베이징대 교수

    세계적 철학자 7명 릴레이 인터뷰 ② 탕이지에 베이징대 교수

    탕이지에 베이징대 교수와 최진석 서강대 교수가 지난달 중국 선전에서 열린 ‘유장(유교대장경)’편찬회의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대담=최진석 서강대 교수  탕이지에(湯一介·81

    중앙일보

    2008.01.09 05:13